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Local Cultural and Sports Resources on Urban Growth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곽정현 (수원시정연구원) ;
  • 서원석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Received : 2016.02.01
  • Accepted : 2016.02.26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nding impact of cultural and sports characteristics on urban growth.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unique urban resources associated with four categories (Social, Traffic, Cultural and Spor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mong 228 cities and towns using a semi-lo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various local resource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urban growth in terms of population, industry, and fiscal self-reliance ratio. Impressively, cultural and sports resources are relatively beneficial for the urban growth. For the population and industrial growth, expanding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professional sports facilities can be more efficient. For solid local finance, typically focusing on professional sports facilities that have far-reaching ripple effects are useful. The conclusion for this study shows that urban growth policy should prioritize the cultural and sports resources because it can be more effective way to enhance not only for urban growth but also for quality of citizens' life.

최근 높아진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여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와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자원을 통해 해당 도시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지역 내 문화체육자원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정책적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228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문화체육자원을 중심으로 사회 교통 공간성격의 범주에 포함되는 도시의 다양한 개별자원 지표를 이용해 지역의 인구, 산업, 재정측면의 성장에 있어서의 영향관계를 준로그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체육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 내 자원들은 해당 도시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성장 측면에서는 공공체육시설 및 프로스포츠시설의 확충을, 산업성장 측면에서는 프로스포츠시설의 유치를 통한 지역 내 소비증가를,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는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프로스포츠시설 유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한 삶의 질 환경 조성 및 산업기반으로서의 문화스포츠 기반조성은 도시성장에 있어 중요하며, 이러한 자원을 활용한 도시성장 정책은 차세대 전략으로 지방정부가 관심을 가질만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비전 2018," 문화체육관광부, 2013.
  2. 김종호, 황판, "중국의 인구정책 혁신,"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3호, pp.169-189, 2014.
  3. M. Rao, "An Imagined Reality; Malthusianism, Neo-Malthusianism and Population Myth," Economic and Policy Weekly, Vol.29, No.5, pp.40-52, 1994.
  4. 이희연, 인구학, 법문사, 2003.
  5. 조혜종, 새인구론, 푸른길, 2006.
  6. 한주성, 인구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9.
  7. R. B. Tabbarah and B. Riad, "Population Education as a Component of Development Policy," Studies in Family Planning, Vol.7, No.7, pp.197-201, 1976. https://doi.org/10.2307/1965101
  8. 이명재, 남상호, 현대경제변동론, 박영사, 2003.
  9. P. A. Romer,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4, No.5, pp.1002-1037, 1986. https://doi.org/10.1086/261420
  10. R. M. Slow, Neoclassical Growth Theory, New York: Elsevier, 1999.
  11. 박영호, "로머의 내생적 성장 이론에 관하여," 동향과 전망, 제44권, 제3호, pp.200-211, 2000.
  12. 김진영, "국제자료를 통해 본 인적자본과 경제성장," 무역학회지, 제28권, 제5호, pp.103-127, 2003.
  13. 심재희, "신고전학파 성장이론의 비판적 검토," 산업경제연구, 제18권, 제5호, pp.1887-1904, 2005.
  14. J. Jacob, The economy of Cities, New York: Vintage Books, 1969.
  15. M. E. Conroy, The Challenge of Economic Development, Lanham: Lexington Books, 1975.
  16. R. M. Northam, Urban Geography, Chichester: John Wiley & Sons, 1979.
  17. 정원식, "지방자치시대의 도시 간 지역격차의 실태와 영향요인 비교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3권, 제1호, pp.141-160, 2001.
  18. J. Heilbrun, Urban Economics and Public Policy,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1.
  19. 정환용, "서비스산업과 도시성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9권, 제1호, pp.19-37, 1997.
  20. S. Illeris, The Service Economy: A Geographical Approach, Chichester: John Wiley & Sons, 1996.
  21. 임창호, 김정섭, "산업집적의 외부효과가 도시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pp.187-201, 2003.
  22. 강수연, 이희정, "도시 창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6권, 제5호, pp.81-92, 2011.
  23. D. Getz, Festivals, Special Events and Touris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1.
  24. 김성현, "지역축제의 지역경제활성화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4호, pp.221-246, 2005.
  25. 박희서,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강진청자문화제 방문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0권, 제1호, pp.77-94, 2008.
  26. 성도경, 이지영, "지역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축제영향 요인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5권, 제1호, pp.135-156, 2013.
  27. 최인식, 도시마케팅을 활용한 도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8. 조한범, 윤준호, 김미향, "프로농구 관중 특성에 따른 경기장 이벤트 유형별 선호도와 만족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55-165, 2006.
  29. 주수현, 유영명, "롯데 자이언츠 팀의 승률과 관중 관계 및 지역파급효과 분석," 지역사회연구, 제18권, 제4호, pp.73-89, 2010.
  30. 서원석, 곽정현, "대규모 프로스포츠시설 입지에 따른 도시특성요인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712-72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712
  31. 김상호, 유의동, "한국프로축구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37-250, 2006.
  32. S. J. Jackson, "Toward an Investment Theory of Sport Spectatorship," Play and Culture, Vol.1, No.4, pp.314-321, 1988.
  33. 이훈영, 통계학, 청람, 2010.
  34. 이해용, 이필용, 이야기로 배우는 통계학, 자유아카데미, 2003.
  35. R. O'Brien, "A Caution Regarding Rules of Thumb for Variance Inflation Factors," Quality and Quantity, Vol.41, No.5, pp.673-60, 2007. https://doi.org/10.1007/s11135-006-9018-6
  36. 오동훈, 이재순, 정만모. "공공문화시설 건립타당성 조사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19권, 제2호, pp.75-96, 2006.
  37. 김혜천, "실천성의 측면에서 본 우리나라 지역개발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정책과제," 도시행정학보, 제16권, 제3호, pp.129-143, 2003.
  38. 김태환,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방이전," 국토정책 Brief, Vol.58, pp.1-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