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s Creativity Capacity to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hn, Tae Uk (Kunsan National Chung-Ang University) ;
  • Park, Jae Hwa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 Lee, Il ha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 Published : 2017.08.22

Abstrac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importance of creative talent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we recognized the urgent need for start-ups to innovate new growth industries and creative talents to lead these eras.And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mphasiz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for college students. Especially,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through education is ver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ity competence education on the will of entrepreneurship and empowermen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393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for 1 month from August 2016.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bility of communicative communica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 - efficacy. On the other h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bilities did not directly affect self-efficacy. In addi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to start up.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did not directly affect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Self -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of founding.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self-efficacy and willingness to work was not directly affect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self and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will to start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arental support) is not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control effect of the parent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need to do so.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willingness of young people to establish a university in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s not only for direc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ut also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alents and entrepreneurship required by the age of their parents.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창의적 인재 육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로운 신성장 산업의 혁신을 하는 창업과 이러한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창의적 인재에 대한 교육이 시급함을 인지하였고 기존의 교육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비판과 함께 창업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창의성 역량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교육을 통한 창업의지의 영향에 대해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량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1개월동안 전국 대학생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협업적의사소통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혁신적 업무행동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혁신적 업무행동 능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협업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에게 창의성 역량 교육의 효과로 인하여 자기자신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많다는 점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대한 긍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이 사회적지지(부모의지지)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대학생의 경우 사회진출을 위한 창업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지지가 보다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 대학에서 청년들의 창업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대학생들에게 직접적인 교육의 확대뿐만 아니라 부모님에 대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창업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