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관심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Interest of Entrepreneurship on Intention (대학생과 부모의 창업관심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HyeJin An;SeungHa L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1
    • /
    • pp.33-53
    • /
    • 2024
  •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of Entrepreneurship and intention, this study clarifies the entire lifecycle process leading up to a college student's decision to start a business. We explore whether an individual's Interest of Entrepreneurship stemming from start-up activities and the interest of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s start-up affect start-up intention. For this purpose, attitude toward start-up,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are componen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ere set as parameters. Furthermore, start-up self-efficacy was established as a moderating variab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nd their importance. In addition,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0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after excluding 18 insincere responses, a total of 282 were analyzed using SPSS 26 and AMOS 26.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 individual's Interest of Entrepreneurshi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tart-up intention, mediated by attitude toward start-up,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refore, future college start-up education should apply the components of TPB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and various start-up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to foster students' interest. Secondly, parents' interest in start-u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refore, even if parents a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start-up activities, such interest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favorable attitude. However, as it significantly impact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tart-up education targeting parents linked to these parameters could increase college students' Interest of Entrepreneurship and intentions.

  • PDF

엔젤투자자의 위험 회피 성향이 투자 행동 및 관심에 미치는영향

  • 조수연;임한규;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85-89
    • /
    • 2023
  • 최근 급변하는 세계 경제 환경에서 창업기업은 혁신, 고용 및 경제 활력의 핵심 동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초기 창업 기업이 성장하는 여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이 과정에서 엔젤투자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초기 창업 시장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엔젤투자자는 필요한 자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영 노하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창업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신생 기업 중 엔젤 투자의 혜택을 받는 기업은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창업기업의 잠재력과 지원 사이에는 분명한 공백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 창업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인 엔젤투자자의 위험회피 성향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투자 행동,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위험회피가 엔젤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엔젤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에 대한 관심도와 실제 투자 활동 간의 관계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엔젤투자자의 행동과 관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여 진행한다. 연구 표본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일반 성인과 엔젤투자자로 설문조사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연구는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 결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숙박업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Lee, Sang-Hyeon;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63-165
    • /
    • 2022
  • 경제성장과 생활 수준이 향상된 소비자들은 여가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 도심권 여가에서 교외 여가로 관심이 높이자는 가운데 COVID-19로 인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관광 여가 분야 검색어 중 숙소와 관련된 검색어들이 가장 많은 검색량을 나타냈다. 이렇듯 대중들의 독립적인 펜션 등 숙박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선행연구에서 숙박업 창업자의 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숙박업 창업자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의 주요 구성요소인 '진취성', '위험감수성', '혁신성'을 독립변수로 지정하고 전국 숙박업 창업자 총 101명의 응답을 회수 후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회복탄력성을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기업가정신과 창업 성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 효과 여부를 확인하여 향후 숙박업 창업자 대상 교육에서 회복탄력성에 관한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활성화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Intended Startup Time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 Kim, Jong-w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1
    • /
    • pp.79-87
    • /
    • 2014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Daejeon. We have used a revise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including personal trai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hre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otivations to startup and planned startup tim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TPB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motivations to create a firm such as independence and self-achievemen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the students who want to start their business right after their graduation have significantly highe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an those who want to create a firm after doing a salaried job. Furthermor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created or operated a firm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s, and parents' startup business typ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sons and daughters' interested areas of business.

  • PDF

A Study on Recognition for Foundation Before and After Founda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case of senior foundation education in M university- (창업교육 전후 창업인식에 관한 연구 -M대학교 시니어창업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Jo, Yoon-Ah;Park, Min-Kyu;Moon, Yun-G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433-44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for foundation before and after foundation education for preliminary senior found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foundation interest and foundation confidence. For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103 preliminary senior found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governme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with SPSS 18.0 program. On the basis of empirical study results, the main results were withdrawn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ndation interest between before and after foundation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ndation interest with foundation motivation at before and after foundation educa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ndation confid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foundation educ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ndation confidence with foundation motivation at before and after founda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an alternative fo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for improving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curriculums targeting the senior generation through reliable research.

