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육과

검색결과 1,306건 처리시간 0.033초

COVID-19에 따른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online class oper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COVID-19)

  • 유은혜;조건상;양동석;권용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9-36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초·중·고교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의 차이와 온라인 교육의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에 소속 된 166 명의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교차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성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용 유형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의 방법과 동기에 차이가 있었고 개선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직 경력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 동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교육 및 교사의 적응 및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근현대 학교체육교육의 선구자 마약한(馬約翰)의 체육교육사상과 업적 (A Study on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educational ideas of modern China ma yue-han)

  • 신의연;김연수;김대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129-137
    • /
    • 2021
  • 마약한(馬約翰)(1882-1966)은 중국의 근대 중국 복건성에서 태어난 체육 교육가이다. 그는 50년 가까이 중국 최고의 명문대 청화대학(淸華大學) 체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의 업적은 비단 중국 청화대에서 학생들의 건강한 신체를 양성하였다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는 중국 근현대 과도기의 학교 체육 발전과 교육방법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고, 당시 중국 근대와 현대를 잇는 주요인물로 성장하는 청화대학의 출신 인재들이 미국유학을 가기 전 단계에서 신체활동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심어주었다. 마약한(馬約翰) 체육사상의 형성의 기초는 그가 긴 세월 교육받은 성요한 대학과 청화대학 재직시절 집중 유학을 했던 스프링필드 대학에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마약한(馬約翰)은 당시 중국사회의 예민한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단 한 번도 직접 그의 체육사상을 언급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의 교육업적과 같이 활동했던 교수과 이들의 업적을 미루어 보건데 때, 마약한(馬約翰)은 강건한 기독교주의와 연관된 YMCA 기독교 체육정신의 영향을 받았고, 이를 대학의 교육현장에서 실천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노인체육 활성화를 위한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of the Elderly Physical Director for the Activation of the Elderly Sports)

  • 손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39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스포츠센터 및 노인체육센터 5곳의 노인체육지도자 22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성과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원들의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을 높여주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긍정심리자본이 노인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데 큰 의의가 있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체육과 경쟁활동 교수학습 모형개발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Physical Education and Competitive Activities Using Flipped Learning)

  • 전기찬;이동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51-357
    • /
    • 2022
  • 본 연구는 체육과 경쟁활동 플립러닝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는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모형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먼저 모형 개발 연구를 통하여 체육과 경쟁활동 플립러닝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어서 모형 타당화 연구를 통하여 모형의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의 체육 수업에서 학생은 수동적인 학습자에서 능동적인 학습자로 변화할 수 있고, 모형 내에서 제시한 협력형 활동을 통하여 기존의 체육 수업과는 다른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수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체육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 (The Improvements of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n the 6th Edition of KDC)

  • 이희진;김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1-317
    • /
    • 2013
  • 이 연구는 체육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과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체육학 분야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KDC 제6판 체육학의 분류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체육학의 학문분류체계는 체육학이론, 체육사회학, 체육심리학, 체육경영학 등 이론적인 분과학문 위주로 연구영역이 구분되어 있는 것에 비해, 문헌분류체계는 스포츠 위주의 세목으로 전개되어 있다.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유별 자료 분석결과 전체 344만여건 중 체육학 자료는 38,585건이며, 그 가운데 특히 692(체육학, 스포츠)에 22,870건이 집중되어 있다. 이는 스포츠 항목보다 이론적인 학문에 기반한 자료들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로 인해 하나의 분류기호에 많은 자료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분류항목을 중심으로 주제어 분석을 하였다. 셋째, 분류명사나 항목의 세분전개는 체육학의 학문적 특성과 주제어 분석을 반영하여 수정 전개하였으며, 항목간의 이동은 최소화 하였다.

노인들의 규칙적인 체육활동이 노후불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anxiety Level of Older People)

  • 전익기;이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53-96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후불안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며, 규칙적인 체육활동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노후불안 수준을 파악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노후불안 수준이 체육활동을 통해 얼마큼 감소되는지 밝혀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L노인대학, S노인대학, J노인대학, Y(a)노인대학, Y(b) 노인대학, D노인대학에 체육활동 강좌(건강체조, 게이트볼, 스포츠댄스) 수강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의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2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직접 기입방법과 일대일 면접법을 병행하여 총 2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Version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05로 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대응표본 t-test (Paired t-test),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노인들이 규칙적인 체육활동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노후불안 인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후불안은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첫째, 체육활동 실시 전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M=3.756), 실시 후에는 (M=1.942)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에 대한 두려움은 체육활동 실시 전 (M=3.443), 실시 후 (M=2.243)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외모에 대한 걱정에서는 체육활동 실시 전 (M=3.253), 실시 후 (M=2.310)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요인인 심리적 불안정 요인에서는 체육활동 실시 전 (M=3.060), 실시 후 (M=1.666)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이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요인 모두 사전테스트 전 보다 노후불안점수가 낮게 나타나 체육활동이 노인의 불안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산업 추이에 따른 학점은행제 체육전공 교과과정 운영 현황 및 개선 방향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nder the Credit Bank System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Sport Industry)

