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lphi Study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 Received : 2012.05.18
  • Accepted : 2012.06.0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science gifted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by Delphi study. As a result by a total 3 round Delphi method,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science gifted students was to promote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the effectively interactive communications in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finding and solving. Thus this elicited the consensual agreements of experts about science gifted educational aims, methods, contents, and evaluations etc. As a follow-up research will be developed science gift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 창의 인성 교육, 영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총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결과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창의 인성 교육은 창의성을 중심으로 인성이 융합된 형태로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조화로운 인성 함양의 교육이라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영재교육의 목표와 방법, 내용, 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기초한 후속연구로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지 (2001). 중학교 영재교육원의 인성교육 현황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발전방향 탐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치순, 김재영, 강완, 김갑수, 유주선 (2009). 초등과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후속학습의 연계와 영재성 발현에 관한 연구. 과학영재교육, 1(1), 13-25.
  4. 김미숙 (2009).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8(2), 171-195.
  5. 김언주, 이군현, 이기문, 하종덕 (1998). 과학 영재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대전: 한국과학재단.
  6. 류은주, 김정은, 백성혜 (2011).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21(3), 659-682.
  7. 문용린, 최인수 (2010). 창의.인성 교육 총론. 2010 인천교육 심포지움. 인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8. 박경빈, 이미순, 전미란 (2010).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 . 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3), 681-701.
  9. 박문영, 이면우 (2007). 과학자를 소재로 한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초등과학교육, 25(5), 507-521.
  10.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접근. 영재교육연구, 20(3), 703-720.
  11. 손영완, 최도성 (2010). 초등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68-93
  12. 송인섭, 도승이, 이정규, 김누리, 성은현 (2011).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 융합형 창의 인재 육성. 영재와 영재교육, 10(3), 75-95.
  13. 심규철, 박상태, 박종석, 변두원, 김여상 (2003). 20년 후 자화상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의 미래 직업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13(2), 57-71.
  14.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07).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3), 463-493.
  15. 오미진, 이성태, 하동수, 조현욱 (2010).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중등생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 2(2), 19-38.
  16. 유미현, 전미란, 홍훈기 (2007). 과학영재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과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7(1), 99-122.
  17. 이연주, 전영석, 신영준, 홍준의, 이인호, 최정훈 (2008). ERIC 검색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45-52.
  18.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 (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307-317
  19. 이종성 (2006).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 임희준 (2010). 수학 과학 교과와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토론. 2010 인천교육 심포지움. 인천: 인하대학교교육연구소.
  21.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2. 최미향, 전영석 (2010). 초등과학영재 특성 도출을 위한 탐구활동에서의 담화분석. 영재교육연구, 20(1), 369-388.
  23.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 (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 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2), 89-112.
  24.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25. 하철봉 (2005). 성공한 과학자의 사례를 도입한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 직업관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6.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27.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28. Dajani, J. S., Sincoff, M. Z., & Talley, W. K. (1979). Stability and agreement criteria for the termination of Delphi stud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3(1), 83-90. https://doi.org/10.1016/0040-1625(79)90007-6
  29. Dunbar, R. (1995). The trouble with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30. Gravetter, F. J., & Wallnau, L. B. (2011). 사회과학통계방법론의 핵심 이론 [김광재, 김효동 역]. 서울: 커퓨티케이션북스. (원본출간년도: 2008)
  31. Ha, J., Moon, J., & Park, J. (2009). Trends of research on gifted education(1980s'-2007) in Korea.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9(3), 477-501.
  32. Jones, J., & Hunter, D. (1995). Qualitative research: consensus methods for medical and health services research. British Medical Journal, 311, 376-380. https://doi.org/10.1136/bmj.311.7001.376
  33. Landeta, J., & Barrutia, J. (2011). People consultation to construct the future: A Delphi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27(1), 134-151. https://doi.org/10.1016/j.ijforecast.2010.04.001
  34.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35. Lee, S. Y., & Olszewski-Kubilius, P. (2006). The Emotional Intelligence, Moral Judgment, and Leadership of Academically Gifted Adolesc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1), 29-67.
  36. Lovecky, D. V. (1997). Identity development in gifted children: Moral sensitivity. Roeper Review, 20, 90-94. https://doi.org/10.1080/02783199709553862
  37. Monks, F. J. (1992).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The issue of identification and programming. In F. J. Monks & W. A. M. Peters (Eds.), Talent for the future (pp. 191-202). Proceedings of the Nin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Assen, The Netherlands: Van Gorcum.
  38. Murphy, M. K., Black, N. A., Lamping, D. L., McKee, C. M., Sanderson, C. F., Askham, J., et al. (1998). Consensus development methods, and their use in clinical guideline development.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3), 1-88.
  39. Okoli, C., & Pawlowski, S. D.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42(1), 15-29. https://doi.org/10.1016/j.im.2003.11.002
  40. Piechowski, M. M. (1991).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giftedness. In N. Cok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85-306).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41. Powell, C. (2003). The Delphi technique: myths and realit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1(4), 376-382.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3.02537.x
  42. Renzulli, J. S. (2005).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246-279).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Roeper, A. (1995). Education children for life. Monroe, NY: Trillium.
  44. Rowe, G., & Wright, G. (1996). The impact of task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structured group forecasting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2(1), 73-89. https://doi.org/10.1016/0169-2070(95)00658-3
  45. Rowe, G., & Wright, G. (1999). The Delphi technique as a forecasting tool: issues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5(4), 353-375. https://doi.org/10.1016/S0169-2070(99)00018-7
  46. Rowe, G., & Wright, G. (2001).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J. Armstrong (Ed.). Principles of forecasting (pp. 125-144). Boston: Kluwer Academic.
  47. Rowe, G., Wright, G., & Bolger, F. (1991). Delphi: a reevaluation of research and theor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39(3), 235-251. https://doi.org/10.1016/0040-1625(91)90039-I
  48. Sawyer, R. K. (2004). Creative teaching: Collaborative discussion as disciplined improvisation. Educational Researcher, 33(2), 12. https://doi.org/10.3102/0013189X033002012
  49. Sawyer, R. K. (2006).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0. Sternberg. R. J. (2005). The WICS model of giftedness.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327-34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Tirri, K. (2010). Combining Excellence and Ethics: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for the Gifted. Roeper Review, 33(1), 59-64. https://doi.org/10.1080/02783193.2011.530207
  52. Zaccaro, S. J., Rittman, A. L., & Marks, M. A. (2002). Team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2(4), 451-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