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보육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6초

직장보육 관련법의 변화과정 및 직장보육서비스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cess to Amend Laws Concerning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and the Improvement of Its Service)

  • 김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1-268
    • /
    • 2005
  • This study analyzes the amendment history of Educare Law of Infants and Children,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and Employment Insurance Law, and also examines the present status of the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service through secondary analysis of other policy studies. The three laws concerning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an be said to hold in itself two main concepts: employers' obligations to provide child care, and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In terms of the first concept, laws have been amended to enlarge the number of enterprises legally-responsible for child care service and to relieve the financial burden from them. In terms of the second, laws have been amended to gradually extend the magnitude of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nd to establish the systematic administrative management. Approximately a half of the policy target enterprises, however, is not complying the laws. In additio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re only occupying less than 1% of the whole child care market. Thus, this study evaluates the current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service system and suggests several principles for its improvement.

  • PDF

보육교사의 직장 내 무례, 소진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in Nursery Teachers)

  • 신건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71-381
    • /
    • 2016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장 내 무례, 소진, 그리고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71명을 대상으로 WIS, MBI, TES, 그리고 JSS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례는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보수승진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소진은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직무환경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직무환경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요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넷째,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에 대한 영향에서 무례가 소진이나 교사효능감보다 직무만족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의 선행변수로 직장 내 무례와 같은 인간관계변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eachers' Job Stres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 권연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87-498
    • /
    • 2010
  • This study explored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eachers' job stress in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Participants were 191 child care teachers from 19 corporate-sponsored child care centers.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ests. Important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load of task was the dominant factor in causing job stress. Secondly, social support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Thirdly, child care teachers'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was also found to be related to their job stress. Finall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맞벌이 부모의 직장보육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태도와 복지향상 기대 (Attitudes and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of Dual-earner Parents)

  • 김선애;한유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51-363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dual-earner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and their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71 dual-earner coup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ual-earner par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2)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was observed in dual-earner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service: Mothers display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fathers. Also, either being positive or negative in the attitude differ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income and job. 3) Parents' attitude toward the day care serv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showed about the service, the more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hey reported, and vice versa. 4) Positive (employers, parents, children) and negative (parents) attitud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parents'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 PDF

취업모의 직장환경, 양육시간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According to Mother's Work Variables and Parenting Time)

  • 최연화;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5
    • /
    • 2007
  • 본 연구는 취업모의 직장환경과 양육시간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통해 만 3-5세 영유아의 취업모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설문지는 아동을 통해 각 가정에 의뢰하여 어린이집에서 수거한 뒤 본 연구자가 취합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에서 202부가 회수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 F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장환경은 근무시간 융통성이 낮고, 비정규 근무가 높을수록 일-어머니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과 관련된 정책의 시행여부에 따라서는 일-어머니 역할갈등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가 자녀와 함께하는 양육시간이 짧을수록 일-어머니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취업모의 일-어머니 역할갈등과 직장환경, 양육시간은 서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모의 직장환경과 양육시간은 일-어머니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직장어린이집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mmitment and Teacher Efficacy in Workplace Child-Care Center)

  • 문연심;강경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73-190
    • /
    • 2015
  •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헌신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ANOVA), Scheff$\acute{e}$ 사후검증, Pearson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사헌신과 교사효능감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헌신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에 대한 헌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학력과 경력 및 담당학급 영유아의 연령과 기관의 전체 교사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내적 특성으로서 교사헌신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에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교사헌신과 효능감을 연계지어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직장보육시설의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 취업모의 삶을 중심으로 - (An Ethnographic Case Study on the Meaning of an Employer Supported Educare Center : Focus on Lives of Working Mothers)

  • 권미량;천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4
    • /
    • 2006
  • This study focused on the lives of working mothers in its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an employer supported educare center. Ethnographic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the analysis of documents were used for the case study at D educare center where management has been entrusted to K University. Results showed that employer supported educare center had significant meanings in the lives of working mothers. Meanings consisted of stories about relieving time conflicts, adapting themselves to life space, putting confidence in the educare center, and organizing community. Meanings g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 educare center could be a model for employer supported educare centers focused on the lives of working mothers.

  • PDF

직장 내·외 사회적 지지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 박남심;박보경;김미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3-9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child care teachers and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t i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Seco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In other word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experienced less psychological burnout, which led to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ths in which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nd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different. Although the pathways were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both types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hat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s.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ppiness on Parental Stress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atisfaction Level)

  • 홍성희;탁정화;강현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3-91
    • /
    • 2014
  •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행복감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일 가정의 조화로운 양립과 직장어린이집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 206명을 대상으로 7개 영역 35문항으로 구성된 행복감 검사도구와 2개 영역 20문항으로 구성된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 및 5개 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된 이용만족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과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양육스트레스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행복감과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직장어린이집 부모의 행복감은 행복성, 가족의 화목 순으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행복감은 행복성, 대인관계 순으로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지원을 위한 지원 방향이 물질적 구조적 접근뿐만 아니라 부모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정의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