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인식

Search Result 43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리뷰어 평점 이력이 리뷰 조작에 대한 인식 및 리뷰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여행플랫폼을 중심으로

  • Jang, Mun-Gyeong;Lee, Sae-Rom;Baek, Hyeon-M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81-185
    • /
    • 2022
  • 고객들은 조작된 온라인 리뷰가 범람하는 가운데 진정성과 가치를 지닌 리뷰를 보고자한다.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의 관점에서, 사람들은 리뷰어의 과거 평가 이력을 바탕으로 리뷰가 진정성 있는지를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이 조작된 리뷰로 인식하는 것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리뷰 유용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제안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차 데이터 분석(연구1)과 실험(연구2)을 수행했으며, 두 연구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준다. 연구 1은 리뷰어의 과거 평가 이력이 리뷰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귀인이론에 근거하면, 사람들은 리뷰를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고 인식할 경우에 리뷰가 조작되었다고 생각하고, 그 리뷰가 물건이나 서비스의 진정한 가치를 평가하지 않았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해당 리뷰는 유용성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2차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Python을 이용한 웹 스크레이퍼를 개발하여 TripAdvisor(TripAdvisor.com)에서 호텔 정보, 리뷰, 리뷰 정보 등의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890명 리뷰어에 대한 100,621개의 리뷰를 분석하기 위해 음이항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평점을 낮게 주는 리뷰어의 경우에 리뷰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극단적인 평점을 거의 주지 않는 리뷰어가 작성한 리뷰가 더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연구 2는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을 기준으로 리뷰가 조작되었다고 평가하는 사람들의 인식 프로세스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이 평균적으로 평점을 낮게 주는 경우에는 리뷰가 의심스럽다고 판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람들은 리뷰어가 대부분 극단적인 평점을 주는 이력이 있다면 해당 리뷰어가 작성한 리뷰가 의심스럽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는 사람들이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을 바탕으로 리뷰가 조작되었는지 또는 리뷰가 도움이 되는지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리뷰어의 과거 평점 이력이 리뷰 조작성에 대한 인식과 리뷰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해당 연구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추가한 기여점이 있다.

  • PDF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s Creativity Capacity to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hn, Tae Uk;Park, Jae Hwan;Lee, Il 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8a
    • /
    • pp.1-13
    • /
    • 2017
  •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importance of creative talent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we recognized the urgent need for start-ups to innovate new growth industries and creative talents to lead these eras.And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mphasiz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r college students. Especially,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through education is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ity competence education on the will of entrepreneurship and empowermen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393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1 month from August 2016.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bility of communicative communica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 - efficacy. On the other h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bilities did not directly affect self-efficacy. In addi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to start up.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did not directly affect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Self -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of founding.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self-efficacy and willingness to work was not directly affect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self an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 to start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arental support) is not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control effect of the parent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need to do so.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willingness of young people to establish a university in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s not only for direc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ut also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alents and entrepreneurship required by the age of their parents.

  • PDF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Major Countries: Comparison of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효과 연구: 2016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의 비교)

  • Nam, Jungmin;Lee, Hwan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6
    • /
    • pp.111-122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foundations by country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to promote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entrepreneurship practice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will, and the level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by using data from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First, the results show the urgent need for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In the GETR category of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 was ranked very low (19th place), among the 20 countries. In the 'college' and 'lifelo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tegories, it procured a mid-level ranking (15th). Whi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all ages is being promoted global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is relatively weak. This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for employees and retirees is required. Second, the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was 3.8 points, implying a mid-level ranking (15th), and it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 (20th). In comparison to China (4.55) and the United States (4.01),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s was found to be low. The level of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was also found to be very low, compared to China (4.35), Japan (4.04) and the United States (4.59).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the level in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increases from the factor-driven and efficiency-driven, to the innovation-driven type. In Korea, the percentage of entrepreneurial ventures centered around involuntary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es is high. It is also interpreted that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are low in number because of this high proportion of involuntary start-up and small businesses. Las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ll types (factor-driven,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was exceptionally hi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posure to all entrepreneurship education (elementary, junior high, university, and lifelong education) in innovation-driven countries, grea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Korea, which is an innovation-driven country, qualitative improvement ba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major driving force for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obtain a mid-level ranking (15th).

