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과

검색결과 1,306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Local Cultural and Sports Resources on Urban Growth)

  • 곽정현;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06-716
    • /
    • 2016
  • 최근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여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와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자원을 통해 해당 도시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22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문화체육자원을 중심으로 사회 교통 공간성격의 범주에 포함되는 도시의 다양한 개별자원 지표를 이용해 지역의 인구, 산업, 재정측면의 성장에 있어서의 영향관계를 준로그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체육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 내 자원들은 해당 도시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성장 측면에서는 공공체육시설 및 프로스포츠시설의 확충을, 산업성장 측면에서는 프로스포츠시설의 유치를 통한 지역 내 소비증가를,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는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프로스포츠시설 유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한 삶의 질 환경 조성 및 산업기반으로서의 문화스포츠 기반조성은 도시성장에 있어 중요하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한 도시성장 정책은 차세대 전략으로 지방정부가 관심을 가질만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HTML5-기반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 안내 사이트 구현 (Implementation of HTML5-based Website providing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 김소영;임효진;이종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45-255
    • /
    • 2015
  •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각종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시민들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에 존재하는 공공 체육시설 정보를 모두 통합한 웹서비스가 없어 공공 체육시설 이용에 불편함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공공 체육시설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찾을 수 있는 통합 정보 시스템 Be Healthy Seoul을 구현하였다. 서울시가 제공하는 공공 체육시설 API를 사용하여 서울 전 지역의 공공 체육시설 정보를 통합했다. 또 HTML5를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pc와 모바일 모두에서 지원이 가능한 반응형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자 페이지를 구현하여 서울시 공공 체육시설을 지역별/종목별/테마별로 분류하여 검색 가능하도록 하였다.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융합인재교육 방안 탐색 (Career Preparing Behaviors and Exploration of Measures for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Related Department)

  • 이양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87-49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의 대학평가에 의한 입학정원 감축과 체육계열학과의 취업교육에 관련된 연구사례의 부족 등의 이유로 전문적인 체육역량을 갖춘 융합인재 양성 및 체육전공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체육계열학과의 취업준비 현황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진로교육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체육계열 전공자들의 인식 수준에 따른 하위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대응일치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학년별 적성과 소질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을 사전에 실시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취업장벽의 문제를 조속히 완화시켜주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전공과 관련된 취업직종의 확대와 기회의 제공에 다 같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위기와 체육계열 학과의 실천적 과제 (Crisis at Universities and the Practical Issues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Related Departments)

  • 이주욱;한동수;윤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27-436
    • /
    • 2016
  • 대학구조조정은 '대학 교육의 질 강화와 고등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인가? 현재 진행 중인 대학구조 조정의 본질적 문제는 대학의 위기로 다가오고, 더 나아가 체육계열 학과는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의 위기와 체육계열 학과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학'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체육'의 역할과 방향성에 초점을 두고, 대학에서 체육계열 학과의 지향성에 대해 논의한 결과, 체육계열 학과는 처방적 개선이 아닌 예방적 차원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천적 과제를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이다. 둘째, 각 지역과 대학의 상황을 고려한 특성화 전략이다. 셋째, 노동시장 여건 전망과 연계된 체육계열 학과의 개혁을 실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체육계열 학과의 연합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융복합을 활용한 교양체육수업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만족 및 운동지속행동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of Enjoyment Factor, Class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Behavior Through Convergence)

  • 김동환;신이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9-588
    • /
    • 2016
  • 본 연구는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속한 4개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 자료로 사용이 가능한 2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으며 요인추출 및 문항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중 주성분분석과 베리맥스 회전 방식을 선택하였다. 신뢰도 분석에는 크론바 알파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행동 요인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중 교수행동, 체육성적, 체육환경, 운동능력, 운동지속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의 수업만족 중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교수행동, 체육성적 요인이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장애인식과 학업스트레스가 통합체육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sability and Academic Stress on High School Students' Commitment to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 배광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93-102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장애인식과 학업스트레스가 통합체육 수업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고 분석한 결과 장애인식, 학업스트레스, 통합체육 수업몰입 간 상관관계 결과 장애인식은 학업스트레스와 음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 하위변수 중 부모스트레스, 자기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통합체육 수업몰입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변수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업스트레스와 통합체육 수업몰입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하위변수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장애인식과 학업스트레스가 통합체육 수업시간에 적극적인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장애인식과 학업스트레스가 통합 체육 수업시간에 적극적인 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통합체육에서 추구하는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체육전공 학생들의 효과적인 해부학 교육을 위한 혼합강의의 적용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effective anatomic education of sports science students)

  • 김지희;문태영;김경운;노상균;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66-169
    • /
    • 2011
  • 체육전공에서 해부학을 통해 스포츠 상해, 운동역학적 적용, 인체의 병리나 생리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그러므로 해부학적 기초가 없이 운동생리학, 생체역학, 측정평가, 운동처방 등 여러 응용학문에 대한 이해가 불가능하다. 대부분 체육전공에서 해부학을 전공필수로 지정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체육전공학과는 학과특성 및 교육시설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해부학 실습교육이 어렵고, 특히 체육 특기생 경우 잦은 시합으로 수업의 결손이 많다. 또한 체육학과 전공교수는 학과특성상 대부분이 체육전공자로서 최근 의과대학에서 해부학을 포함한 기초의학전공 교수들의 감소되는 현상으로 건강-의료-보건관련 학과의 기초의학강의의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여 학과 내 해부학강의도 체육전공교수들이 직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초의학전공자가 아닌 교원의 해부학강의는 깊이 있는 해부학지식을 전달하는데 제한적이며 교수의 강의에 대한 부담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09년 동안 강원대학교 스포츠과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체 제작한 가상강의 컨텐츠와 해부실습, 그리고 면대면 강의를 병행한 혼합강의를 실시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체육전공학생들의 효과적인 해부학지식전달의 방식으로 그 도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의식 연구 : COVID 19 팬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home training : Changes in fitness after Covid-19)

  • 김주원;김우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63-973
    • /
    • 2021
  •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 TPB)을 바탕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과 참여의사 및 참여행동에 관하여 인과 관계(SEM)를 적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생활체육을 탐색하고, 생활체육 종목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 1일 ~ 2021년 5월 1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총 267명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계획행동이론는 생활체육 참여의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PB는 생활체육 참여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체육 참여의사는 생활체육 참여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 질의 평가 (Qualitative Research: The Theory to the Practice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 이서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91-301
    • /
    • 2021
  •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시작하는 초보 연구자들을 위해 질적 연구의 기본적인 배경 학적 이론과 방법의 틀을 제시하고, 특수체육에서 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 질적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인식론의 이해를 설명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자료 수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에서 자료 분석 방법과 타당성 확보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체육 영역에서 활용되는 질적 연구 질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 내외 특수체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숫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계속 강조되고 있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참여자들을 관찰, 이해, 분석 그리고 해석하는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의 본질적인 이해와 연구 방법론의 습득이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질적 연구의 질의 평가로 좀 더 깊이 있는 질적 연구의 결과물이 특수체육 분야에 적용돼야 할 것이다.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척도 개발과 타당화 (Scale Development and Validity on Obsessive Compulsiv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Enhance Life Care)

  • 유정인;정주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97-306
    • /
    • 2019
  • 본 연구는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문항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3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적 강박(4문항), 심리적 강박(3문항), 신체적 강박(3문항)으로 총 3개 요인 1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확정된 척도에 대하여 성별 및 수업만족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여 외적 관계검토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856에서 .907까지 높은 신뢰수준을 보였을 뿐 아니라, 타당성이 확보되어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 척도로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체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체육수업 강박 측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