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광율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신육성 왜성 한국유자 (Citrus junos)의 밀식재배 및 조기 다수확을 위한 생리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for Dense Planting and Early High Yielding Potential of New Korean Dwar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5-274
    • /
    • 1995
  • 유자(Citrus junos)에 있어서 수관내 위치별 엽, 엽면적, 엽중의 특성차이와 정아의 발생상태, 화아분화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기초자료들을 얻고져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 서, 남, 북의 방향별 엽수, 엽면적, 엽중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2. 수관의 상하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은 유의차가 었었다. 3. 정아의 횡경과 종경은 방향별로는 차이가 없었지만, 상하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투과광도와 엽 및 엽면적과의 상관관계는 광도 감소율에 따라 엽의 엽비중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단과지당 전체엽중, 평균 엽중, 단과지 정아의 횡경, 종경도 높은 상과관계를 나타내었다. 5. 화아분화에 차광은 비효과적이었으며, GA처리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적과는 1과당엽수를 40잎 이상으로 하는 것이 화아분화율과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전남지방에 있어서 시비수준이 벼 품종별 백엽고병 감수성과 수량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ertilizer on the Susceptibility to Bacterial Leaf Blight, Yield and Quality of Grains in Nineteen Rice Cultivars in Jeonnam Region)

  • 차광홍;김영신;김홍신;이돈길;김만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6-221
    • /
    • 1982
  • 시험은 흰빛잎마름병의 품종별 감수성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비량을 보비재배와 다비재배로 구분하여 전남지역에서 수행 되었다. 흰빛잎마름병은 발생은 다비조건에서 심했으며 심한 발병은 수도 품종들의 등숙에 영향을 주어 수량 감수를 초래하였고 청미율은 품질을 저하 시켰다. 또한 조생계품종에서는 지엽과 차엽이 발병되었지만 중, 만생계품종에서는 지, 차, 삼엽이 발병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보비조건에서 보다 다비조건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 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태백벼, 백운찰벼, 팔공벼, 밀양 42호이었고 밀양 30호, 금강벼, 낙동벼, 진주벼는 감수성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시비 수준간에 같은 경향이었다.

  • PDF

버어리종담배 대말림시 백화엽발생방지 및 건조기간단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ethod of Reducing of the Photobleaching Leaves and Shortening the Curing Period in Burley Tobacco Stalk Curing)

  • 김상범;백기현;추홍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2-257
    • /
    • 1983
  • 버어리종 대말림시 백화엽발생을 방지하고 건조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실내 온도는 흑색비닐피복구 및 환기창이용구가 관행구보다 $3^{\circ}C$정도 높았으며, 탈수속도는 환기창이용구가 훨씬 빨랐다. 2. 백화엽발생율은 완전대말림구가 높았고, 지면을 30cm 판 처리가 낮았다. 3. 수량감소는 완전대말림구가 컸다. 4. 품질 및 대금은 환기창이용구 및 지면을 30cm판 구가 높았다. 5. 물리성은 줄말림용 차광막처리가 비교적 양호하였다. 6. 백화엽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첫째, 본포에서 치마름엽과 과숙엽을 방지하고, 둘째, 하위엽은 1-2회 수확한 후 대베기를 실시하며, 셋째, 갈변후에는 건조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온습도관리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7. 버어리종 담배의 물리성을 향상시키면서 건조중 백화의 원인이 되는 산소 및 수분과의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는 앞으로 더욱 검토가 요구된다.

  • PDF

벼 누른오갈병(Sclerophthora macrospora) 발생이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병 저항성 품종 검정 (Effect of Rice Downy Mildew (Sclerophthora macrospora) on Rice Growth and Screening of Disease Resistance of Cultivars)

  • 이용환;차광홍;고숙주;박기범;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52-56
    • /
    • 2003
  • 전남 나주의 벼 누른오갈병이 발생한 담수직파 포장에서 일미벼를 대상으로 병 발생이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품종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누른오갈병 발생시 잎에는 퇴록반점이 나타나고 엽장이 짧아지며 벼의 생육이 진행되면서 줄기의 절간신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마디사이가 기형적으로 자라고 출수가 안되거나 기형이삭이 되는 증상을 보였다. 벼 누른오갈병 이병시 초장이 짧아졌고, 분얼수는 최고분얼기 전에 발병주가 적었지만 그 이후에는 발병주가 많았다. 마디수는 발병줄기가 건전줄기에 비해 많은 반면에 마디길이는 짧았다. 발병정도가 심할 수록 단위면적당 이삭수가 적고 등숙율이 낮아 수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유묘를 대상으로 품종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동진벼, 계화벼가 벼 누른오갈병에 대해서 저항성이었다.

