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4.119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 Creativity and Behavioral Problems  

Park, Sung Sun (SK뜰에 어린이집)
Seo, Hyun Ah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4, 2014 , pp. 119-13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ability to creatively problem solve can affect their behavior.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creases with in creas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traits and behavioral problems decrease with increasing of playfulness.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increase with increasing of creative personality traits. In additi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behavioral problems. The impact on the behavioral problems with variables for playful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trait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reative curiosity, a sense of humor and expression of fun. The cognitive and physical spontaneity of the playfulness are correlated positively to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Keywords
young children's playfulness; creativity; behavioral problem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2 Bates, J. E., & Wachs, T. D. (1994). Temperament: individual differences at the interface of biology and behavior .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
3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 Basic Books.
4 Guerin, D. W., Gottfried A. W., & Thomas, C. W. (1997). Difficult temperament and behaviour problems: a longitudinal study from 1.5 to 12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1, 71-90   DOI   ScienceOn
5 Nakagawa, A. (1991). Role of anterior and posterior attention networks in hemispheric asymmetries during lexical decisions.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3, 313-321.   DOI   ScienceOn
6 Rothbart, M. K., & Bates, J. E. (1998). Temperament. In W. Damon, & N. Eisenberg(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1-77. New York : John Wiley & Sons.
7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New Jersey : Prentice-Hall.
8 Urban, K. K. (1995). Creativity-A componential approach.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Beijing, China, August. 5-8.
9 심미경, 유연옥(2003). 아동의 인지양식에 따른 사회적응 문제행동. 교육심리연구, 17(2), 71-88.
10 안효진, 임연진(2010). 유아의 놀이성, 적응, 문제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아동학회지, 31(2), 53-68.
11 옥경희, 김미해, 천희영(2002). 조절력과 부정적 정서 및 문제 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61-68.
12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유영창(1999). 문제행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경화(2002). 4, 5세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교육심리학회, 16(3), 147-160.
15 이경화(2013). 유아용 통합 창의성 검사. 서울 : 학지사.
16 이미자(2000).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전경원(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19 조혜진(2004).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최미숙, 김세루(2007). 또래 간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6(2), 171-183.
21 최인수(2001). 유아의 창의적 특성과 교육적 시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8(2), 103-129.
22 Anderson, S., & Messick, S. (1974). Social competency in young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0, 282-293.   DOI
23 한누리(2013). 유아의 문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한유진(2004). 아동의 정서조절 동기 및 정서조절 능력과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42(3), 65-77.   과학기술학회마을
25 황혜신, 황혜정(2001). 유아의 인지능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3), 25-34.   과학기술학회마을
26 권수진(2007).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유아의 놀이성,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강정원, 이경민(1999). 부적응 행동 유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 165-179.
28 강문희(1994). 아동의 사회 정서적 적응과 창의성. 서울 : 창지사.
29 권미경, 김혜원, 안혜영, 이주원(2005). 학령기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 아동간호학회지, 11(1), 132-141.   과학기술학회마을
30 김민정, 엄정애(2005). 유아의 혼자놀이와 기질 및 문제 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1-14.
31 김숙령(2006). 가정환경 및 어머니 양육태도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성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8(2), 5-18.
32 김숙령, 이성희(1998). 유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및 사회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1, 14-23.
33 김준규, 박희숙, 추성경(2005). 유아생활지도. 서울 : 동문사.
34 김준희(1999).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성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백희정(2013). 유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특성이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Duffy, B. (2006). Supporting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e early years. NY : Open University Press.
37 송민영(1998).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송진숙, 권희경(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3), 207-225.
39 전경옥(2008). 유아의 놀이성의 창의성과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