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성과만족도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f Startup Policy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through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ETRI Pre-Startup Support Program (ETRI 예비창업지원 프로그램의 ISA 분석을 통한 출연연 기술창업 성과 제고 정책 연구)

  • Gil, Wungyu;Sim, Yongho;Kim, Seok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5
    • /
    • pp.45-56
    • /
    • 2016
  • According to attended about startup, there are many policy and program for activating of startup. Government's policy and program was scale up and arrangements for high quality. Nevertheless, policies and programs are concentrated on ante-startup stage. And experts have questioned that effect. So, there are needed a program focusing pre-startup and incubation stage.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 a kind of educative program named Pre-Startup Support Program. Through the program, pre-startup teams or entrepreneurs will inspect items, business skills and surroundings of market and competitors. And they have a time for complementation of deficiency. This study selects ETRI spin-off(research based spin-off born ETRI) by means of an object of study. ETRI's programs are started in 2011 with intent to incubate the entrepreneur through market research, mentoring, space of incubation and funds. This study analyze using the ISA(Important-Satisfaction Analyze) and the regression. We classify the pre-startup support program using the ISA. And then, we analyze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using the regression. On the basis of results, we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pre-startup support program and propose plans for reinforcement. In conclusion, adopting a pre-startup support program is expected to success of startup.

  • PDF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Bae, Geun-S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37-142
    • /
    • 2021
  •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산업계에 전반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과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적인 경기 불황의 여파로 대응 역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경영혁신과 함께 조직구성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성장과 조직구성원의 역량 향상은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동기부여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성과를 창출하려는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잡 크래프팅의 매개 역할 여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중소기업의 잡 크래프팅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불확실한 경영환경 아래서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새로운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잡 크래프팅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핵심 역량으로 요구되고 있는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Effect of IT Convergence Startup Education on Learning Effec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Re-employment Preparation Trainees (IT융합창업교육이 재취업 준비 교육생의 학습효과 및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Jeon, Mi-Hyang;Han, Seong-So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2
    • /
    • pp.75-81
    • /
    • 2021
  • In the new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w jobs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cloud, IoT, and AI are increasing. In the field of various industries, talents who can converge IT and industrial fields are needed, but such convergence-type talent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T convergence startup education on the learning effec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trainees preparing for re-employm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60 trainees preparing for reemploymen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analysis tool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IT convergence startup education of trainees who are preparing for re-employment,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such as education content, instructor, and memb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effect. Second, in the IT convergence start-up education for employment trainees,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such as education contents, instru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c data for preparing a start-up support system to revitalize start-ups in the IT convergence field.

The Effects of Youth Startup Mentoring on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Centered on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청년 창업 멘토링이 기업가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An, Hye-Jin;Lee, Seu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7
    • /
    • pp.560-575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impact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tartup mentoring programs on the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of company owners and prospective owners. To analyze the participants' hidden intention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consecu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nts with higher expectations toward the mentoring programs tended to evaluate the programs more negatively, with a substantial number of interviewees responding that the quality of the programs was subpar. Second, startup mentoring programs seem to have had positive effects on building entrepreneurship. The effect was especially significant in areas such as creativeness and innovation. Third, the mentoring program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suggesting the need for institutions' active participation in mentor-mentee relations and programs. Fourth, most participants evaluated mentoring programs as unsatisfactory, meaning that the programs do not mee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institutions providing them. Based on these analyses, the academic importance of this study was highlighted and ways startup mentoring programs can improve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Effects of Justice Perception of Start-Up Support System on Expectancy Effect and Satisfaction: Focusing on Venture For Korea (창업지원 제도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기대효과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인턴제 수혜자를 중심으로)

  • Kim, Dae Jin;Park, Jong Seok;Park, Da 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3
    • /
    • pp.107-117
    • /
    • 2017
  • Entrepreneurship is a means of improv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can expand the industr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new technologies and ideas. As a result, we are implementing a nationwide initiative support policy around the world. It leads to actual results and grows into a global company.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potential creative people through support for startups. In order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suitable for startup in Korea, Venture For Korea, the internship program is being carried out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basic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an exchange with existing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by using justice theory among the interns of the startup internship.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tudy, the survey was done by a complete enumer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Smart PLS 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mong the fairness vari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ncy effect, and the expectancy effec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However, procedural justice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expectancy effects. This is because it's been only two years after the start of the internship program, and it seems to reflect the lack of consensus about the process among the stakeholders (enterprise, pre-entrepreneur, the government) related to the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deduces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startup internship based on the justice theory.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crease the policy effect of the startup internship,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mphasize only the purpose, but also to establish a policy direction complementing the procedural aspect.