땅콩 단기개화성 선발 계통의 개화 및 결실 특성 (Flowering and Fruiting of Characteristics of Short Flowering Period Lines in Peanut)

  • 정영근;박기훈;두홍수;류점호;최선영;서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37-442
    • /
    • 2002
  • 선발된 단기개화성 유전자원의 개화 특성 및 농업적 형질을 구명하여 협실의 균일도 향상에 의한 상품가치가 높은 땅콩을 육성하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기개화성 계통들의 출현기는 대광땅콩에 비하여 1-3일 빨랐으며, 개화기는 비슷하였으나, 개화기간은 대광땅콩이 52일인데 비하여 단기개화 계통들은 36-47일로써 5-16일이 짧았으며, 초형별로는 valencia type이 가장 짧았다. 2. 초형별 개화수는 virginia > spanish > valencia 순으로 적었으며, 40일 이하의 극단기개화 계통은 valencia type이 23%로 가장 많았다. 3. 초형별 차광에 따른 개화억제율은 대광땅콩의 63%에 비하여 valencia 43% > virginia 35% > spanish 10%순 이었으며, 농업적 형질별로 감소율은 valencia type이 가장 적었다. 4. 개화와 기상요인 상관정도는 온도와는 각 초형 공히 고도의 정의상관의 유의성이 있었으나, 일조시수와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초형에 따른 절위별 자방병 분포비율은 저위절(제1절과 2절)에서 virginia 97%, spanish 88%, ㅍ미두챰 93%로 대광땅콩의 85%에 비하여 3-l2% 높았으며, 절위별 착협 분포비율은 저위절(제1절과 2절)에서 virginia 100%, spanish 95%, valencia 96%로 대광땅콩의 74%에 비하여 21-26%높았다. 6. 개화 후 일수에 따른 성숙협 비율은 대광땅콩에 비하여 단기개화 계통들이 평균 12-17% 높았으며, 단기개화 계통들의 각 형질과의 상관은 개화시와 개화일수, 개화일수와 성숙협 비율과는 고도의 부 상관이었다.

수생식물(水生植物)을 이용(利用)한 수질오염원제거(水質汚染源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第1報) 부레옥잠의 유기물(有機物) 제거효과(除去效果)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제요인(提要因) (Studies on Removal of Water Pollutants by Aquatic Plants - I. Removal of Organic Matter by Water Hyacinth and Factors Affecting It's Growth)

  • 변종영;이규승;이종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43-148
    • /
    • 1985
  • 미리용(未利用) 식물(植物)인 부레옥잠의 도시하수(都市下水)나 공장배수(工場排水)의 정화(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현장폐수(現場廢水)에 대한 실증실험(實證實驗)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요인(要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실내실험(室內實驗)을 통해 나타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질(性質)이 서로 다른 현장폐수(現場廢水)에 적용한 결과에서 볼 때 부레옥잠의 유기물제거(有機物除去)는 대상 유기물의 종류(種類)에 따라 효율(效率)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고농도(高濃度)에서 평균처리효율(平均處理效率)이 높으며, 초기(初期)의 제거율(除去率)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레옥잠의 생장(生長)에 대한 최적(最適)pH는 중성~약산성이었으며, pH에 따른 피해는 산성보다 알카리성에서 더욱 컸다. 3. Nacl농도(濃度)가 0.5%인 경우는 36시간 후 뿌리 활성(活性)을 완전(完全)히 잃었으나, 0.01%에 있어서는 24시간 후까지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수온(水溫)에 따른 공시재료의 생장효과(生長效果)는 $17\sim21^{\circ}C$에서 높았으며, 수온(水溫)이 높아짐에 따라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어 $30^{\circ}C$의 경우는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차광(遮光)이 됨에 따라 부레옥잠 생장(生長)은 억제(抑制)되었으며, 그 경향은 기온(氣溫)이 낮아질수록 심하였다. 6.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부레옥잠의 개체증식(個體增殖)을 6월 14일부터 7월 19일까지 5주 동안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개체에서 12.3개체로 증식(增殖)되었으며 평균(平均) 생장(生長) 속도(速度)는 53.6g/week, 비교생장율(比較生長率)은 0.302g/g/week였다.

