•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수학적 모델링 관련 제시 방법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정승요;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03-122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서 초등학교 3,4학년 수학교과서의 수학적 모델링 관련 제시 방법을 분석하고,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의 틀은 김민경(2010)이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제시한 Mathematics in Context[MiC]와 우리나라 초등수학교과서의 분석 기준을 예비조사를 통해 적용한 후, 수정 보완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에 대한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수학교과서로 변화하면서 수학적 모델링의 관점에서 볼 때, 실세계 맥락의 상황 제시는 ${\ll}$확률과통계${\gg}$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였고, 수학적 모델의 표현 방법은 ${\ll}$규칙성${\gg}$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표현 방법이 다양해졌으며,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ll}$규칙성${\gg}$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형이 다양화되고 빈도가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제시하였다.

초등 수학 교과서와 국어사전에서 부여하는 수학 용어의 의미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athematical Te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a Korean Dictionary)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5-28
    • /
    • 2023
  • 학교 수학에서 수학 용어의 의미를 통해 수학적 개념이 학습되기 때문에 학습자는 수학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알맞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초등 수학 교과서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수학 용어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일치는 학습자의 수학 용어 이해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수학에서의 의미와 실생활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와 국어사전에서 서술하는 수학 용어의 의미를 비교 분석하여 수학 용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의 의미와 국어사전의 의미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나 각각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의미가 가리키는 대상이 다른 경우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학습자의 혼란을 막기 위하여 교과서의 의미와 국어사전의 의미 간 차이를 인식하고 각각의 의미를 보완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들이, 부피, 무게, 질량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and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3 and 4: Focused on Capacity, Volume, Weight, and Mass)

  • 방정숙;권미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617-638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수학과 과학의 연계성 있는 지도를 위하여 두 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들이, 부피, 무게, 질량에 대한 지도 내용을 탐색하였다. 우선 두 교과에서의 지도 시기와 지도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고, 양의 비교, 용어, 단위, 측정, 측정 도구, 어림, 실생활 연계의 측면에서 들이와 부피, 무게와 질량에 대한 교과서 내용을 상세히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거나 중복하여 제시하는 부분도 있는 반면,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도 지도 시기나 초점을 달리 두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수학과 과학 교과에서 들이, 부피, 무게, 질량 관련 내용을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국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과서의 특징 (Features of Chinese Lower-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Contrast with Korea's)

  • 김판수;주와;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1-25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중국 수학교육의 전통과 새 교육과정의 취지에 대한 고려 하에, 중국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의 특징을 한국 교과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 교과서는 연습과 기능을 중요시하고, 개념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학습내용을 동시에 제시하고, 곳곳에 유모어러스한 표현을 담고 있으며, 문제의 조건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는 등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교과서 집필과 수학교육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검인정제에 따른 초등 교사의 수학 교과서 관심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Authorized and Approved Mathematics Textbooks)

  • 김효정;이광호;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15-124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 발행 체제 전환이라는 수학 교육의 새로운 변화에 따라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 3-4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플랫폼을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참여자 199명의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는 정보적 관심과 개인적 관심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 개인의 최고점 관심을 보인 단계는 강화적 관심과 운영적 관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개인 변인에 따라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학 교육 연수 경험, 수학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수학 교육 전공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 교사들은 검정 수학 교과서에 대한 특징, 장단점, 자료 등에 관한 정보적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고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인적 관심이 높게 나타난 것은 검인 정제 전환 목적에 따라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교사 개인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최고점 관심 단계 분석 결과 강화적 관심 단계인 교사가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므로 교사의 창의적인 수학 교과서 사용과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의 어휘 적정성 분석 (Analysis of the Adequacy of Vocabulary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for Grades 3~4)

  • 방정숙;권미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903-92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 사용된 어휘의 적정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3~4학년군 수학과 수학 익힘책으로, 수학의 본문 차시와 본문 이외의 차시, 수학 익힘책의 본문 차시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어휘 적정성 분석은 9등급 어휘 체계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빈도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에 제시된 어휘 중 3~4학년 수준보다 높은 등급의 어휘는 약 3~8%로 나타났다. 높은 등급의 어휘의 경우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과 함께 제시되기도 하였지만, 일부 어휘의 경우 그림이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그림에서 어휘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빈도 분석 결과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의 본문 차시에 공통적으로 알아보다, 나타내다, 수, 몇, 방법 등의 어휘가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 교과서 개발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어휘 사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 (Perspectives on the Use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Pre-service Teacher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61-4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인식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수학 수업에서 교과서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54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서울시내 15개 지역구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54개 학급(총 1299명의 학생)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학 수업의 관찰을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수학교과서의 활용과 수학 수업에서 자료의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동기유발 자료를 각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돕기 위하여 수준별 학습을 포함하여 교과서 이외에 다양한 활동지 및 부가적인 자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들은 수학 수업에서 교수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주로 TV와 PPT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내용과 체제 자체에 대해서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고,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는 않았다. 연구자는 수학 교수 학습의 질 향상을 위하여 수업의 전반적인 메커니즘 안에서 교과서와 같은 학습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교사들을 위한 학교 현장의 적용을 포함한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제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Activity Style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 신희경;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61
    • /
    • 2004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구체적인 조작 활동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고 이를 교과서에 ‘활동’이라는 형식을 도입함으로써 가시화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이 ‘활동’ 형식에 대하여 어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영역 또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활동 형식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우리나라와 연변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비교 연구: 수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paring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Yanbian Centered on Number Area)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3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1~6학년 수학 교과서와 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소학교 1~6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 영역에 한정해서 비교하고 있다. 연변 교과서가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것은 다음의 일곱 가지이다. 첫째, 자릿값 지도를 위해 계수기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등식을 일대일 대응 형식으로 읽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속량을 가진 구체물 전체를 자연수 1로 표시할 수 있음을 명시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분수에서 분모와 분자를 구분하는 용어 '분수선'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분수의 성질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소수 활용의 용례를 넓힐 필요가 있다. 일곱째, 소수의 오른쪽 끝에 0을 추가해서 소수의 자리를 하나 늘일 수 있음을 명시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