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 임철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 홍미영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
  • 이선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 Received : 2011.05.03
  • Accepted : 2011.06.23
  • Published : 2011.07.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Recent studies about the online support system and the blended learning pertinent to creativity have provided us with some new perspectives on how to teach the creativity in engineering college. A learning environment design model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the engineering students. A model was developed by following three steps: finding out the general principles for enhanc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education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extracting the theoretical components for the model by categorizing the general principles; and finally, developing specific guidelines based on those theoretical components. Seven general design principles and three theoretical components could be identified, and a set of specific design guidelines was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guiding the future development projects for creativit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웹 기반 학습환경에 주목하여,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이러닝 요소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학습환경 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학교육과 창의성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일반적인 설계 원리 일곱 가지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일반적인 설계 원리들을 구조화할 수 있는 세 가지 이론적 구성 요소를 확인하여 모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설계 원리의 구현 과정을 안내할 수 있는 상세 설계 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실제적으로 학습환경을 구현하게 될 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희(2009). 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2(3), 59-72.
  2. 곽문규(2004). 창의적 공학설계 교육 현황 및 발전 방안. 동국대학교 자료.
  3. 구양미, 김영수, 노선숙, 조성민(2006).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웹기반 교수-학습 모형과 학습환경 설계. 교과교육학연구, 10(1), 209-234.
  4. 김병식(2001). 공학교육의 미래. 공업화학 전망, 4(1), 8-12.
  5. 김영채(2008).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6. 김진성(2010). 천장을 30㎝ 높일 때마다 창의성이 2배로 좋아져요. 삼성경제연구소. 2010. 04. 24. 출처: http://www.ch osun.com/site/data/html_dir/2010/04/23/2010042301903.html
  7. 민계식(2007). 산업계에서 원하는 조선공업의 인재상과 공학 교육의 방향. 현대중공업 CTO 서울대 특강 자료.
  8. 박강, 김병재, 김영욱, 박용원, 장혁수(2005). 창의공학. 서울: 서현사
  9. 박철수, 박수홍, 정선영(2010).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방법의 대학수업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1), 23-37.
  10. 서혜애, 조석희, 김홍원(2002). 창의성 계발 교수 학습 모형 및 자료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02-OX, 한국교육개발원.
  11. 유봉현(2000).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12. 이경화(2006). CPS를 활용한 미래도시건설 프로젝트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0(2), 487-506.
  13. 이길성(2010). 사물실 천장이 높을수록 창의력도 높아진다. 조선일보, 2010. 12. 21. 출처: http://biz.chosun.com/site/data /html_dir/2010/12/20/2010122001702.html
  14. 이상수, 이유나 (2007).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블렌디드 수업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3(2), 135-159.
  15. 이상수, 이유나 (2008). 협동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온라인 지원시스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5), 19-32.
  16. 이종연, 구양미 (200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온오프 연계 수업의 전략적 운영방안 탐색 -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학교교육, 34(2), 7-178.
  17. 임철일, 윤순경, 박경선, 홍미영(2009). 온라인 지원 시스템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활용하는 통합형 대학 수업 모형의 개발. 교육공학연구, 25(1). 171-203.
  18. 임효희, 김오연, 신경훈, 유혜원, 백윤수(2009). 창의성 증진 교육방법의 개선방안. 한국공학교육학회, 12(4), 135-141.
  19. 차영수, 김정섭(2010). 문제찾기 중심의 수업이 공과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20(1), 99-111.
  20. Barden, I. (2007). Enhanc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2(5), 573-585 https://doi.org/10.1080/03043790701433061
  21. Chen, C., Jiang, B., & Hsu, K. (2005). An empirical study of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curriculum reform in fostering students' creativity.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0(2), 191-202. https://doi.org/10.1080/03043790500087423
  22. Court, A. (1998). Improving creativity in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3(2), 141-154. https://doi.org/10.1080/03043799808923493
  23. Foster, F. & Brocco, M, (2008). Understanding Creativity- Technique Based Problem Solving Processe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5178, 806-813.
  24. Grabe, M. & Grabe, C. (2000). Integrating the internet for meaningful learning.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5. Hamza, M. K. & Griffith, K. G. (2006). Fostering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hinking in the classroom: cultivating a creative mind. National Forum of Applied Educational Research Journal-Electronic, 19(3), 1-30.
  26. Isaken, S. G. & Treffinger, D. J. (1985).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Buffalo, NY: Bearly Ltd.
  27. Jonassen, D. H. (1996). Computers in the classroom.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8. Mills, S. & Treagust, D. (2003). Engineering education: is problem-based or project-based learning the answer? Australasia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2003-04.
  29. Nguyen, L. & Shanks, G. (2009).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reativity in requirements engineering.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51, 655-662. https://doi.org/10.1016/j.infsof.2008.09.002
  30. Osborn, A. F. (196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3rd ed.).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31. Parnes, S. J. (1977). Guiding Creative Action. Gifted Child Quarterly, 21, 460-476. https://doi.org/10.1177/001698627702100406
  32. Reigeluth (1983). Instructional design: what is ti and why is it?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3. Shneiderman, B. (2002). Creativity Support Tools. In B. Shneiderman(ed.), Leonardo' Laptop: Human Needs and the New Computing Technologies. MIT Press.
  34. Stenberg, E. & Wilson, M. (2006). Neuroscience and architecture: Seeking common ground, Cell 127, October 20. Retrieved February 24, 2011, from http://download. cell.com/pdf/PIIS0092867406013043.pdf?intermediate=true
  35. Stouffer, W. B., Russell, J. S., & Oliva, M. G. (2004). Making the strange familliar: creativity and the future of engineering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2004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36. Theil, D. (2006). Creating Innovation Toolkit. Retrieved February 24, 2011, from http://www.gu.edu.au/centre/gihe /griffith_graduate/toolkit/creativity/why03.html
  37.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 Waco, TX: Prufrock Press.
  38. Treffinger, D., Sortore, M, & Cross, J. (1993). Program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creativity,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Oxford: Pergamon.
  39. Wu, L. J. & Hsiao, H. S. (2004). Using a Knowledge-Based Management to Design a Web-Based Creative Problem Solving System. In Liu et al. (Eds.): ICWL 2004. Berlin Heidelberg: Springer-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