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동료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4초

근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 요인 분석 : 제5차 한국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Analysis of physical and mental damag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Using the 5th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

  • 전혁진;표세인;최재원;유정은;이김동은;김창환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5-201
    • /
    • 2021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해의 요인을 파악하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작되었다. 제5차 근로환경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분석연구이며, 연구는 50,205명을 대상으로 근로자들의 성별, 언어폭력, 모욕, 성희롱, 성적관심, 왕따 괴롭힘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성희롱 가해자는 직장동료(83.6%)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왕따 괴롭힘과 성적 관심에 의한 피해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욕과 언어폭력은 근로환경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근로자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으로 근로자의 근로환경 만족도 향상뿐 만 아니라 생산성과 Work-life balance의 향상을 기대해본다.

기업의 유튜브 채널에서 활용된 광고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브이로그(Vlog)를 중심으로 (Effects of Advertising Strategies in Corporate YouTube Channels on Consumer Responses: Focusing on Vlogs)

  • 송유진;최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2-48
    • /
    • 2021
  • 이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인 유튜브를 활용해 많은 기업들이 채널을 운영하고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기존 광고의 속성 및 전략의 관점으로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공식계정을 운영하는 국내 기업의 브이로그 100개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하여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 광고모델 속성, 광고 소구,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기업 계정에서 제공하는 직장인 브이로그는 해당 직무에 관한 정보와 직장 동료의 인터뷰가 결합된 형식이었다. 더불어 광고모델의 속성이 소비자 반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크리에이티브 전략 중에서는 사용자 이미지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과 광고 소구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미비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새로운 광고 유형인 기업 브이로그의 광고효과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브이로그의 특성에 해당하는 브랜디드 콘텐츠 특성과 기존 광고 전략에 관한 요인을 함께 활용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기업 브이로그 제작 시 사용자 이미지 전략을 강화하고 매력성이 높게 측정되는 다수의 모델을 활용한다면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적합한 광고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Occupational Stress in Workers)

  • 이은경;박진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5-2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라남도 지역 직장인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20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및 업무관련 특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약 절반이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연봉이 3,000만원 이하인 경우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상사지지와 동료지지가 높을수록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6%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관리자 교육을 통한 효율적인 인력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노인경비원의 폭력피해 경험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lderly private security guards about their victimizatio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and their perception of occupational stress)

  • 홍국표;오규철;이창배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469-492
    • /
    • 2013
  • 전반적인 사회의 고령화 추세에 따라 민간경비에 종사하는 노인근로자의 비중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경비원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특히, 노인경비원이 폭력피해를 당할 위험에 상당 부분 노출되어 있어 그들의 폭력피해 경험에 대한 실태조사가 시급하다. 본 연구는 전국의 55세 이상 노인경비원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그들이 경험한 신체적 언어적 폭력피해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폭력피해 경험의 여부가 노인경비원들이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노인경비원들은 신체적 폭력피해보다 언어적 폭력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직장 내 상사나 동료보다는 고객으로부터의 폭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언어적 폭력피해를 경험한 노인경비원이 그렇지 않은 경비원에 비해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신체적 폭력피해의 경험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노인근로자를 대상으로 행해지는 신체적 언어적 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 PDF

지역사회복지관의 근무환경은 가족친화적인가? (Is Working Environment of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 Family-Fridendly?)

  • 문은하;조정은;장유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34-24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근무환경이 얼마나 가족친화적인지 분석하고 여성사회복지사들의 일-가정양립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행한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 대상자는 전국 4개 도(서울,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의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82명의 기혼 여성사회복지사로, 이 중 10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산전 후 휴가는 긍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유연근무제 및 육아휴직제도의 사용은 저조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기관의 분위기, 대체인력 채용의 어려움, 휴직 시 동료에게 전가될 수 있는 업무량으로 인한 관계 우려 등이 나타났다. 또한 업무량의 과도한 집중화로 인한 출퇴근 시간의 불규칙성이 일-가정양립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복리후생제도로 자녀학비 지원 및 직장 내 어린이집을 비롯하여 어린이집 사용에 대한 기관의 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회복지사의 영성(Spiritualty)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 경험 연구: 임상사목교육(CPE)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Spiritualty Education Program by Social Workers: focusing on CPE)

