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기 견적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건축프로젝트 개산견적 신뢰도 향상 방안 (Development of Reliability for Conceptual Cost Estimates in Construction Projects)

  • 안성훈;강경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5-180
    • /
    • 2006
  • 건축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실시하는 개산견적의 결과값인 예측된 공사비(개산견적 공사비)는 실제 시공한 후 정산한 공사비(실 공사비)와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따라서 개산견적 공사비를 실 공사비와 비교했을 때 얼마나 정확하며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개산견적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건축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실시하는 개산견적의 신뢰도를 견적전문가들의 지식을 활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제 개산견적을 수행하고 공사를 실시한 83개의 건설 프로젝트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개산견적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모델을 이용하게 되면 발주자 또는 의사결정자는 개산견적 공사비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가에 대한 검토와 피드백이 가능하여 개산견적 신뢰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개산견적의 신뢰도에 좋지 않는 영향을 주는 요인의 상황(현황)윤 찾아내어 신뢰도 평가가 높게 되도록 상황을 개선시켜 다시 견적하면 개산견적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 PDF

오브젝트-파라미터기반 건축마감공사비 개산견적 모델 (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for Predicting Cost of Building Interior finishings)

  • 구교진;박성호;박성철;송종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75-184
    • /
    • 2008
  • 건설 프로젝트의 수익성 및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계초기단계에 활용되는 개산견적은 설계의사결정 업무와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견적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설계초기단계에서 설계자의 의사결정 지원과 설계변경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를 위해 프로토타입기반 개산견적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파라미터에 의해 산정되는 공사항목 및 사용자에 의한 추가공사에 대한 공사비 고려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견적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제 고층 오피스 빌딩 프로젝트의 실적자료 분석을 통해 기본설계단계에서 오브젝트-파라미터기반 건축마감공사비 산정 모델(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OPSEM)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을 위해 공사비 내역서, 도면으로부터 얻은 작업항목에 대한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고, 각 작업항목 속성에 맞는 공사비 산정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 효용성 검증을 위해 유사 사례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기존의 견적방식과 제시된 모델을 활용한 견적방식의 오차율을 분석하여 정확도 비교를 실시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보정계수 발굴을 위한 사례연구 (A Study to find out the Software Development Productivity)

  • 유제훈;황인수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2-390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사업의 성패는 사업의 첫 관문인 소프트웨어 견적의 결과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확정가격 계약으로 수행되는 국내의 소프트웨어 사업 관행 하에서는 견적의 잘못이 회사의 존폐로 귀결되는 경우도 있다. 견적의 핵은 정확한 원가의 파악인데, 이를 위해서는 고객이 요구한 업무량과 개발자의 생산성을 정확히 아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문제는 고객의 요구를 사업 초기에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개발자 자신의 생산성을 잘 모른다는 것이다. 더욱이 정보의 부족으로 프로젝트의 특성 파악을 제대로 할 수 없어서, 해당 프로젝트에 적합한 생산성 보정계수의 적용이 어렵다는 점이다. 본 사례는 삼성SDS가 금년도에 종료된 수십 여 개의 프로젝트로부터 수집한 생산성 영향인자들이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어느 정도나 미치는 지를 분석한 것이다. 본 분석을 통하여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식별할 수 있었고, 이들이 미치는 영향 정도를 바탕으로 견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파라메트릭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생산성 영향인자의 식별과 이들을 이용한 견적용 파라메트릭 모델의 개발 방법을 다루었다.

  • PDF

IFC-BIM 연계 지식정보기반 마감공사 개산견적 프레임워크 (Schematic Estimate Framework of Finishing Works based on IFC-BIM Knowledge)

  • 박상헌;박형진;구교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176-4184
    • /
    • 2015
  • 건설사업 전 생애주기 중 설계단계에서의 대안별 비용 예측은 사업의 수익성 및 타당성 분석을 위한 판단기준이 된다. 설계도서가 완성되지 않은 초기 설계단계에서 과거의 유사자료를 바탕으로 개산견적이 실시되고 있다. 견적자의 경험과 산정방법에 따라 물량이 상이하고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IT기술 발전으로 BIM 기술이 주목을 받으면서 건설 전반에 걸쳐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기술의 패러다임을 변화 시키고 있다. BIM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활용 효과는 건설 사업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 표준 IFC와 견적 관련 지식정보를 연계한 개산견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그 결과, 초기 설계단계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공사비 예측을 수행하며, 그리고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일부분 극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산견적 프레임워크는 프로세스 일부를 자동화하였기 때문에 변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건축 프로젝트 개산견적 신뢰도 관리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for Managing the Reliability of Conceptual cost estimates in Building Projects)

