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afety Management Status and Policy Directions for Sports Facilities in Gangwon Province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와 정책방향

  • Received : 2020.05.21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Public sports facilities, which have increased in number due to continued government attention and investment, are used by a large number of residents in the province. However, the safety management in some facilities is limited due to being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safety management standard manuals as a mere form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statu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Gangwon and to seek out a policy direction that can be used safely by provincial residents. To this end. the study made a comprehensive review of central government and Gangwon government policy trends in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in Gangwon along with actual cases, from which it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policy directions. First, it proposed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ized institutions using locally established development and municipal companeie,. universities and cooperatives. and the training and fostering of safety managers for sports facilities. Secod, i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to promote a sport facility safety culture such as designation of and commendation for excell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on the provincial level. holding case presentations on safety and responsiveness. sports safety experience plazas, sports safety classes, and cartoons for public relations. Third, it proposed setting the foundation for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greater quantity of leisure sports facilities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provinces. Fourth, it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basis to establish support ordinance for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that meets the local conditions in Gangwon. Fifth, it proposed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sports facilitie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in parallel with a basic plan for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tailored to Gangwon that matches the conditions on the ground in the region.

본 연구는 강원도 내 소재된 공공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를 분석하여 도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 정부와 강원도 차원의 체육시설 안전관리 정책동향,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정책방향에서는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실태분석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추진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에서 설립한 개발 및 도시 공사, 대학, 협동조합 등을 활용한 전문기관 지정 운영, 체육시설 관련 안전관리사 운용요원 양성 및 육성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강원도 차원의 체육시설 안전관리 우수시설 지정 및 표창, 안전하고 대응 사례 발표회 개최, 스포츠안전체험한마당 개최, 스포츠안전교실 운영, 홍보만화 제작 등의 체육시설 안전문화 진흥 기반 조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타 시·도에 비해 많은 레저스포츠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체계 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강원도 지역여건에 부합하는 체육시설 안전관리 지원조례 제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 및 강원도형 체육시설 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2015). 체육시설 안전관리 기본계획(2016-2020) 수립을 위한 연구.
  2.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8 국민체육참여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3. 강원도 체육과 내부자료. (2019). 2018년말 기준 강원도 공공체육시설 현황.
  4. 이용수, 최철호. (2012). 스포츠시설 안전규칙에 관한 공법적 고찰. 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1): 95-115.
  5. 김은경. (2016). 독일 체육시설 안전관리와 보험 제도에 대한 소고. 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1): 117-137.
  6. 유지곤, 김미옥. (2016). 체육시설 안전관리 현황 및 정책동향. 한국체육정책학회지, 제38권: 177-192.
  7. 김미옥, 김대희. (2017). 체육시설의 안전점검 제도화 및 전문기관 육성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0(3): 65-89.
  8. 손석정. (2017). 레저스포츠 시설의 안전관리 규제에 관한 법제도적 고찰, 한국체육정책학회지, 제43권:81-97.
  9. 김미옥, 유지곤, 고진수. (2018). 도시계획 관련법제도 개선을 통한 공공체육시설 활용 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1(4): 87-112.
  10. 강원도 체육과 내부자료. (2018). 강원도 체육시설 안전관리 기본방향.
  11. 행전안전부. (2018). 2017 재난연감.
  12. 한국소비자원. (2018). 2017년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및 통계분석.
  13. 다음. (2018). www.daum.net/.
  14. 민체육진흥공단. (2019). www.kspo.kr/.
  15. 민체육진흥공단. (2019). www.kspo.kr/.
  16. 강원도 체육관 내부자료. (2018). 강원도 체육과 내부자료 및 각 시.군 홈페이지.
  17.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시설 안전점검.교육 전문기관 육성 안전교육 제도화 방안 수립, 국민체육진흥공단.
  18. 행정안전부. (2017). 국민 안전문화교육 추진체계 및 기능강화 방안 연구.
  19. 국민체육진흥공단. (2017). 레저스포츠실태조사.
  20. 김대희. (2018). 레저스포츠산업 이렇게 달라집니다. 레저스포츠 진흥 및 안전기반 구축 토론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