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Under the Credit Bank System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Sport Industry

스포츠 산업 추이에 따른 학점은행제 체육전공 교과과정 운영 현황 및 개선 방향

  • Park, In-Hy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fo & Tech Institute of KwangWoon University)
  • 박인혜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교육원 체육학 전공)
  • Received : 2020.12.23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the physical education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new physical education to meet the needs of the sports industry.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is, the subjects of physical education at American universities and those at regular domestic universities have been investigated. Then,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system of the credit bank system has been investigated. The first is the definition of the credit banking system, the investigation of accreditation of credits and the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Second is the investigation of the educational goals and qualifications of each major in the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urrent status of accredited credits. The third is the type and operation of institutions by degree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survey on current majors in progress. The fourth is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ng institutions by region. The fifth is the classification of detailed subjects by major and the survey on the status of subjects by major. The last is the detailed subjects by major, and the analysis of the consistent or similar subject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orts industry subjects.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redit bank system curriculum have been suggested. Firstly,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major courses tailored to social chang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ndatory and optional cours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urses centered on field training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sports industry. Fourthly,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the credit banking system, the conclusion have been derived that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be urgently performed.

본 연구는 스포츠 산업 발달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주목하고 이에 부응하는 새로운 체육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먼저, 학점은행제 체육계열의 교과과정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나아가 스포츠 산업에서 요구하는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스포츠 산업계의 융·복합적인 변화를 반영한 미국 대학의 체육 교과목과 국내 정규대학의 교과목을 조사하였다. 이에 현행 학점은행제 체육계열의 운영실태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의 정의/학점인정 대상 및 체육계열의 교육훈련기관 조사, 둘째, 체육계열 표준교육과정의 전공별 교육목표 및 자격과 인정학점 현황 조사, 셋째, 체육계열 학위별 교육기관의 유형과 운영 중인 전공 현황 조사, 넷째, 체육계열 교육기관의 지역별 운영기관의 현황 조사, 다섯째, 체육계열의 전공별 세부교과 분류 및 전공별 과목 현황 조사, 여섯째, 체육계열의 전공별 세부교과 및 국·내외 스포츠 산업 교과의 일치·유사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점은행제 교과과정의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변화에 맞춘 전공 교과목을 신설해야 한다. 둘째,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세부 전공별 필수 및 선택 교과목을 수정, 개발해야 한다. 셋째, 스포츠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현장실습 중심의 교과목을 늘려야 한다. 넷째, 학점은행제의 평가인정과 관련하여 제도적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국, 김수현(2019). 스포츠계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평가에 따른 발전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195-206.
  2. 한남희(2015). 스포츠산업 컨버전스에 의한 교과과정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2: 185-192.
  3. 신진호, 정희석(2017).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 과정 실효성 검증.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9(5): 2721-2730.
  4. 한남희(2011). 국내 스포츠산업 트랜드에 따른 전문인력 양성 및 고용 전략.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4(1): 168-182.
  5. 방지선, 이정화(2007). 스포츠산업.경영 인력 양성 교과과정에 대한 교육자와 현장실무자간의 중요도 인식차이 연구. 체육과학연구. 18(2): 32-39.
  6. 조영호, 조한범, 최종필, 박세혁, 이정학(2004). 스포츠산업.경영 교과과정 개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9(1): 201-219.
  7. 고경진, 김민수, 김대희, 김태중(2019). 스포츠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관련 법령개정방안 연구: 「스포츠산업 진흥법」개정안을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30(4): 746-759. https://doi.org/10.24985/KJSS.2019.30.4.746
  8. 조정순, 서아람(2020). 한국 골프전문인력의 일자리 정책 발전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289-303.
  9. 박원비, 이현석, 진연경(20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점에서 바라본 태권도전공 교육 과정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3): 95-110.
  10. 전도선, 이은영(2018). NCS기반 전문대학 체육학과 교육과정 모니터링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7(2): 751-759.
  11. 김경희(2015). 학점은행제 미용학 전공교과과정 비교연구. 한국니트디자인학회지, 13(3): 83-91.
  12. 안귀호, 서숙희(2014). 학점은행제 무용학사 표준교육과정 현황과 교육기관 실태. 한국무용예술학회지 46(1): 19-46.
  13. 정진, 홍성규(2018). 2017년 학습과목 운영실태에 따른 학점은행제 실용음악 표준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 고찰. 음악교육연구, 47(3): 147-168.
  14. 김선영(2016). 패션분야 학점은행제 표준교과과정과 교육기관 현황 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지, 한국디자인포럼, 0(51): 67-82. https://doi.org/10.21326/KSDT.2016..51.006
  15. 박혜영(2017). 학점은행제 항공서비스 전공관련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5(6), 67-80.
  16. 김민서(2009). 학점은행제 체육계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이기태(2015). 학점은행제 체육학전공자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스포츠문화대학원.
  18. 김만수, 이상윤(2016). 학점은행제 체육학 전공생들의 스포츠대회 참여정도가 공동체의식과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371-381.
  19.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2020). www.cb.or.kr. /2020.08.12.-10.25.
  20. 류태호(2003). 한국 스포츠교육학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담론.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3): 65-79.
  21. 조우정, 전용배(2013). 수요자 중심의 교재개발을 위한 스포츠경영학 교과내용에 대한 중요도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8(6): 29-40.
  22. 김수잔(2013). 스포츠컨버젼스(융합)을 통한 가치창출. 제10회 국제스포츠산업포럼, 15-43.
  23. 김화섭, 강준호, 이진면, 김재진(2015). 스포츠 시장가치망에 따른 통계작성과 정책방향. 산업연구원.
  24. 윤미희(2014). 국내예술, 디자인대학의 융합 교육 현황 및 제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 431-444.
  25. 박종오, 정구헌, 윤윤진, 이다운, 오영창, 박은희, 김영배, 임소현, 강지원(2019). 2019년 학점은행제길라잡이. 서울: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6. 강은석, 문영재, 허승은(2019). 평생교육기관 체육계열학과생들의 학점은행제도 선택이유와 학습태도.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213-223.
  27. 나장함(2006).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지, 24(4): 181-202.
  28. 백은순(2004). 학점은행제에 대한 시론적 평가. 한국교육개발원, 31(2): 345-365.
  29. 남기혁, 최경호(2016). 스포츠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한 NCS(국가직무능력표준)활용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15-220.
  30. 현무성, 원형중(2016). 레저.스포츠 산업 현황 분석에 따른 체육 관련 전공의 특성화 방향. 여가학연구. 14(3): 113-127. https://doi.org/10.22879/SLOS.2016.14.3.113
  31. 성은모, 이성혜(2019).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 그리고 스마트미디어활용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분석.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2019(1): 138-149.
  32. 조민행(2016). 체육지도자 국가자격제도의 현안과 쟁점.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4): 161-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