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1.17.06.073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Park, Nam-Shim (수호천사공동직장어린이집)
Park, Bokyung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Kim, Mee-Ok (시립오산숲어린이집)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7, no.6, 2021 , pp. 73-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child care teachers and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t i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Seco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In other word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experienced less psychological burnout, which led to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ths in which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nd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different. Although the pathways were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both types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hat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s.
Keywords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psychological burnout; teacher-child interactions; child care teac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우수정 (2020).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 573-590. doi:10.22251/jlcci.2020.20.22.573   DOI
2 김지민, 정지나 (2016).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4(5), 21-33. doi:10.7466/JKHMA.2016.34.5.21   DOI
3 이혜영, 김유미 (2021).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121-142. doi:10.14698/jkcce.2021.17.02.121   DOI
4 Maas, J., Schoch, S., Scholz, U., Rackow, P., Schuler, J., Wegner, M. et al. (2021). Teachers' perceived time pressure,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role of social support from the school principal.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24(2), 441-464. doi:10.1007/s11218-020-09605-8   DOI
5 박은희, 김정화 (2020). 어린이집 교사의 공감 능력, 정서조절 능력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523-540. doi:10.22251/jlcci.2020.20.21.523   DOI
6 김상경, 최지영 (2020). 교사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4(3), 333-351. doi:10.21459/kccr.2020.24.3.333   DOI
7 김동진, 송미덕 (202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전국상담복지연구, 4, 85-123.
8 Hatfield, B. E., Burchinal, M. R., Pianta, R. C., & Sideris, J. (2016). Thresholds in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preschool children's school readiness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6, 561-571. doi:10.1016/j.ecresq.2015.09.005   DOI
9 이종은, 김희태 (2021).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 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9(1), 169-187. doi:10.18230/tjye.2021.29.1.169   DOI
10 최진영, 김영희, 김대광 (2015).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장내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소진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73-593.
11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문성호, 이현진 (2018). 만2세 영아-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3), 241-262. doi:10.17643/KJCE.2018.27.3.13   DOI
13 박은경, 김정희 (2019).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1-23. doi:10.22251/jlcci.2019.19.21.1   DOI
14 박은서, 이경님 (2020).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소진 및 보육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9(3), 141-168. doi:10.30761/ecoece.2020.19.3.141   DOI
15 이은희, 김현수 (2020). 보육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10(3), 1-19. doi:10.30528/jolss.2020.10.3.001   DOI
16 이경화, 주미정, 이희영 (2011).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0(1), 99-113.
17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18 이민선 (2015). 기혼보육교사의 다중역할갈등과 심리적 소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종금, 전정민 (2020).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와 교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4(3), 167-185. doi:10.18398/kjlgas.2020.34.3.167   DOI
21 임진형 (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 (2013).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193-215.
23 조상호, 강대옥, 김성철 (2018).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4), 51-63. doi:10.21213/kjcec.2018.18.4.51   DOI
24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5 김수진, 김상림 (2020).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이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6(2), 123-130. doi:10.17703/JCCT.2020.6.2.123   DOI
26 강미숙, 송승민, 박보경 (2021).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8(1), 75-101. doi:10.22155/JFECE.28.1.75.101   DOI
27 고경미, 이선경 (2016). 보육교사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225-250.
