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교육프로그램

Search Result 28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Jeong, Jong-Se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01-2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교육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ong-Tae;Choi, M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0-1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학습동기와 창업의지, 교육 만족도, 자기 유능감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와 인천시가 주관하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교육만족도와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창업의지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가자의 교육 만족도는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유능감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 참여 동기와 창업의지가 높을수록 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의미하는 자기 유능감과 만족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성과 또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정규교육기관의 창업교육과는 달리, 짧은 기간 내에 효과적인 창업교육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가자들의 학습동기 및 창업의지 등 개인적 특성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발하여야 하며,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스스로 다양한 창업관련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자기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에서 조망한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조사 연구

  • Kim, Jeong-H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75-2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신(新)산학협력 패러다임에서 출발한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자생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대학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역할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개 창업대학원 설문조사에 의하면, 창업대학원은 창업교육프로그램 결정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활성화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창업교육기관의 프로그램 개발과 과정에서 수요자(학습자, 지역사회, 기관)의 요구를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창업대학원에게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을 적용토록 유도하여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관기관에 대한 역할 모형을 제시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상생의 협력이 가능한 유관기관을 선정 할 수 있도록 기준과 역할모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델들이 신산학협력의 패러다임과 부합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들을 도출하고 창업교육에 효과적인 적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5개 창업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요 원칙이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 PDF

The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Focused on Educational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 Jung, Jong-Seo;Min, Kyung-S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3 no.2
    • /
    • pp.1-2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nd to enhance the program by applying new program. First, this paper examined domestic studies for preceding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did foreign studies as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this paper drew new model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 from American and Japanes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e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was drawn by theoretical range, educational system and practical model, and presented reform measures by applying that on th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e rang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is defined from the moment when an entrepreneur decided to his entrepreneurship to initial growth stage, and should educate specific knowledge required to the development of companies and measures against potential problems on the way to growth it. An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 should be organized curriculum by the growth stages of company.

  • PDF

국방전직교육프로그램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국방전직교육원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Park, Jeong-Hyeon;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63-6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역 예정자를 위한 국방전직교육원의 창업교육프로그램에 관한 현황을 진단해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현재 국방전직교육원의 창업교육은 5년이상 중 장기복무 전역예정자 300명을 대상으로 기본교육 연간 6회(4박 5일)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전직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 간부 맞춤형 창업교육프로그램설계가 시급히 요구된다. 둘째, 현재와 같은 일회성 교육을 지양하고 현역 복무기간 중에 정례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각급 사단급 이상 제대의 공병 통신 전산 정비 등 특화된 기술병과의 경우 맞춤형 기술창업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국방부 차원의 군인 가족들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 PDF

커피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의 트렌드 연계과정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예비 창업자를 중심으로

  • Kim, Min-Ja;O, Sang-D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67-70
    • /
    • 2018
  • 본 연구는 커피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에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연계 과정을 추가하여 예비 창업자들의 커피 전문점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커피 전문점을 창업하려는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커피 바리스타 교육 과정을 이수하였거나, 현재 교육 과정을 수강 중인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다. 실증연구에서 확인된 커피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과 커피 트렌드 연계과정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의 변수를 중심으로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도를 확인하고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스폐셜티 커피, 커피 산업의 제3의 물결과 같은 지속적인 커피 트렌드 분석을 통해 바리스타 교육 프로그램에 추가한다면 커피 바리스타의 전문성을 향상 시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커피 예비 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것으로 보인다.

  • PDF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 조사를 통한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

  • Song, U-Yong;Gw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8a
    • /
    • pp.69-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의 도전적 창업문화 정착, 대학생의 창업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업 확대에 필요한 창업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업의 국가경제적 의의와 함께 대학생의 진로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학생의 창업아이템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만큼의 창의성이 뒷받침된 기술기반 창업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다. 최근 정부 및 대학에서 창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지원정책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문화 확산을 통한 창업도전의 저변 확대, 시장과 산업 트랜드를 바꿀만큼의 시장 전환적이며, 창조적 파괴가 동반된 창업을 활성화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 신입생 1,0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 창업인식을 분석하고 대학의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유의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생애주기적 진로대안으로서 창업의 의의 인식, 둘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셋째, 창업 전문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갖춘 대학 내 외부 전문가들을 네트워킹하여 이론-실무의 우수한 창업 교육자 풀 구성 넷째, 효과적 창업교육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 창업교육 목적의 명확화,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실천적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국내외 우수 창업교육 콘텐츠의 적극적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하여 교육학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의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창업교육센터 대학별 차이점과 성공 운영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Seong-Il;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3-1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선행 조사DB와 비교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별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측정하여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구분하고 두 집단의 차이점과 성공운영 요인을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의 일반 현황과 특성, 교직원(교수자수, 교원창업자수), 교과목(과목, 수강인 원수), 학내외 프로그램(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창업캠프), 재정운영(예산, 전담인력) 등의 계량 지표는 대학정보공시(대학 알리미)와 중앙일보 대학평가 DB를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운영상의 문제점, 센터의 성과측정 항목 등 정성지표는 창업교육센터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표본특성을 살펴본 후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차이를 규명하여 상위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역량과 프로그램의 분석하여 창업교육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2012년~2106년)"에서 창업교육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61개 창업교육센터의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평가에서 상위 순위에 있는 대학 그룹들의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 ('17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교육센터를 포함한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향후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써 의미가 있을 것이다.

  • PDF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메타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강다영;이은진;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61-67
    • /
    • 2023
  •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국내에서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들이 '창업교육', '기업가정신 교육',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등 저마다의 이름과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기업가정신 교육이 확산됨에 따라 관련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개별적인 연구결과가 일관된 결론을 도출하고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아직까지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교육 성과에 대한 통일된 결과를 제시하는 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수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관련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타당하고 통일된 결론이 제시되어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Seniors and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시니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창업의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Kim, Myeong-Suk;Lee, Jae-Hyun;Ko, Jong-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3
    • /
    • pp.233-24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to raise the potential of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of senior citizens under the supervision of SMBA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environment on program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44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H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employing paired-sample t-test and path analysis techniques. The study foun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potential of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of senior citizens and that educational content and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on program satisfac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impacted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