  • PDF

The Effect of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the Employees' Start-Up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Risk Taking (제도적 환경이 종업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험감수성의 매개 역할)

  • Young-Woo, Ko;Jong-Keon, L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6
    • /
    • pp.105-11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nation's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start-up intention of employees and the mediating role of risk-taking propens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classifie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nto institutional profile regulation, institutional profile norms, and institutional profile recognit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office workers belonging to domestic companies, and 322 copies of questionnaire data were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except for questionnaires that were omitted or unfaithf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stitutional profile regulations and nor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tart-up intention of office workers, while institutional profile cogn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rt-up intention. Second, institutional profile regulations and nor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isk taking, while institutional profile cogn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isk taking. Finally, risk taking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profile regulation and start-up intention, and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profile norms and start-up intent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country institutional profile regulation and norms are important prerequisites for start-up intention and risk taking. Next,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by presenting a start-up intention model of office workers consisting of perception of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risk taking, which i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entrepreneur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trengthen regulations on institutional profiles so that start-ups can be activated. Second,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strengthen the norms for institutional profiles so that start-ups can be activated. Finall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devise measures to strengthen the risk taking of start-ups.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in Social Enterprises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Chung, Young-Soo;Jung, Chul-H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3
    • /
    • pp.115-12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influe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evant prior literature. The research model is set as social entrepreneurship including innovativeness, risk-taking, initiative,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ship motivation is divided into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14 social enterprise-related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early start-ups, an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nalysis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four compon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However, it is found that innovativeness and initiative among the compon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extrinsic motivation, whereas risk-taking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xtrinsic motivation. Second, all four compon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entrepreneurial motivation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entrepreneurial motivation are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specified the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motivation that affect entrepreneurship awareness and behavior targeting social enterprises with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for-profit enterprises. An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 attempt was made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 PDF