  • PDF

종자 전처리 및 육묘방법이 큰조롱의 종자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Seedling Culture System on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of Cynanchum wilfordii)

  • 이수광;조원우;구자정;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5-83
    • /
    • 2013
  • 본 연구는 점차 사라져가는 큰조롱의 유전자원을 보호하고 이용하고자 종자 발아 기술과 육묘기술 개발을 위해 종자 침지 처리 온도, $GA_3$ 농도, 트레이 및 토양 종류, 차광처리에 따른 큰조롱의 발아율과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자발아는 $20^{\circ}C$에서 $GA_3$ 100 ppm에 침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93% 발아율을 보였다. 묘소질 특성은 50구 트레이에서 가장 뛰어났으며 생리적 묘소질 특성은 $20^{\circ}C$에서 $GA_3$ 10 ppm에 침지 처리 한 종자를 TKS 토양이 충진된 128구 트레이에 파종한 조건에서 가장 뛰어났다. 따라서 큰조롱의 묘소질과 생리적 묘소질을 종합하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128구 트레이 혹은 200구 트레이의 TKS, TKS+펄라이트 및 TKS+왕겨 처리구에서 4월 중순에 파종 후 30~ 45일 간 육묘하면 초장과 근장이 각각 10 cm 이상되고 엽수가 8 매 이상 되는 우량한 묘를 획득할 수 있었고 이를 본 밭에 이식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진다.

Swim-up, Percoll, Sil-Select를 이용한 정자처리법에 의한 정자회수율, 운동성 및 체외수정율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Sperm Motility, Recovery Rate, and Fertilization Rate using Three Different Sperm Preparation Methods: Swim-up, Percoll, Sit-Select)

  • 하정희;엄기붕;정형민;정미경;김현규;고정재;윤태기;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257-263
    • /
    • 1999
  • It is well known that discard of seminal plasma from the semen and separation of motile sperm should be preceded before insemination for IUI or IVF. Till now, more than ten kinds of semen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Of those, swim-up and Percoll methods have been used widely in ART laboratories as a routine semen treatment methods because of its advantages. However, there are reports that Percoll can make a genetic trouble because of its chemical structure and therefore the necessity has been arisen to substitute Percoll for other equivalent materia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sperm preparation methods (swim-up, Percoll and Sil-Select) on sperm motility, sperm recovery rate and fertilization rate. Also, the feasibility of using Sil-Select instead of Percoll in ART was evaluated. Each semen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fractions and motile sperm were recovered by swim-up, Percoll and Sil-Select gradient centrifugation methods. Normal and sub-normal criteria of fifteen semen samples and seventeen IVF cycles were included in these study. A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perm recovery rate in normal semen treated by a Swim-up, Percoll and Sil-Select method ($13.2{\times}10^6,\;17.5{\times}10^6\;and\;17.7{\times}10^6$ respectively). The initial sperm motility was 61.9% and this increased to 87.1%, 92.6% and 89.5% through Swim-up, Percoll and Sil-Select treatment, respectively. Higher motility was observed in Percoll and Sil-Select treated groups (81.5%, 79.2%, respectively) than swim-up group (66.8%) after incubation for 24hrs. In sub-normal group, sperm recovery rates were higher in Sil-Select group $(2.9{\times}10^6)$ than Percoll gradients group $(1.8{\times}10^6)$. In IVF cycles, the outcomes of fertilization using sperm treated by swim-up and Sil-Select group were similar (82.2%, 79.7% respectively).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Sil-Selec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material for sperm preparation instead of Percoll.