28 김보경, 이경님 (2021). 영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교직전문성 인식 및 셀프리더십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2(1), 165-188. doi:10.21197/JCEI.12.1.8   DOI
29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doi:10.14698/jkcce.2014.10.5.175   DOI
30 유경숙 (2020).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9(2), 161-175. doi:10.17643/KJCE.2020.29.2.08   DOI
31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DOI
32 Leyva, D., Weiland, C., Barata, M., Yoshikawa, H., Snow, C., Trevino, E. et al. (2015).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Chil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prekindergarten outcomes. Child Development, 86(3), 781-799. doi:10.1111/cdev.12342   DOI
33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DOI
34 Gastaldi, F. G. M., Pasta, T., Longobardi, C., Prino, L. E., & Quaglia, R. (2014). Measuring the influence of stress and burnou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and Psychology, 7(1), 17-28. doi:10.1989/ejep.v7i1.149   DOI
35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 (2014).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doi:10.1111/cdev.12184   DOI
36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doi:10.1146/annurev.psych.52.1.397   DOI
37 김은숙 (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38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39 강신영, 문혁준 (2020). 보육교사의 그릿과 직장 내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383-404. doi:10.22251/jlcci.2020.20.16.383   DOI
40 김성원, 구본명 (202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의 다중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20(3), 41-55. doi:10.21213/kjcec.2020.20.3.41   DOI
41 김인희, 김진경 (202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075-1100. doi:10.22251/jlcci.2020.20.17.1075   DOI
42 김지연, 최미경 (2018). 보육교사 소진이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3), 127-139. doi:10.5723/kjcs.2018.39.3.127   DOI
43 성현주, 이연승 (2021).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와의 아동기 경험, 성인애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41(1), 109-132. doi:10.18023/kjece.2021.41.1.005   DOI
44 손진희, 박형신 (2021).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직업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27, 21-43. doi:10.37918/kce.2021.3.127.21   DOI
45 안효진, 안선희, 문혁준 (2007).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5), 221-232.
46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47 김민지, 이희영, 임희수 (2019).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교사의 정신건강 및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159-180. doi:10.22251/jlcci.2019.19.14.159   DOI
48 유미나, 신나리 (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 지지. 생애학회지, 3(2), 73-85.
49 박남심, 박보경 (2021).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143-160. doi:10.14698/jkcce.2021.17.02.143   DOI
50 박혜영, 강만철 (2020). 유아교사의 자아 탄력성과 소진의 관계: 교사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9(2), 55-78. doi:10.20497/jwce.2020.9.2.55   DOI
51 안선희, 김지은 (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52 문명화, 김남희 (2020). 동료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185-202. doi:10.14698/jkcce.2020.16.06.185   DOI
53 Ansari, A., Pianta, R. C., Whittaker, J. V., Vitiello, V. E., & Ruzek, E. A. (2020). Preschool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in relation to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10.1080/10409289.2020.1848301   DOI
54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doi:10.1037/0033-2909.98.2.310   DOI
55 Halbesleben, J. R. B. (2006).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 meta-analytic test of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5), 1134-1145. doi:10.1037/00219010.91.5.1134   DOI
56 Ju, C., Lan, J., Li, Y., Feng, W., & You, X. (2015). The mediating role of workplace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 burnou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51, 58-67. doi:10.1016/j.tate.2015.06.001   DOI
57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2(2), 99-113. doi:10.1002/job.4030020205   DOI
58 Roorda, D. L., Verschueren, K., Vancraeyveldt, C., Van Craeyevelt, S., & Colpin, H. (201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al adjustment: Transactional links for preschool boys at risk.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5), 495-510. doi:10.1016/j.jsp.2014.06.004   DOI
59 박남심, 송승민 (2019). 보육교사의 자기 돌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3(6), 105-124. doi:10.32349/ECERR.2019.12.23.6.105   DOI
60 보건복지부 (2020).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세종: 보건복지부.
61 이기영, 조안나 (2020). 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673-693. doi:10.22251/jlcci.2020.20.15.673   DOI
62 이방실, 강수경, 정미라 (2016).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4(3), 75-94. doi:10.18230/tjye.2016.24.3.75   DOI
63 이주연, 김유진 (2014).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2(3), 107-125.
64 정미라, 이방실, 박수경 (2015). 유치원 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 및 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23(2), 87-108. doi:10.18230/tjye.2015.23.2.87   DOI
65 Fiorilli, C., Benevene, P., Stasio, S. D., Buonomo, I., Romano, L., Pepe, A. et al. (2019). Teachers' burnout: The role of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Frontiers in Psychology, 10, 2743. doi:10.3389/fpsyg.2019.02743   DOI
66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