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이자

Search Result 5,37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R페이지 - 국군인쇄창, 디지털 윤전실 개관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7
    • /
    • pp.134-134
    • /
    • 2012
  • 국군인쇄창이 스크린 디지털 윤전기를 도입하고 국방부 인사복지실장 등 약 35명의 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6월 12일 디지털 윤전실 개관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국군인쇄창은 디지털 윤전기 도입을 통해 완벽한 BOD(Book on Demand) 시스템을 갖췄다고 밝혔다.

  • PDF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이렇게 제정한다

  • Kim, Won-Ha
    • The tire
    • /
    • s.231
    • /
    • pp.20-23
    • /
    • 2007
  • 지금의 창경궁이 창경원이던 시절 꽃피는 봄이 오면 창경원 벚꽃 구경을 하기 위해 경향 각지에서 몰려드는 상춘객들로 인해 창경원 입구인 배오개 네거리(종로4가 네거리)는 대 혼잡을 이뤄 전차도 꼼짝 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경시청은 이 같은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1923년 4월 배오개 네거리 한 가운데 입에 호각을 문 교통순사를 배치했다. 아마 이것이 우리나라 교통경찰의 효시가아닌가 생각된다.

  • PDF

Angular Multiplexed Holographic Memory System using Moving Window on LCD (LCD에서 움직이는 창을 이용한 각다중화 홀로그래픽 메모리 시스템)

  • 김수길;김규태;김은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D
    • /
    • v.35D no.9
    • /
    • pp.70-76
    • /
    • 1998
  • By controlling the pixel of a LCD spatial light modulator electronically, we made a real-time moving window passing through the light on a LCD spatial light modulator. By using this LCD moving window, we suggested an angular multiplexed holographic memory system and in case of windows of 10$\times$10 pixels and 2$\times$2 pixels the total numbers of address are 1,536 and 38,400, respectively.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recorded and reconstructed 30 images by 30 input addresses.

  • PDF

Target Window Adjustment Method for feature point tracking in infra-red images (적외선 영상에서 특징점 추적을 이용한 추적창 조절)

  • Kang, Jai-Woong;Sung, Gi-Yeul;Jung, Young-Hun;Kim,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97-29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IR 영상추적을 위하여 가린 표적의 실제 중심을 예측하는 추적창 조절(target window adjustment) 기법을 제시한다. 대표적 분할 추적(patch tracking) 방식인 특징점 추적(feature point tracking)은 표적의 중심과 특징점을 coupling하여 가린 표적의 실제 중심을 예측할 수 있으나, 형상 정보가 적은 영상에서 표적의 ROI(Region of Interest)는 특징점의 분포만으로는 구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관추적의 추적창 조절 기법과 특징점 추적의 coupling 기법을 결합하여 표적이 장애물에 가리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추적창을 유지한다.

  • PDF

Study on the Estimation of Joint Length Distribution Using Window Sampling (조사창 조사를 이용한 절리 길이분포의 추정에 관한 연구)

  • 송재준;이정인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2
    • /
    • pp.21-30
    • /
    • 2001
  • 통계적 절리모델링에서 가장 불확실성이 큰 부분이 절리의 길이분포를 추정하는 것이다. 절리선 길이 분포의 추정에서 이제까지는 주로 조사선 조사(scanline survey)를 통한 절리선 반길이 분포를 이용하여 왔다. 이 연구에서는 포이송 디스크 절리모델에 대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절리선 길이 분포 추정방법을 찾기 위하여 조사창 조사를 이용하였다. 직사각형 및 원형 조사창에 대하여 양쪽 끝이 조사창 내부에 존재하는 절리선인 양끝내포선의 길이 분포와 한쪽 끝만이 존재하는 한끝내포선의 길이 분포를 이용, 절리선 분포를 추정하는 4개의 관계식을 각각 유도하고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유도식의 타당성을 검증한 후 각 유도식을 이용한 절리선 분포의 추정오차를 비교하였다. 또한 절리선 분포로부터 절리직경분포를 계산하는 수치적 해를 유도하고 컴퓨터 모의시험을 통해 수치적 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조사창 조사를 이용한 절리 길이의 추정방법은 앞으로 절리모델링 분야에서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n Passive Control of Pressure Oscillation inside Transonic Fighter Weapons Bay (천음속 전투기 무장창 압력 진동의 수동 제어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Yun, Won-Hyeok;Seo, Gang;Kim, Jong-A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387-39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천음속 전투기 무장창 내부의 압력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 F-111의 무장창을 2차원 공동(Cavity)으로 모델링하고, EDISON_전산열유체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의 형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의 전투기들은 항력 감소와 스텔스 기능을 위해 무기를 기체 안에 내장하는데, 덮개를 열 때 발생하는 공동 형상에 의해 강한 압력 진동이 유발된다. 이러한 진동은 무장창과 주변 기계 장치에 구조적 진동을 일으키고 고장 또는 파괴를 유발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의 원인이 되는 전단층(Shear layer)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연구된 형상(Leading edge extension 및 Ramp)과 본 연구에서 새로 제안한 Ramp extension을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압력 진동의 원인이 되는 유동 특성이 줄어들고 압력 진동 역시 감소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Complexity Reduction for Local Stereo Matching Method Using Modified SAD algorithm (SAD 정합 알고리즘 수정을 통한 지역기반 스테레오정합의 복잡도 감소 기법)

