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의적 환경

검색결과 641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정의적·인지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Causal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ity)

  • 오미형;최보가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5-70
    • /
    • 2007
  •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causal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233 5- and 6-year-old children,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the City of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Major results were that (1) creative home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thinking,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2) Children's motivation 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3) Children's temperament directly affected motivation and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motivation. (4) Children's intelligence directly affected knowledge, and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thinking through knowledge.

  • PDF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About the Component and Definition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in a Domain-specific View of the Creativity)

  • 임성만;양일호;임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31-43
    • /
    • 2009
  •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 과학적 창의성을 다룬 논문들을 내러티브 리뷰의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한 것이다. 창의성을 바라보는 2가지 입장 중에서 한 가지인 영역 특수적인 입장은 창의성에 대해 "그 아동이 얼마나 창의적인가?"라는 창의성의 일반적인 입장에서 "그 아동은 어느 영역에서 창의적인가"라는 영역 특수적인 접근방법으로 창의성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과학을 바라보았을 때, 과학적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으며, 또 어떤 구성 요인들로 이루어졌는가를 탐색해 본 연구이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본 연구는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인은 정의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를 보이는 과학적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은 과학 관련 지식, 과학 탐구과정, 문제 발견력, 문제 해결력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는 보다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대한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동기 가정환경과 동기 유형이 성인기 정서지능과 창의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기 회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Childhood Motivational Style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in Adulthood : Based on the Recalled Childhood)

  • 김양은;양미선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3-386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predictive power of past experiences in the home environment and motivation styles on lat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Subjects were 80 college students. Results indicat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motivation in childhood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in adulthood.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motivation in childhood affected emotional intelligence in adulthood. Internal motivation in childhood predicted creative thinking in adulthood and was also related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 PDF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스마트미디어 기반 교육 현황 및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based on Smart Media in th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vergence)

  • 이상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3-516
    • /
    • 2020
  • 방통융합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가 진화함에 따라 기존 미디어 환경은 실감화, 지능화, 연결화, 융합화 되는 스마트미디어 시대로 진입하면서 인간 생활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기존 교육 환경이 학교의 틀에서 일방향의 형태로 지식을 전달하는 체제이지만,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입하면서 사회는 굳은 조직과 질서의 틀을 벗어나 빠르게 다변화 하고 복잡해지는 사회 구조가 되어 가고 있어 지식을 쌓는 전통적인 교육보다는 당면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을 키워주어야 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미디어를 교육 시스템에 활용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창의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의 성취도, 만족도, 몰입도 등에서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와 미래의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바람직한 교육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성격특성과 문제행동간의 관계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Creativity and Behavioral Problems)

  • 박성선;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9-132
    • /
    • 2014
  • 유아가 환경이나 또래와의 놀이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하게 되는 놀이성과 놀이과정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창의적 성격특성이 유아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공 사립 유치원 7개원에 재원중인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 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놀이성 측정도구는 CPS, 창의적 성격특성 측정도구는 이경화(2013)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통합 창의성 검사' 중 창의적 성격특성 측정도구만을 사용하였고, 유아문제행동 측정도구는 PKB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Scheffe의 사후검증, Durbin-Watson 값과 VIF 값을 확인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놀이성, 창의적 성격특성, 문제행동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놀이성과 창의적 성격특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놀이성과 문제행동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창의적인 성격특성과 문제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놀이성과 창의적 성격특성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들의 창의적 성격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행동들에 대해서는 문제행동이라고 단정 짓지 않고, 창의적 성격특성을 인정하고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사의 태도 관점에서 유아들을 존중하고 허용하며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중소기업 구성원의 동기와 창의적 작업환경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인 흡수역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Creative Work Environment of SME Members on Innovative Behavior : Focused on Individual Absorption Capacity)

  • 문경목;서영욱;정종서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4호
    • /
    • pp.57-7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구성원의 동기와 창의적 작업환경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개인적 흡수 역량에 따른 차이점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중소기업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을 대상으로 전문리서치 회사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여 350부를 회수하였으며, SPSS 28과 Smart PLS 3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접근동기와 창의적 작업환경은 개인의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이는 개인의 흡수역량에 따라 유의한 차이점을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인적 자원이 물적 자원보다 중요한 중소기업에서 혁신적 조직경영을 위해 중소기업은 창의적 작업환경을 제공하고, 구성원이 긍정적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둘째, 개인적 흡수역량에 따라 혁신행동이 다르게 나타나며, 혁신행동은 기업 성장의 주체가 되므로 구성원에게 긍정적 동기 부여와 함께 개인적 흡수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A Study on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 임철일;홍미영;이선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3-1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웹 기반 학습환경에 주목하여,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이러닝 요소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학습환경 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학교육과 창의성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일반적인 설계 원리 일곱 가지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일반적인 설계 원리들을 구조화할 수 있는 세 가지 이론적 구성 요소를 확인하여 모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설계 원리의 구현 과정을 안내할 수 있는 상세 설계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실제적으로 학습환경을 구현하게 될 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Creative Product Achievement for Informatics Gifted Children by their Motive and Parental Support)

  • 곽소아;권대용;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1-51
    • /
    • 2014
  • 최근 정보영재 교육기관은 정보영재의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고 이를 지속, 확장 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연구가 부족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정보영재의 인지적인 측면에만 집중되어 있어, 정보영재의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 활동 교육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 정보영재 56명의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의적, 환경적 변인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정보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는 내적동기가 높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지지 또는 외적동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 및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mployee's Innovative Performance: Climate for Creativity as a Mediator and Innovative Tendency as a Moderator)

  • 김영명;안효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2호
    • /
    • pp.247-285
    • /
    • 2014
  •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일로부터 추구하는 '재미'의 중요성 - 창의 노동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고찰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enjoyment' from creative work -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labor)

  • 안채린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5-144
    • /
    • 2017
  • 본 연구는 창의 노동자들의 업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생산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6명의 예능 방송 PD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창의 노동자들의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일을 통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로 해석되었다. 이는 외부적 시각을 바탕으로 한 재미와 창의적 생산자로서 경험하는 재미의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어서 창의 노동자들의 내재적 동기는 창의적 업무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충돌과 갈등(시청률, 경제적 안정성, 일-삶의 균형)에 맞서 해당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강한 원동력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창의 노동자들이 창의 노동 과정에 산재해있는 자기 착취적 요소들까지도 자발적으로 감내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이상적이지 않은 창의 노동 조건과 환경을 받아들이고 창의 노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창의 노동자들의 특수한 경향에는 일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가 기초되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