  • PDF

해가림 투광 정도에 다른 인삼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by Shading Rate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2-298
    • /
    • 1997
  • 인삼포의 관행해가림 (볏짚피복, 투광율 3%)과 개량해가림(P.E. 차광망피복, 투광율 10%)의 해가림간 인삼 개체군의 군낙구조를 비교하기 위해서 년근별 (2, 4, 6년근), 재식위치별, 높이별로 엽면적, 비엽중(S.L.W,), 경엽의 건물중 및 조도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투광률(지상 40cm부위)은 2년근에서 관행해가림은 전행이 3%, 중간행이 2%, 후행이 1.5%였으며 평균 2.2%로 행간에 차이가 심했으나, 개량해가림에서는 전행이 12%, 중간행이 10%, 후행이 8%였으며 평균 10%로 투광률이 증가되어 행간의 차이가 근소하였다. 4, 6년근에서는 관행해가림의 광환경이 더욱 악화되었으나 개량해가림에서는 수광량이 행간의 차이가 근소하였다. 2. 2년근에서 재식위치별로 엽면적, 비엽중, 경 및 잎의 건물중 분포는 관행해가림과 개량해가림간에 차이가 근소하였다. 3. 4년근에서 재식위치별로 엽면적, 경, 엽의 건물중 분포가 관행해가림에서는 전행 및 중간행부분에 많이 분포되고 후행쪽은 적은 반면, 개량해가림에서는 행간에 차이가 적고 고루 분포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6년근시에 더욱 심하여 통로쪽의 지상부 건물중이 관행해가림은 개량해가림보다 현저히 증가하였다. 4. 근수량은 개량해가림이 관행해가림에 비해 28%증가되었으며, 재식위치별 근수량 지수는 관행해가림은 전행인 1∼2행이 높은 반면 개량해가림은 5행을 제외하고는 각행 고르게 분포되었다.

  • PDF

채소원예작물(菜蔬園藝作物)에 대(對)한 가스피해경감방법(被害輕減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2. 배추, 무우, 토마토, 오이에 대(對)한 아질산(亞窒酸)가스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Preventive Measures of Vegetable Crops to Gases -2. Effect of nitrogen dioxide gas on Chinese cabbage, radish, tomato and cucumber)

  • 김복영;조재규;김만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3-229
    • /
    • 1987
  • 배추, 무우, 토마토, 오이에 대(對)하여 표준시비(標準施肥) 및 질소비료(窒素肥料)와 가리비료(加里肥料)를 50%증시(增施)하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을 10%, 21%, 33%로 하여 아질산(亞窒酸)가스 0.05, 0.10, $0.20mg/{\ell}$의 농도(濃度)로 주간(晝間)과 야간(夜間)에 각각(各各) 2시간(時間)씩 접촉(接觸)하였고 주간(晝間)에는 자연광(自然光)과 그늘하(下)에서 접촉(接觸)하여 엽(葉)의 기공저항(氣孔抵抗), 증산속도(蒸散速度), 엽피해율(葉被害率),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질소함량등(窒素含量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아질산(亞窒酸)가스에 의(依)한 엽피해(葉被害)는 토마토가 가장 심(甚)하고 오이가 가장 경미(輕微)하였고, 주간접촉(晝間接觸)에서 보다 야간접촉(夜間接觸)에서 피해(被害)가 심(甚)하였으며, 질소(窒素) 및 가리비료(加里肥料)의 증시(增施)로 엽피해(葉被害)가 경감(輕減)되었다. 2. 토양중(土壤中)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많을수록 피해(被害)가 크고 기공저항(氣孔抵抗)은 감소(減少)하나 증산속도(蒸散速度)는 증가(增加)되었다. 3. 아질산(亞窒酸)가스에 의(依)한 엽피해(葉被害)는 차광접촉(遮光接觸)이 자연광접촉(自然光接觸) 보다 적었다. 4.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아질산(亞窒酸)가스 접촉농도(接觸濃度)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5. 엽중질소함량(葉中窒素含量)은 가스접촉농도증가(接觸濃度增加)에 따라서 증가(增加)하였으며 야간접촉(夜間接觸)이 주간접촉(晝間接觸) 보다 증가량(增加量)이 많았다. 6. 아질산(亞窒酸)가스접촉(接觸)으로 인(因)한 엽중질소(葉中窒素) 증가량(增加量)과 엽피해율(葉被害率)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