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의적 가정환경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home environment of father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 김형재;구성수;이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44-18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6곳의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유아들로, 4세 85명(남아 45명, 여아 40명), 5세 140명(남아 69명, 여아 71명), 전체 225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의 정서지능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에서 그들의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간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유아기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며, 이때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의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집단창의성과 창의적 환경 (Group Creativity and Creative Environment by Gender of University Students)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16-842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집단창의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또한 창의적 환경과 집단창의성간의 상관에 때하여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창의적 환경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교실환경으로 구분되며 학생들의 그룹수업 경험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31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교실환경검사와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가 각각 실시되었으며 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집단으로 구성한 뒤 에세이 작성을 실시한 후 전문가에 의해 채점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에 의해 통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학생과 여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점수는 의미있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의 집단창의성과 환경과의 상관은 남학생들의 상관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언급되었다.

한국적 창의성과 창의적 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이론 (College students' implicit theory of Korean creativity and creative environment)

  • 성은현 ;한순미 ;하주현 ;이정규 ;류형선 ;한윤영 ;박병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367-3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한국적 창의성 개념과 대학생들이 창의성을 어느 정도 발휘하고 있는지, 그리고 창의성의 저해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하였다. 더불어 한국의 창의적 인물의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에 대한 대학생들의 암묵적 생각을 탐색하였다. 한국적 창의성은 융통/응용/변환, 독창성, 꾸준한 노력, 탈고정관념, 예술 심미 선호, 온고지신을 포함하였다. 대학생들은 스스로 창의성을 보통 이상(M=3.2)으로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예체능계열이, 성별에 있어서는 남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창의성을 더 많이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창의성 저해요인으로는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와 융통성 없는 사회풍토를 포함하는 사회제도적 요인들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적인 인물들이 가난한 가정환경과 부유한 가정환경이라는 극단적인 경제 환경을 가졌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화목하고 민주적이고 자유로우며 지지받는 가정 분위기를 가졌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생활 및 환경에 대해서는 창의적 인물들이 학교교육 및 학교생활에 부적응했다고 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교우관계는 긍정적이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본 연구는 한국적 창의성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탐색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창의 성향, 환경, 과정, 산물의 상관 분석 및 과학 창의성 상·하위 학생의 창의 성향과 환경의 차이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and Environment between Higher-Level and Lower-Level Students in Scientific Creativity)

  • 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395-417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 성향, 환경, 과정, 산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 과정과 산물을 측정하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창의 성향과 환경에 관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5명에 투입하였다. 검사 도구에서 창의 성향은 인지적 성향과 정의적 성향으로, 창의 환경은 가정환경과 학교 환경으로 구성된다. 또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탐구하기 위하여 창의 과정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았으나 창의 산물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4명의 학생과 창의 산물 점수가 가장 높은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성향 및 환경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는 면담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 성향과 환경이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생 면담 결과,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공통적인 창의 성향 특징으로 미래의 성공을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 참을 수 있다는 점, 주변 사람들의 말을 비판적으로 듣는다는 점이 있었다. 셋째,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은 자유로운 의견을 존중해주는 가정환경에 있지만, 과학 창의성이 낮은 학생은 자신의 의견을 무시 혹은 그에 반응하지 않는 가정환경에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과학 창의성 교육의 정의적, 환경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적 가정환경과 정의적·인지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Causal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ity)

  • 오미형;최보가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5-70
    • /
    • 2007
  •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causal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233 5- and 6-year-old children,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the City of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Major results were that (1) creative home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thinking,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2) Children's motivation 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3) Children's temperament directly affected motivation and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motivation. (4) Children's intelligence directly affected knowledge, and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creative thinking through knowledge.

  • PDF

아동기 가정환경과 동기 유형이 성인기 정서지능과 창의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기 회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Childhood Motivational Style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in Adulthood : Based on the Recalled Childhood)

  • 김양은;양미선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3-386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predictive power of past experiences in the home environment and motivation styles on lat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Subjects were 80 college students. Results indicat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motivation in childhood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e thinking in adulthood. Home environment and internal motivation in childhood affected emotional intelligence in adulthood. Internal motivation in childhood predicted creative thinking in adulthood and was also related to creative home environment.

  • PDF

유아의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e Home Environment, Social economic status, and Leadership of Children)

  • 김민영;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9-284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5세 유아 173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출생순위, 모 학력, 모 취업여부, 총수입)에 따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출생순위에서 둘째 이상인 유아가 첫째보다 대인관계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대졸 이상의 학력인 어머니가 전문대 이하 학력인 어머니보다 가족압력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정의 총소득에 따라서는 월 400만원 이상인 가정의 유아가 논리 수학지능, 자연이해지능, 언어지능, 학습환경, 아동존중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중지능, 창의적 가정환경, 유아 리더십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영역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수입, 언어지능, 가족압력이 주도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총수입, 가족압력은 사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지능, 대인관계지능, 학습환경이 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압력이 리더십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학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Creative Hom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 오미형;최보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access a creative home environment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were 296 children aged 5 to 6 years(148 males and 148 females) and their parents. The methods for data analysis included item analysis,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Pearson correlations between 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RSCCP) and this scale for concurrent validity,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The 44 items of the scale were found be satisfactory in terms of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item discrimination.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subscales labelled 'respect for the child', 'enriched learning environment', 'stimulation of independence' and 'family pressur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is scale was accessed by computing the correlation measures of RSCCP with this scale. Most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Cronbach's ${\alpha}$ ranged from.75 to.86 for the 4 subscales and.85 for the total scale.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년기 한국 위인 3인의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 Factors, Family Backgrounds and Pareanting Styles of 3 Great Korean in Their Childhood through Narrative Inquiry)

  • 채동현;조대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2-224
    • /
    • 2021
  • 유년기의 교육은 사람 인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미래 사회에 필수적인 창의성과 같은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유년기에 효과적인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3명의 한국 위인의 유년기에 대한 창의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 양육방식의 특성을 확인하고, 3명의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위인 3인들은 모두 지적 호기심, 생산적인 사고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대부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가정에서 태어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고, 자신을 지지해주는 사람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들 주위에는 재능을 발견하고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육자가 존재하였고, 이들의 부모들은 자녀와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였다.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및 환경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the Creativity and Environment-Awarenes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nvironmental Education)

  • 최청림;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15-132
    • /
    • 2003
  • 본 연구는 제 7차 실과교육과정의 6학년 재활용품 만들기 단원에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환경의식 및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를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서 초등 실과 환경 단원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초등실과환경 단원에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안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안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간의 환경의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초등실과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실과수업을 받은 아동은 환경의식 점수가 의의 있게 향상되어,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환경의식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환경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이 실천적이고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생활 습관에 관련된 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환경 보존 실행의지가 강화되고, 스스로 찾은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을 전개하고 환경관련 주제에 대해 다양한 기능이 배양된 것으로 학생들의 환경의식과 실천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용 만들기가 우리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서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둘째, 실과교과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적용은 아동의 창의성 검사결과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주변의 환경에 대해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탐색 영역을 넓히려는 민감성이 생겨났고, 의식적, 무의식적 강박 관념을 없애고 일단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수용하고 활용함으로써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커졌으며, 자신에게 익숙한 관점에만 고착되어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론을 내리는 경향에서 벗어나 고정적인 사고의 틀을 깨고 발상 자체를 전환시켜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생각이 변환되어 자기만의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된 것으로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초등실과환경 단원의 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 모형의 적용은 아동의 환경의식과 창의성을 신장시킨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