  • 박인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9-115
    • /
    • 2021
  • 본 연구는 스포츠 산업 발달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주목하고 이에 부응하는 새로운 체육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먼저, 학점은행제 체육계열의 교과과정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스포츠 산업에서 요구하는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스포츠 산업계의 융·복합적인 변화를 반영한 미국 대학의 체육 교과목과 국내 정규대학의 교과목을 조사하였다. 이에 현행 학점은행제 체육계열의 운영실태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의 정의/학점인정 대상 및 체육계열의 교육훈련기관 조사, 둘째, 체육계열 표준교육과정의 전공별 교육목표 및 자격과 인정학점 현황 조사, 셋째, 체육계열 학위별 교육기관의 유형과 운영 중인 전공 현황 조사, 넷째, 체육계열 교육기관의 지역별 운영기관의 현황 조사, 다섯째, 체육계열의 전공별 세부교과 분류 및 전공별 과목 현황 조사, 여섯째, 체육계열의 전공별 세부교과 및 국·내외 스포츠 산업 교과의 일치·유사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점은행제 교과과정의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변화에 맞춘 전공 교과목을 신설해야 한다. 둘째,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세부 전공별 필수 및 선택 교과목을 수정, 개발해야 한다. 셋째, 스포츠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현장실습 중심의 교과목을 늘려야 한다. 넷째, 학점은행제의 평가인정과 관련하여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와 정책방향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for Sports Facilities in Gangwon Province)

  • 김태동;김흥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65-288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소재된 공공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를 분석하여 도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 정부와 강원도 차원의 체육시설 안전관리 정책동향,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정책방향에서는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분석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추진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에서 설립한 개발 및 도시 공사, 대학, 협동조합 등을 활용한 전문기관 지정 운영, 체육시설 관련 안전관리사 운용요원 양성 및 육성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강원도 차원의 체육시설 안전관리 우수시설 지정 및 표창, 안전하고 대응 사례 발표회 개최, 스포츠안전체험한마당 개최, 스포츠안전교실 운영, 홍보만화 제작 등의 체육시설 안전문화 진흥 기반 조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타 시·도에 비해 많은 레저스포츠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 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강원도 지역여건에 부합하는 체육시설 안전관리 지원조례 제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 및 강원도형 체육시설 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체육영재의 영재성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Competition Intelligence of Sport Talented Children)

  • 김광회;김원현;김도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79-586
    • /
    • 2015
  • 어린 초등학교 2~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훈련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권역별 대학교를 중심으로 체육영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2~6학년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및 잠재력 검사를 통해 선발운영토록 한다. 하지만 현재 시행 중인 이러한 선발방법은 체육영재 학생들에 대한 질적 평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측정시점에서의 체력, 체격요인에 의하여 상위 순위에 의하여 체육영재를 선발하는 방식으로써 대상 학생들에 대한 잠재적 능력의 평가 및 내재적 평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영길(2011)의 경기지능을 바탕으로 체육영재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관찰방법에 기초한 영재성 판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회에 걸친 전문가 협의를 통해 체육영재 판별을 위한 하위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하위요인을 바탕으로 현장 지도자들의 관찰방법에 기초한 훈련지능, 학습능력, 실천지능의 요인별 16개의 평가문항을 개발,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문항은 체육영재 학생들의 질적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며, 아울러 체육영재 선발을 위한 내재적 평가 방법으로의 활용도 기대해 본다.

생활체육정책 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Sports for All Policy Patterns)

  • 조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57-467
    • /
    • 2012
  • 본 연구는 생활체육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생활체육정책의 국가 간 상이한 유형을 밝혀내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활체육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OECD 30개 국가 중 관련 자료의 취득이 가능한 26개국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화된 국가들의 결정요인을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비교분석을 위한 원인변수로는 1인당 GDP, 여가시간, 공공사회복지지출(SOCX), 지니계수, 빈곤율, 조세부담률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26개 국가들을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을 기준으로 군집화하여 국가별로 유형한 결과 세 가지의 유형을 발견하였으며, 한국은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이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별 생활체육정책의 유형이 발생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비교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한국이 속한 유형은 GDP, 여가시간, 공공사회복지지출(SOCX), 조세부담률과 부의 관계를 나타내며, 지니계수와 빈곤율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