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효능감

Search Result 19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창직선택 요인이 창업효능감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창직과정 프로그램을 수료한 대학생 대상

  • Kim, Eun-Ju;Yang, Yeong-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01-106
    • /
    • 2020
  • 본 연구는 청년취업아카데미 창직 프로그램을 수료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선택의 요인이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창직 프로그램 과정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직업선택요인이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고, 둘째, 창직 프로그램 과정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직업선택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 한다. 셋째, 창직 프로그램 과정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창업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한다. 넷째, 직업 선택요인과 창업의도에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한다.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 직업선택요인 중 직업장래성은 창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경제성은 창업 효능감에 부적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효능감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장래성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효능감은 직업선택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년취업 아카데미 창직과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교에서 성과창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요소파악 및 적용에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Youn, Ji-Su;Hyun, B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687-711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은 창업효능감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모두 정(+)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 PDF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Hwan;Choe, Min-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01-204
    • /
    • 2016
  •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각각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여 학문적 시사점은 물론 창업교육을 개발함에 있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의성과 연관되어 있는 요인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창업과정에 있어 꼭 필요한 요소이다. 해당 영향요인에 관해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국내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와의 구조적관계모형

  • Kim, Yeong-Dae;Bae, Byeon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85-93
    • /
    • 2020
  •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의 선행 변수을 규명하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창업동기와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1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동기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6은 기각되었다. 진취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7은 기각되었다. 혁신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8은 채택되었다. 위험감수성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9는 기각되었다. 창업동기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0은 채택되었다. 창업효능감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이나, 창업동아리활동, 창업경진대회 등의 활동경험이 없는 전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창업가정신, 창업동기 및 창업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구조관계를 실증 연구하였다는 것이 선행연구의 차별점이다.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제시하였다.

  • PDF

체육 동호인들의 개인적 특성, 네트워크 요인, 창업지원 인식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윤환;이원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49-52
    • /
    • 2023
  • 최근 첨단기술의 발달로 인해 기존의 생산업들보다 고 부가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아이디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창업은 참신한 아이디어로 고 부가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할 수 있고 국가의 정책적으로도 많은 창업을 이끌어 내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창업 중 스포츠 창업의 분야에서 체육동호인의 개인적 특성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이러한 관계에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요인의 조절효과 영향에 대하여 밝히고자 한다. 창업의지의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특성 요인과 네트워크 요인, 창업지원 인식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 요인들은 창업효능감의 조절로 인하여 더욱 활동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창업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로 잠재적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혁신성), 네트워크 요인(온라인 교류, 오프라인교류), 창업지원 인식 요인(동호회 창업지원 인식, 정부 창업지원 인식), 조절변수로는 창업효능감, 종속변수로는 창업의지의 내용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Career Uncertainty (예비창업자의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의 관계: 창업교육 및 진로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Chun;Kim, JuSeo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3
    • /
    • pp.27-38
    • /
    • 2019
  • Recently, domestic universities have emphasized career path to start-up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SE) and entrepreneu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E on entrepreneu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lso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career uncertainty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236 university students in Cheonan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ESE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gher 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lower. But students with a lower entrepreneurial education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higher.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career uncertainty was confirmed in relationship between ESE and entrepreneurship. In other words, university students with a higher career uncertainty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higher. But students with a lower career uncertainty showed higher entrepreneurship when ESE was lower. In order to improve the entrepreneurship of the pre-found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ehavior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by enhancing the ESE. Also, the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of pre-founders should strengthen the ESE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uld complement systematic and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articular, we should provide the stability for career decision by eliminating uncertainty about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A Study on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Youn, Ji-Su;Hyun, Byung-Hwa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8 no.3
    • /
    • pp.171-18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nalyzing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bilateral rela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students, and, and 220 students were survey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ntrepreneu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fficacy, and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showed that all mediated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achieved through a convergence curriculum in whic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t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stage in order to enhance entrepreneurship and intention to influence entrepreneurship and career choic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more effective education.

The Multi-path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예비창업가의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의 다중매개역할)

  • Park, Jae Ch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6
    • /
    • pp.77-9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path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S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154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learned helplessness showed a nega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ESE. Second,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ship and ES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SE. Fourth, entrepreneurship turned out to medi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SE. Finally, 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had shown multi-path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SE (learned helplessness→resilience→entrepreneurship→ESE). In particular, this study conclude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승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53-59
    • /
    • 2023
  • 국내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하며 국내 시니어들의 은퇴후 평생직업 대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며 창업이 그 대안으로 부상하였지만 주로 자영업창업 중심이어서 효과적인 대안이 되지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시니어들이 노후 대책으로 재대로 된 창업을 준비하도록 창업교육을 통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창업기회를 인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로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둘째, 창업교육만족도가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가설검증 결과로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는 하위 변위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셋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시니어 창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노후준비도를 살펴봄으로써 시니어가 가진 노후준비 특성이 창업기회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시니어의 창업 활성화 및 노동력 활용 방안으로 창업교육의 확대 필요성과 시니어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와 제도적 지원 및 프로그램 설계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창업교육의 전문성과 다양성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철효과를 중심으로

  • Han, Ga-Rok;Lee, Jae-E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09-113
    • /
    • 2020
  • 본 연구는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전문성(깊이)과 다양성(폭)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12개 대학교에서 수집된 657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의 전문성(깊이)은 진취성과 혁신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의 다양성(폭)은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창업교육 전문성(깊이)과 진취성 간의 관계와 창업교육 전문성(깊이)과 혁신성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전문성(깊이)과 다양성(폭)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대학교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의 기업가정신 간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창업교육 연구 분야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