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enjoyment' from creative work -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labor

일로부터 추구하는 '재미'의 중요성 - 창의 노동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고찰

  • An, Chairin (Sookmyung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안채린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 Received : 2017.11.08
  • Accepted : 2017.12.18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actual 'content' and 'role' of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reative laborers during the creative production process. Based on semi-structured intensive interviews with 16 light-entertainment television PDs in South Korea, this paper articul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towards creative work could be understood as a desire to maintain their level of enjoyment from creative work. The desire was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of 'enjoyment', one was the enjoyment based on the expectation regarding the creative job, and the 'enjoyment' experienced primarily related to the creative production process that allows creative workers to actualize individual creative ambitions. In addition, such intrinsic motivation tended to provide a strong driving force for creative workers as they endured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that resulted from market principles(viewership ratings), economic stability, and work-life balance.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tendency of creative workers to endure various undesirable working conditions is based on a strong intrinsic motivation to maintain their level of enjoyment from their creative career.

본 연구는 창의 노동자들의 업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생산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6명의 예능 방송 PD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창의 노동자들의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일을 통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로 해석되었다. 이는 외부적 시각을 바탕으로 한 재미와 창의적 생산자로서 경험하는 재미의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어서 창의 노동자들의 내재적 동기는 창의적 업무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충돌과 갈등(시청률, 경제적 안정성, 일-삶의 균형)에 맞서 해당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강한 원동력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창의 노동자들이 창의 노동 과정에 산재해있는 자기 착취적 요소들까지도 자발적으로 감내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이상적이지 않은 창의 노동 조건과 환경을 받아들이고 창의 노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창의 노동자들의 특수한 경향에는 일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가 기초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