  • 안성훈;김대원;박우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38
    • /
    • 2010
  • 건축 프로젝트에서 개산견적은 많은 부분들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개산견적으로 산출된 공사비와 실제 시공 공사비는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공사비의 차이를 신뢰할 수 있는 수준 이하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실시하는 개산견적의 신뢰도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개산견적 전문가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고찰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산견적 신뢰도 관리를 위해서는 기존의 개산견적 프로세스에 신뢰도를 평가와 향상 방안 도출 과정이 필요하며, 유사 프로젝트를 토대로 신뢰도 관리 전략 수립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개산견적의 신뢰도를 당초에 설정된 허용가능한 수준 이하로 관리하여 프로젝트 공사비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있다.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를 위한 개산견적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a Conceptual Estimate Methodology fo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 김현중;최재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41-150
    • /
    • 2019
  • 해외 플랜트 건설시장에서 국내기업의 기술적 위상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기술적 측면에 비해 프로젝트 관리 측면의 역량은 미비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 중 프로젝트 수행 초기인 기획단계에서의 사업관리 역량은 선진 건설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중 초기 원가산정 기술은 국내 기업의 역량 향상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진행되는 개산견적 방법론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개산견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개산견적 방법론 중 비용지수법과 변수견적법의 로직을 토대로 플랜트 프로젝트에 특화된 입출력 변수를 도출하여 개산견적 도구를 개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의 유효성은 사례 프로젝트의 개산견적 금액과 실적 프로젝트 금액 간의 정확도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다. 개발된 플랜트 개산견적 방법론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실적 프로젝트의 체계적인 데이터화가 필수적이다. 향후 프로젝트 원가산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은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및 수익확보와 직결되므로, 개발된 도구의 적극적 활용이 기대된다.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을 이용한 기본설계단계의 개산견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Cost Estimating Model Using Quantity Variation Analysis by Influence Variables for the Schematic Design Phase)

  • 손보식;이현수;김성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55-166
    • /
    • 2007
  • 본 연구는 건축공사 프로젝트의 기본 설계 단계에서의 개산견적 개념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개산견적 개념을 적용하여 실제 주상복합 건물 프로젝트의 실적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의 건설산업은 급격한 시장 변화와 경쟁 심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조달 방식의 변화와 함께 입찰과 관련한 정보가 부족한 사업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의사 결정의 기준이 되는 개산 견적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산견적 방법을 분석하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공사 수량 변화 분석에 기반 한 개산견적 방법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종별 공사비 분류체계에 빌딩구성요소(BE)별 및 층별 수량 분류를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제안 모델을 Q-BASE (Quantity Based Active Schematic Estimating) 모델로 정의하였다.

초기 설계단계에서 개산 견적의 수량산출에 의한 건축공사비 작성에 대한 고찰 - 공사비 관리 사례 및 작업 방법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the Creation of Construction Cost by Calculating the Quantity at the Planning Design Stage - Focusing on Construction Cost Management Vases and Work Methods -)

  • 현동명;전상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29-330
    • /
    • 2021
  • The calculation of the correct construction value in the construction should be investigated after the quantity is calculated. In order to calculate the quantity requires a lot of cost and time, and the initial accurate quantity calculation is not possible. Therefore, in the planning step in order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project to demonstrate the practical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ruction cost by the construction design by presenting a method for calculate the quantity through the estimate with the construction open, floor plan, surface view, section.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 초기 단계 의사결정을 위한 확률론적 리스크 기반 비용 예측 모델 개발 (A Probabilistic Risk-based Cost Estimation Model for Initial-Stage Decision Making on Apartment Remolding Projects)

  • 이동건;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70-79
    • /
    • 2016
  • 건축 리모델링 공사비는 신축과 달리 기존 건축물이 지니는 설계제약여건과 공사환경에 따른 다양한 영향인자들(내구연한, 지반상태, 대지여건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이러한 리모델링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의사결정과정에서 다양한 불확실성 인자들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현행 리모델링 비용 견적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과거 신축 건물의 경험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에 입각한 체계적인 평가 방법론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서 공사비 증가 등에 따른 사업 리스크가 상존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리모델링 공사비 견적 시 리스크를 반영한 확률론적 산출 방안의 개발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 리모델링 의사결정 대안별 영향요인의 체계적인 파악을 통해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확정적(deterministic) 견적 산출 방식을 프로젝트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확률론적(probabilistic) 견적 방식으로의 전환을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리모델링 사업 초기 개산 견적 시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른 불확실성을 반영한 예상 공사비를 산출함으로써, 발주자의 합리적인 리모델링 투자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