농업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젠 적용 사례연구

  • Park, Sang-Hyeok;Park, Jeong-Seon;Seol, Byeong-Mun;Jo, Yong-Ho;Im, Gyeong-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1-21
    • /
    • 2017
  • 귀농귀촌 문화가 유행하고 농업의 미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농산업으로의 새로운 진출을 계획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우리의 농업은 자급자족경제로부터 상업경제로 발전되어 왔고, 글로벌 시장 개방 및 생산 기술의 지속적 발전으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며 가격이 점점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업 현장의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농산업의 긍정적인 여건들도 형성되고 있다. 올바른 먹거리를 추구하는 식품 소비패턴의 변화, 환 생태 치유 자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고조, 스마트 팜과 같은 생산환경의 자동화, 지역 자원을 근거한 공동경영체 운영 등과 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농산업분야에 새로이 진출하고자 하는 개인 또는 소규모 사업주체들은 자신의 사업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사업운영을 위한 차별화 전략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개별 또는 소규모 조직의 농업인과 예비농업인들이 자신의 사업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사업운영을 위한 전략 선택을 돕는 비즈니스모델 템플릿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농업 전문가, 창업 전문가, 비즈니스모델 전문가 풀을 구성하여 농산업 특성을 이해하고 최근 농업 농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농업비즈니스 트랜드를 분석하였다. 근거 자료 및 전문가 토론을 통해 농산업 비즈니스를 '시장가치 추구형', '사회적가치 추구형', '연대하는 시장가치 추구형', '연대하는 사회적가치 추구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사례기업을 조사하여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하였다. 비즈니스모델은 비즈니스모델 젠 캔버스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비즈니스모델 젠은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일반 창업형, 협동조합형, 임팩트비즈니스형 등 차별화된 캔버스 모델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중심의 비즈니스 관점을 보다 세밀히 제공하는 툴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모델 젠을 통해 4가지 유형의 농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산업에 진출하는 사업주체의 사업진행 방향 및 전략선택을 위한 교육 컨설팅 현장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엑셀러레이터의 평가수용성이 스타트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Han, Hyang-W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15-20
    • /
    • 2019
  • 2019년 3월 기획재정부 장관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벤처 붐 확산전략을 발표하였다. 신산업 고기술 스타트업 발굴을 통해 기술인재 고기술창업 특히 대학 및 연구소등의 우수 인재가 기술혁신형 창업을 하고, 이에 투자 멘토링 기술 지원하는 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지원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019년 9월 국내 벤처기업 수는 3만6759개이고, 액셀러레이터 투자도 벤처투자로 인정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엑설러레이터 기준을 새로 마련하고 있다. 벤처 투자액은 올해 4조원을 돌파할 거라 예상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창업의 마중물 역을 하는 액셀러레이터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대학부터 지자체, 기업, 기존 투자사들까지 뛰어들면서 관련제도가 도입된 지 3년이 채 되지 않아 200곳이 설립됐다. 전 세계적인 스타트업 붐에 더해 진입문턱이 대폭 낮아지자 초기 기업에서 기회를 엿보는 곳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54곳에 불과했던 액셀러레이터는 2년이 지나지 않아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처럼 시장이 급성장하는 이유는 대기업 중심의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고 우버와 같은 회사들이 새로운 산업을 구축하며 전 세계적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정부 역시 제2벤처 붐을 일으키겠다며 다방면의 벤처 육성책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엑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은 학술적이 연구로도 나타나고 있는 바, 엑셀러레이터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의 성과와 관련하여 다양한 원인을 찾고자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스타트업 관계자가 인식하는 엑셀러레이터의 평가지표에 대한 수용성 정도와 그들의 성과 간의 관계에서 엑셀러레이터 조직에 대한 신뢰의 역할을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할 것이다. 제기된 연구 필요성의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이내 엑셀러레이터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은 스타트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평가수용성과 엑셀러레이터의 조직신뢰 그리고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엑셀러레이터의 평가지표 구성과 조직측면에서 전략적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정책금융기관의 신용평가 현황 비교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 Park, Guk-Geun;Nam, Gi-Jeong;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51-55
    • /
    • 2019
  • 기업신용평가(ICR : Issuer Credit Rating)는 기업의 금융상 채무에 대한 전반적인 적기 상환능력, 즉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을 평가한 것으로 오로지 금융상 채무에 대한 전반적인 채무상환능력을 평가한다. 최근에는 신용평가 등급이 금융시장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수단으로 인식되고 기업 IR 및 홍보차원과 기업 간 물품공급과 납품을 위한 업체 선정시 신용등급이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신용평가는 최근 경제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여 기관별로 평가시스템을 자주 개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금융기관 별로 변화된 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지표나 구조, 평가시스템을 비교 분석해 그 차이점과 공통점 그리고 경제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된 주요지표를 파악해 보고 미래의 신용평가시스템의 변화와 개선방안에 대해 생각하였다. 기관별 비교에서 평가시스템의 차이점은 신보는 신용평가(부실률 기반)와 미래성장성평가(성장성 기반)를 실시하여 보증심사등급(보증의사결정 등급)을 산출하고, 기술자산평가등급은 신용평가등급을 조정(최대 ${\pm}2$등급)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기보는 기술평가(성장성 및 부실률 기반)와 리스크관리용 리스크평가(신보의 신용평가에 해당)로 평가체계를 이원화하여 운영하고, 평가모형은 신보는 객관성을 확보한 정량평가 위주, 기보는 공신력을 확보한 정성평가 위주의 주관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있어 어떤 형태의 평가시스템이 더 좋은 평가방법 인지는 알 수 없지만, 기관별 부실율을 보면 다소 참고가 될 수도 있으나, 이것이 전적인 평가의 문제라 보기도 어렵다. 특히 신보는 창업기업 기준이 창업후 7년까지로 확대됨에 따른 창업 3단계 평가제도와 기업의 성장단계에 맞춘 성장단계별 평가기준 세분화는 기업환경을 잘 반영한 변화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향후 평가시스템은 경제환경의 변화속도를 어떻게 잘 반영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로 방향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 PD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tools to de-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of data for AI learning - Based on video data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자동화 도구 개발 연구 - 영상데이터기반 -)

  • Hyunju Lee;Seungyeob Lee;Byunghoon Jeon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11 no.3
    • /
    • pp.56-67
    • /
    • 2023
  • Recently,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has been a long-cherished desire of the data-based industry, was revised and specified in August 2020. It became the foundation for activating data called crude oil[2] in the fourth industrial era in the industrial field. However, some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 infringement of the basic rights of the data subject[3]. Accordingly, a development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tch De-Identification Tool, a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automation tool. In this study, first, we developed an image labeling tool to label human faces (eyes, nose, mouth) and car license plates of various resolutions to build data for training. Second, an object recognition model was trained to run the object recognition module to perform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automated personal information de-identification tool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e possibility of proactively eliminating privacy violations through online services. These results suggest possibilities for data-based industries to maximize the value of data while balancing privacy and utilization.

  • PDF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ested in the Elderly Care Business (노인관련 창업에 관심있는 대학생들의 노인인식)

  • Shin, Mi-Ja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17 no.4
    • /
    • pp.551-56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ested in the elderly care business. Method: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a total of 18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instrument was consisted of a 18-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ed by Sanders et al (1984).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y SPSS 18.0. Result: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was slightly positive($2.98{\pm}1.51$).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were gender, age, present residing state with the elderly, experience of residing with the elderly at the past. Male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was more positive than female. Among 18 items, 'wise' and 'knowledgeable' was highly related to the perception about the elderly(r=.671,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tems of optimistic, attractive, flexible and good were the impressive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promote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