  • PDF

조직구조, 조직문화의 업무특성이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 미치는 영향: 7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 중심으로

  • Seo, Gwi-D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75-179
    • /
    • 2019
  • 1년에도 수십 수백 개씩 스타트업이 생겨나고 있다. 아마도 모두 미래의 구글과 페이스북, 그리고 아마존이 되길 희망하며 하루하루 가열차게 달리고 있다. 하지만 그 많은 스타트업 중 소위 성공했다 불릴 수 있는 기업은 손에 꼽는다. 능력 있는 창업가, 기발한 사업 모델과 아이디어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 줄 기술력과 자본이 있다고 성공할 수 없다. 스타트업 기업을 굴러가게 하는 힘은 결국 그 조직의 구성원에게서 나오기에 성공한 스타트업에겐 모두 그들 만의 '조직문화'가 있다. 그게 모두에게 좋은 문화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 조직에 가장 접합한, 그래서 구성원의 구성원의 공감대를 사 '일하고 싶은 회사'가 될 수 있게 하는 '조직 문화'가 있는 스타트업이 수많은 인재를 모아 성장을 거듭해 올 수 있었고 그것이 결국 스타트업을 성공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이런 조직 문화는 회사 초창기에 세팅할수록 해당 기업의 성공 확률도 높아진다. 7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유형이 스타트업 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초기 스타트업 기업의 조직문화 차원은 경쟁가치모형의 혁신문화와 위계문화로 구분하였으며, 조직성과는 스타트업의 서비스, 제품을 경험한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활용하였다. 조직문화는 외부환경에 대한 적응과 조직내부 통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에 의해 창조 발전되어 학습되는 기본가정으로서 스타트업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된 가치(values), 신념(beliefs), 규범(norms)의 체계로 정의한다. 따라서 어떠한 조직문화를 갖는냐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몰입, 충성심, 직무동기, 직무성과는 물론 조직성과와 혁신을 포함하는 여러 조직 요인도 직 갑적인 영향을 받는다. 7년 미만의 초기 스타트업 혁신문화가 스타트업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이 스타트업 서비스, 제품을 경험한 이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Lee, Il-Han;Han,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57-62
    • /
    • 2019
  • 공간서비스 그룹을 구성하는 업체들이 공간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이용목적과 생애주기에 맞춘 용도로 그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간대여 서비스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학습효과를 제공하며, 스터디 센터와 스마트 워크에 초점을 많은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대여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공간에 대한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 내의 시설이 시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가치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설만족도와 고객만족이 이용공간에 대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간대여 서비스의 구성요소인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내의 시설과 시설 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접근성과 서비스내의 시설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부환경요인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양면적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an, Su-Jin;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61-165
    • /
    • 2020
  • 기업 운영에 있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많은 기업들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사업 운영과 관련하여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최근 들어 많은 기업들은 종업원들을 위해 일하기 좋은 근무환경 제공, 처우개선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종업원들의 근무만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사람중심의 기업가정신은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업은 급격한 환경변화에 잘 적응함으로써 기회를 포착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기업의 관리자들은 조직 내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필요한 기회를 포착하고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사업 중심의 기업가정신 대신에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그리고 기회를 활용하고 포착하는 기업가적 리더십의 선행연구 검토와 실증분석을 통해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을 창업기업과 비창업기업으로 구분하고 사람중심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적 리더십이 제조분야 중소기업의 양면적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ng Program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기술창업교육프로그램 품질이 참여자 만족과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Yang, 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1071-1078
    • /
    • 2010
  • This paper measures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he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ng program over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The paper focus on developing the best techno-entrepreneurship educating program alternative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EC Program (developed in NC State University in U.S. and applied in Korea). This paper applies SERVQUAL model to evaluate the quality of TEC program in affecting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with collecting questionnaire sheets from participants of TEC program since 2007. The result of research show and confirm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referring will existing among TEC program participants basing upon strong (+) correlation result between core components of SERVQUAL; tangibles, assurance, reliability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referring will.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ed on Short Program of Local Government-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교육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Jae-Whan;Choi, Myeong-Gil;Kim, Yong-T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1085-1094
    • /
    • 2010
  • In these day, the recession of economics and cutting-off jobs makes increases of start-up business. The unprepared start-up business which lacks suffici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should fall. For successful start-up business,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necessary. This study reviews factors such as learning motivation, entrepreneurial intention, education satisfaction, self-efficac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hort-term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establishes hypothesis and verifies them. To verify the hypothesis, this study explores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hort-term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through utilizing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tilized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of study could be used to establish policy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of short-term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Second, the identified factors help educator to established the curriculum of the short-term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Third, the identified factors could be established as criteria to recruit the applicants who wants to received short-term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