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ale Development and Validity on Obsessive Compulsiv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Enhance Life Care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척도 개발과 타당화

  • 유정인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 정주혁 (고려대학교 체육교육과)
  • Received : 2019.07.20
  • Accepted : 2019.08.27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ing obsessive compulsive and to verify structural validity from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rocedure for this purpose was firstly conducte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followed by item search and appropriateness assessment, then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version based on the preliminary criterion and checking the construct validity. After analyzing the factors of the criticism, We collected the data and analyzed the items and the factors from 387 respondents. The subjects were social obsession (4 items), psychological obsession (3 items) and physical obsession (3 items) The final determinant of the 10 factors was completed. We conducted A multivariate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gender and class satisfaction to confirm the external relationship review.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not only a high level of confidence from .856 to .907, but also reasonized and proved to be an obsessional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for the promotion of life care. These measures can be used as a data for measuring physical education compulsion in class.

본 연구는 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을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문항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3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적 강박(4문항), 심리적 강박(3문항), 신체적 강박(3문항)으로 총 3개 요인 10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확정된 척도에 대하여 성별 및 수업만족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여 외적 관계검토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856에서 .907까지 높은 신뢰수준을 보였을 뿐 아니라, 타당성이 확보되어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체육수업 강박 척도로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체육현장에서 학생들의 체육수업 강박 측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5B5A07918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