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2.234

Is Working Environment of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 Family-Fridendly?  

Moon, Eun-Ha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Jo, Jeong-Eun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Jang, Yu-Da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family-friendly the working environments of Korean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and analyz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We conducted a mix-method exploiting survey and interview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four provinces (Seoul, Kyonggi, Kangwon and Kyongsang). 82 participants were involved in the survey and 10 in the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 take up rate of maternity leave was comparatively high while flexible working hours and parental leave were substantially low. Working atmosphere of the center, difficulties in hiring replacements and peer pressur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low take up rates. Also the working hours and concentration of work in certain periods negatively effected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Lastly, we found a high need for welfare service related to child care provid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s where participants-female social workers- worked at.
Keywords
Married Female Social Worker; Working Environment; Parental Leave; Work-life Balance; Community Welfare Cent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공선희, 서울시 기혼남녀의 일가족양립과 저출산,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2009.
2 김경희, 류임량, "여성단체의 일-가족양립 제도화를 위한 활동과 특성", 한국여성연구소, 제8권, 제12호, pp.77-116, 2008.
3 김외숙, "일-가정양립을 위한 가사노동분담 방안", KNOU 논총, 제50권, pp.105-128, 2010.
4 김제선, 공공으로 이직한 사회복지사의 특성 및 민간 사회복지사 처우 개선에 관한 인식,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인적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2012.
5 김태홍, 김난주, 우리나라 모성보호제도의 실시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6 송다영, 장수정, 일가족양립지수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7 신지연,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모성보호제도 활용에 관한 연구: 산전 후 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6.
8 유진희,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조영희, 김성희, "일-가정양립정책을 바라보는 생활과학적 관점에 대한 一考",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미간행), 2010.
1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인적자원연구소, 사회복지사 인력수급 동향 및 전망, 사회복지인적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2012.
11 허수연, 엄태영, "기혼 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가족갈등 구조에 관한 연구: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배우자 지지의 영향분석", 한국사회 복지행정학, 제9권, 제3호, pp.33-61, 2007.
12 G. Esping-Andersen,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 Univ. Press, 1999.
13 G. Esping-Andersen,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e Univ. press, 1990.
14 서동희,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178-181, 200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5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 사회복지사 기초통계 연감: 한국사회복지사 기초실태 및 인식조사,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0.
16 홍승아, 이미화, 김영란, 유계숙, 이영미, 이연정, 이채정, 일가족양립정책의 국제비교연구: 정책이용실태 및 일가족양립현실, 한국여성 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