  • 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37-549
    • /
    • 2016
  • 사회복지사들의 소진 가능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직장 내 영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영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노인복지관 3곳의 사회복지사 25명에게 12주에서 14주간 임상사목교육(Clinical Pastoral Education: CPE)이 실시되었다. 교육 종료 후 교육 참여자 24명과 4회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CPE 교육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에게는 개인적 차원에서(자기성찰의 일상화, 개인의 영성과 사회복지사의 영성의 통합, 자기비움과 이타성 추구), 실천 행위에 있어서(클라이언트의 개별성 인정, 해결책 제공의 강박관념에서 탈피, 공감적 경청 실천), 조직 내적 차원에서(끈끈한 동료의식의 생성, 수평적인 조직관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사회복지사 개인과 조직이 동시에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조직이 소속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영성의 발달을 돕고, 개인적 영성과 조직의 영성이 통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ternalis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왕환환;김종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5-15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MBA 과정을 다니는 직장인 및 그들의 동료들 총 406명을 연구 대상으로 조직몰입이 가장적 리더십 및 조직 동일시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기업에서의 가장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가장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가장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관계에서 조직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적 리더십의 요인 중에 권위주의는 조직몰입과 유의하지 않으며 자비심은 가치적 몰입에 정(+)의 영향, 도덕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적 리더십은 조직 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장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동일시는 도덕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자비심과 근속적 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ecurity Guard)

  • 김인재;조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32호
    • /
    • pp.65-93
    • /
    • 2012
  •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여 민간경비산업에서 일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민간경비원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민간경비업의 효과적인 조직운영 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서울 및 충청남도의 민간경비업체의 직원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이용하여 총 35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서 국내 외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자료 처리는 SPSS version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업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할갈등, 임금체계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업무만족이 높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상사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임금체계, 책임감, 역할갈등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상사만족이 높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기회균등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임금체계, 역할갈등, 책임감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기회균등만족이 높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복리후생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임금체계, 역할갈등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복리후생만족이 높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임금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임금체계, 역할갈등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임금만족이 높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직장의 자긍심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임금체계, 역할갈등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장의 자긍심이 높다. 일곱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동료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역할갈등, 임금체계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동료만족이 높다.

  • PDF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사무직 공부원의 직업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사회심리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Psychosocial Health Status of Job Stres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조영채;권인선;배남규;박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69-2177
    • /
    • 2010
  •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스트레스나 피로수준과 같은 사회심리적 건강상태가 그들의 직급, 근무경력 등의 직업관련 특성이나 업무요구도, 업무자율성, 직장 내에서의 사회적 지지와 같은 직무스트레스 내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의 5개 정부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일반 사무직 행정공무원 805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09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무원들의 스트레스 및 피로수준은 직급, 근무경력, 업무만족도, 업무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및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년 간 결근일수, 업무요구도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직업관련 특성 요인보다 사회심리적 건강상태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관련 특성의 인지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무원들의 스트레스나 피로를 감소시키기기 위해서는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내용의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병원 간호조무사들의 직무만족도와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Assistant Nurses in General Hospitals)

  • 김광진;사공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96-304
    • /
    • 2007
  • 간호조무사들의 역할변화와 함께 이들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또한 변화하였을 것이므로 새로운 변화에 맞는 직무만족도 조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간호조무사들의 직무만족도를 평가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의료기관의 효율적 운영과 인력관리 그리고 의료서비스의 질적 개선과 간호조무사 개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종합병원 2곳, 대학병원 4곳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 291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관련요인을 조사하였다. 교대근무 및 근무 장소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군이 하는 군에 비해 업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근로조건만족도는 교대근무를 하는 군이 안하는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의료기관만족도와 사회적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무 장소에 따른 만족도에서 직무만족도는 병실근무자가 가장 낮았으며, 근로조건만족도는 외래 근무자가 가장 낮았다. 의료기관만족도는 근무 장소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사회적만족도는 병실근무자가 가장 낮았다(p<0.05). 간호조무사 업무 종사이유 여부에 따른 만족도는 이유가 있는 군이 이유가 없는 군보다 업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간호조무사 업무 종사 이유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적성에 적합한 군의 업무만족도가 가장 높고 타 분야 취업이 곤란해서라는 군이 가장 낮았으며 두 군의 차이는 유의하였다(p<0.05). 이직 경험 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이직한 적이 없는 군이 있는 군에 비해 업무만족도가 낮았고(p<0.05), 근로조건만족도는 이직한 적이 있는 군이 만족도가 높았다. 전직의사를 갖고 있는 정도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전직의사가 없는 대상자가 업무만족도가 가장 높고 전직의사가 매우 높은 대상자가 업무만족도가 가장 낮았다(p<0.05). 교대근무자 즉, 병실근무자의 직무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동료 및 상사의 관계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교대근무제도의 개선과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간의 원활한 업무협조를 통한 직장 내 직무 만족도 향상방안을 마련하여 간호조무사가 자신의 업무에 보람을 느끼고 능률적으로 직무에 임함으로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