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직장 내·외 사회적 지지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 박남심 (수호천사공동직장어린이집) ;
  • 박보경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미옥 (시립오산숲어린이집)
  • Received : 2021.10.15
  • Accepted : 2021.12.08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child care teachers and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t i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Seco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In other word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experienced less psychological burnout, which led to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ths in which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nd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different. Although the pathways were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both types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hat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숙, 송승민, 박보경 (2021).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8(1), 75-101. doi:10.22155/JFECE.28.1.75.101
  2.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3. 강신영, 문혁준 (2020). 보육교사의 그릿과 직장 내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383-404. doi:10.22251/jlcci.2020.20.16.383
  4. 고경미, 이선경 (2016). 보육교사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225-250.
  5. 김동진, 송미덕 (202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전국상담복지연구, 4, 85-123.
  6. 김민지, 이희영, 임희수 (2019).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 및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159-180. doi:10.22251/jlcci.2019.19.14.159
  7. 김보경, 이경님 (2021).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교직전문성 인식 및 셀프리더십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2(1), 165-188. doi:10.21197/JCEI.12.1.8
  8. 김상경, 최지영 (2020).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4(3), 333-351. doi:10.21459/kccr.2020.24.3.333
  9. 김성원, 구본명 (202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20(3), 41-55. doi:10.21213/kjcec.2020.20.3.41
  10. 김수진, 김상림 (2020).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6(2), 123-130. doi:10.17703/JCCT.2020.6.2.123
  11. 김은숙 (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12. 김인희, 김진경 (202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075-1100. doi:10.22251/jlcci.2020.20.17.1075
  13.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doi:10.14698/jkcce.2014.10.5.175
  14. 김지민, 정지나 (2016).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4(5), 21-33. doi:10.7466/JKHMA.2016.34.5.21
  15. 김지연, 최미경 (2018). 보육교사 소진이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3), 127-139. doi:10.5723/kjcs.2018.39.3.127
  16. 문명화, 김남희 (2020). 동료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185-202. doi:10.14698/jkcce.2020.16.06.185
  17. 문성호, 이현진 (2018). 만2세 영아-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3), 241-262. doi:10.17643/KJCE.2018.27.3.13
  18. 박남심, 박보경 (2021).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143-160. doi:10.14698/jkcce.2021.17.02.143
  19. 박남심, 송승민 (2019). 보육교사의 자기 돌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3(6), 105-124. doi:10.32349/ECERR.2019.12.23.6.105
  20. 박은경, 김정희 (2019).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1-23. doi:10.22251/jlcci.2019.19.21.1
  21. 박은서, 이경님 (2020).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소진 및 보육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9(3), 141-168. doi:10.30761/ecoece.2020.19.3.141
  22. 박은희, 김정화 (2020).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 능력, 정서조절 능력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523-540. doi:10.22251/jlcci.2020.20.21.523
  23.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혜영, 강만철 (2020). 유아교사의 자아 탄력성과 소진의 관계: 교사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9(2), 55-78. doi:10.20497/jwce.2020.9.2.55
  25. 보건복지부 (2020).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세종: 보건복지부.
  26. 성현주, 이연승 (2021).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와의 아동기 경험, 성인애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41(1), 109-132. doi:10.18023/kjece.2021.41.1.005
  27. 손진희, 박형신 (2021).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직업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27, 21-43. doi:10.37918/kce.2021.3.127.21
  28. 안선희, 김지은 (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29. 안효진, 안선희, 문혁준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30. 우수정 (2020).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573-590. doi:10.22251/jlcci.2020.20.22.573
  31. 유경숙 (2020).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9(2), 161-175. doi:10.17643/KJCE.2020.29.2.08
  32. 유미나, 신나리 (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 지지. 생애학회지, 3(2), 73-85.
  33. 이경화, 주미정, 이희영 (2011).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1), 99-113.
  34. 이기영, 조안나 (2020).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673-693. doi:10.22251/jlcci.2020.20.15.673
  35.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36. 이민선 (2015).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갈등과 심리적 소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방실, 강수경, 정미라 (2016).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4(3), 75-94. doi:10.18230/tjye.2016.24.3.75
  38. 이은희, 김현수 (2020). 보육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10(3), 1-19. doi:10.30528/jolss.2020.10.3.001
  39.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41. 이종금, 전정민 (2020).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4(3), 167-185. doi:10.18398/kjlgas.2020.34.3.167
  42. 이종은, 김희태 (2021).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9(1), 169-187. doi:10.18230/tjye.2021.29.1.169
  43. 이주연, 김유진 (2014).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107-125.
  44. 이혜영, 김유미 (2021).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121-142. doi:10.14698/jkcce.2021.17.02.121
  45. 임진형 (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미라, 이방실, 박수경 (2015).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23(2), 87-108. doi:10.18230/tjye.2015.23.2.87
  47.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 (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48. 조상호, 강대옥, 김성철 (2018).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4), 51-63. doi:10.21213/kjcec.2018.18.4.51
  49. 최진영, 김영희, 김대광 (2015).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장내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73-593.
  50.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1. Ansari, A., Pianta, R. C., Whittaker, J. V., Vitiello, V. E., & Ruzek, E. A. (2020).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in relation to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10.1080/10409289.2020.1848301
  52.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53.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doi:10.1037/0033-2909.98.2.310
  54. Fiorilli, C., Benevene, P., Stasio, S. D., Buonomo, I., Romano, L., Pepe, A. et al. (2019). Teachers' burnout: The role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Frontiers in Psychology, 10, 2743. doi:10.3389/fpsyg.2019.02743
  55. Gastaldi, F. G. M., Pasta, T., Longobardi, C., Prino, L. E., & Quaglia, R. (2014). Measuring the influence of stress and burnou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and Psychology, 7(1), 17-28. doi:10.1989/ejep.v7i1.149
  56.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57. Halbesleben, J. R. B. (2006).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 meta-analytic test of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5), 1134-1145. doi:10.1037/00219010.91.5.1134
  58.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 (2014).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doi:10.1111/cdev.12184
  59. Hatfield, B. E., Burchinal, M. R., Pianta, R. C., & Sideris, J. (2016). Thresholds in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preschool children's school readiness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6, 561-571. doi:10.1016/j.ecresq.2015.09.005
  60. Ju, C., Lan, J., Li, Y., Feng, W., & You, X. (2015). The mediating role of workplace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burnou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1, 58-67. doi:10.1016/j.tate.2015.06.001
  61. Leyva, D., Weiland, C., Barata, M., Yoshikawa, H., Snow, C., Trevino, E. et al. (2015).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Chil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prekindergarten outcomes. Child Development, 86(3), 781-799. doi:10.1111/cdev.12342
  62. Maas, J., Schoch, S., Scholz, U., Rackow, P., Schuler, J., Wegner, M. et al. (2021). Teachers' perceived time pressure,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from the school principal.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24(2), 441-464. doi:10.1007/s11218-020-09605-8
  63.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2(2), 99-113. doi:10.1002/job.4030020205
  64.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doi:10.1146/annurev.psych.52.1.397
  65. Roorda, D. L., Verschueren, K., Vancraeyveldt, C., Van Craeyevelt, S., & Colpin, H. (201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al adjustment: Transactional links for preschool boys at risk.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5), 495-510. doi:10.1016/j.jsp.2014.06.004
  6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