  • Chang, Yong-Jun;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18-221
    • /
    • 2014
  • 기존의 지역기반 스테레오 정합 방법은 정합에 사용하는 정합창 크기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갖게 된다. 특히 사용하는 정합창의 크기가 커질수록 영상의 잡음에 강인하지만 객체의 경계부분이 모호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고정된 크기의 정합창을 사용하는 지역기반 스테레오 정합 방법과 다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영상의 경계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계부분에는 작은 크기의 정합창을 사용한 변이값을 적용하고 경계가 없는 부분은 큰 크기의 정합창을 사용하여 얻은 변이값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경계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본 논문은 AND 연산을 사용하여 최대한 객체의 테두리만을 나타내는 경계값을 구하도록 하였다. 또한 두 가지 크기의 정합창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복잡도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존의 SAD 연산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복잡도를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정합창의 크기는 $5{\times}5$$15{\times}15$이며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15{\times}15$ 정합창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변이지도에서 객체의 경계부분은 더 잘 살리면서 수행시간을 줄여 효율적인 정합결과를 얻어냈다.

  • PDF

Delphi Study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 Choi, Kyou-L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2
    • /
    • pp.387-41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science gifted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by Delphi study. As a result by a total 3 round Delphi method,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science gifted students was to promote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the effectively interactive communications in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finding and solving. Thus this elicited the consensual agreements of experts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al aims, methods, contents, and evaluations etc. As a follow-up research will be developed science gift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The Influence of Unattended Distractors on the Identification of Targets (주의하지 않은 방해자극이 표적의 식별에 미치는 영향)

  • Park, Chang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4 no.4
    • /
    • pp.365-391
    • /
    • 2013
  •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the accuracy of report is impaired when a target was flanked by the same distractor than when by alternative distractor. To probe the nature of NRE, this study introduced attention window(s) indicating the positions where a target might be presented, and non-attention window(s) where a target could not be presented. Attention windows are supposed to help participants detect targets readily. Two among three positions are indicated by attention windows in Exp. 1, and a single large attention window encompassing central two positions among four positions was used in Exp. 2, and either large or small attention window was u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arget candidates in Exp. 3. In the result of three experiments, NREs were consistently observed when both positions of a target and a distractor were indicated by previous attention windows. However, NREs (including its tendency) and its opposite, PREs were observed when a distractor was presented in the non-attention position, depending on its distance from the target and the size of attention window. It seems that this pattern of repetition effects is hard to be explained by repetition blindness hypothesis (Kanwisher, 1991), positional uncertainty hypothesis (Keren & Boer, 1985), and inhibitory attention capture hypothesis (Kwak et al., 1993). Instead it was proposed that shifting of spatial attenti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with the structure of stimulus display. The promising role of this task was discussed in studying the relation of attention and perception.

  • PDF

Exploring the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창의 과정과 산물의 구조적 관계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 창의성 유형 탐색)

  • Kim, Minju;Lim, Chaes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33-4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plore,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the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For this, 105 fifth-graders responded to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that assesses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and four students who scored the highest were interviewed. In the interview, they were asked about the cognitive process they used in generating the creative product. The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along with the interview data, to type the studen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creative process and product gave satisfactory results in absolute and incremental fit indexes. Second, among the three components of creative process - knowledge, inquiry skill-observation,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 only creative thinking skil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reative product. Third, divergent thinking skills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creative product, followed by convergent thinking skills. Associational thinking skills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Fourth,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could be categorized into Creative Type, Useful Type, Original Type, and Non-creative Type, based on their creative product. The Non-creative Type could be further classified into Common Type, Repetitive Type, Non-response Type, Irrelevant Type, and Abstract Type. Fifth, most students used either knowledge or observation in their creative process, making them either Knowledge-oriented Type or Observation-oriented Type. In addition, there were DT Type, DT-CT Type, and DT-CT-AT Type among the students, based on the kind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they mainly used in the proces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