창업가의 기회인식과 네트워킹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Ryu, Pu-Reum;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19-123
    • /
    • 2019
  • 최근 국가경제에 있어서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창업기업의 증가는 경제활동을 촉진하여 경제성장 및 고용창출 효과, 나아가서는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창업기업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학술적인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창업가의 특성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창업가가 기회를 인지하고 창업의도를 가지게 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GEM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기회인식에 대한 영향을 성별 조절효과 및 평등수준의 조절효과 효과크기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제공하고,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Qualitative Study on Loc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Programs: Approach through Hierarchy of Effects Model (지방 대학생들의 창업 및 창업프로그램 인식에 관한 정성적 연구: 효과위계모형을 통한 접근)

  • Yun-Hee Jeo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1 no.12
    • /
    • pp.1-10
    • /
    • 2023
  • Along with the government's policy to encourage youth entrepreneurship, each university is making great effort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and university entrepreneurship programs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of supporting and activating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increase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programs, it is necessary to take an in-depth look at students' perceptions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effectiveness hierarchy model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at each stage and to identify bottleneck factors that hinder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program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amples with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programs, and bottleneck factors at each stage of the effect hierarchy model were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complement entrepreneurship research that was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add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by approaching the study with a particular focus on local university cases.

개인적특성 요인, 환경적특성 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예술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Park, Ji-Seon;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85-189
    • /
    • 2016
  • 최근 청년 실업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대학 전공 분야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제도적 지원의 협소로 인해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저조한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의지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하며, 또한 그들의 창업의지를 보다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안들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경기도, 경상도, 강원도 등 4개 지역 예술 관련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하며, SPSS 22.0을 이용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 등)과 환경적 특성(네트워크 환경, 창업지원제도 등)을 확인하고,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게 될 것이다. 또한, 창업효능감의 조절 효과 양상에 대해 파악하면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 중 어느 쪽에 더 깊은 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 결과적으로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 의지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창업 요인을 본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예술 분야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의 창업 의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결부시켜 그들의 창업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보다 명확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의 벤처 캐피탈 연구 10년, 성과 그리고 과제

  • Kim, Tae-G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31-37
    • /
    • 2020
  • 높은 위험을 안고 사업을 하는 벤처 기업은 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 벤처 캐피탈은 벤처의 재정적 필요를 해결하고 부족한 역량을 보충함으로써 벤처의 성공을 돕고 고위험 고수익의 벤처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국내 벤처 캐피탈의 성장과 지속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성과가 충분히 축적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벤처창업을 주제로 한 연구의 주요 흐름을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문제를 진단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KCI 키워드 트렌드와 벤처 캐피탈의 성장에 관한 시계열 상관분석의 결과 학술적 성과가 벤처 캐피탈의 성장 추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벤처창업연구의 주제 흐름을 바이그램과 TF-IDF로 관찰한 결과 2016 이후 창업 기업에 대한 연구 관심이 두드러지고 2019년에 들어 벤처 캐피탈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의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벤처 캐피탈에 관한 주요 연구 토픽을 보다 더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탐구함으로써 연구 커뮤니티의 책무를 강화하고 한국의 벤처 캐피탈 성장과 그에 따른 이슈들을 논의할 이론적 기틀 마련이 필요함을 환기한다.

  • PDF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Gang, Seong-Il;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39-44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융복합산업에 관심이 있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인들의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 발현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들이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이라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융복합산업 창업도 창업의 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창업연구 분야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사용되는 연구분석틀을 응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인 예비농업인들의 창업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이 현재의 환경 하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을 고려할 때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들로서 개인적요인과 외부적요인으로 귀농지역적 요인, 정책적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및 정책적 자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택된 연구의 변수들인 내적 개인특성, 외부 환경요인, 정책적요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인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 개인적 요인과 외부적인 지역적요인, 정책요인을 변수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과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령, 현재 회사에서 맡고 있는 업무분야, 기업규모, 성별, 학력, 농촌융복합산업 유형, 근무경력 등 인구통계적 특성이 개인의 농업·농촌 관심도와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단간 비교분석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