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 가치관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 탐색 및 종단변화 (A Study on the Types of Career Values of Science Core School Students and their Longitudinal Change)

  • 신세인;이준기;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3호
    • /
    • pp.318-330
    • /
    • 2020
  • 이 연구는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계열별 직업 가치관의 유형과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하여 11개 직업 가치관 문항을 포함한 직업가치관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 174명의 3차에 걸친 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계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상당수는 직업가치관은 측정 시점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으며, 이들 중에는 직업가치관적 고려가 거의 없는 상태로 유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혼재되어있는 전혀 다른 성향을 보여주는 집단인 직업가치관 급변 집단들도 함께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직업 가치관의 변화추세와 그에 따른 잠재집단 유형에 기반을 둔 맞춤형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Analyzing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 Social Network Approach)

  • 신세인;이준기;하민수;이태경;정영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95-216
    • /
    • 2015
  •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직업동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미래 과학기술인력 공급과 육성을 위해서 과학영재들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형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자신의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과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에 해당하는 직업가치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한 후, 사회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학생들은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관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직업선택 과정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다양한 직업가치관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들은 이공계열과 의약계열 직업 모두에 대해서 능력발휘와 같은 자아실현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가치관을 고려했으나, 일반학생들은 사회봉사를 가장 큰 직업가치관 요소로 보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구조가 일반학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 직업을 지도하는데 있어 직업가치관과 관련된 네트워크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방사선과 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Work Values of Radiologic Technology Students)

  • 김학성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3호
    • /
    • pp.271-280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과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전국에 소재한 7개 대학 방사선과 학생 79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직업가치관 유형을 추출하고, 직업가치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변인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방사선과 학생들의 외재적 직업가치관(지위, 경제적보상)은 내재적 직업가치관(사회기여, 성취, 능력, 직업흥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2. 방사선과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관 유형은 경제적 보상, 지위, 성취, 능력, 직업흥미, 사회기여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사의 세대 차이에 관한 연구 -직업가치관과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Nurses Focus on Work Value and Job Engagement)

  • 안성미;이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99-21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사 세대별 직업가치관과 직무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고,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호사 25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간호사 세대별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사들은 직업생활에서 경제적 보상, 고용안정성과 쾌적한 근무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율성을 포함하는 자유 재량권, 승진기회 그리고 사회적 기여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대별 차이에서 Y-세대와 Z-세대는 X-세대에 비해 일의 흥미와 시간적 여유에 높은 가치를 두었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가치관의 세부요인은 사회적 기여가, 직업가치관 외 요인으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 업무에 대한 육체적 부담감, 우울로 파악되었다. 세대별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X-세대는 사회적 기여가, Y-세대는 사회적 인정이, Z-세대는 시간적 여유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대별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는 간호조직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매개효과 (The effects of work value of vocational counselor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 Mediator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최현아;김인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72-48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직업상담사 207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조직 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가치관의 유형에 따라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외재적 직업가치관 유형 모두와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상담사들은 직업 그 자체에 대한 내재적 의미와 가치뿐만 아니라, 직업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으로 취할 수 있는 이익 등 외재적 가치 모두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내재적 가치관보다 외재적 가치관이 상대적으로 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상담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자부심 등 내재적 가치 외에 물질적 보상과 직업안정성 등 외재적 가치를 증진시켜 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Work Value, Career Attitude Maturity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96-10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18명의 학생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6월 4일부터 8월 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25.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고, 관련 요인으로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 및 진로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고, 취업 준비행동의 영향요인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 영향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로 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들을 보정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천주교와 개신교를 종교로 갖고 있는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진로태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직업안정 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낮고, 애국 및 실내활동 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독립성, 준비성, 확신성, 결정성이 높은 경우에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았다. 최종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태도성숙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결과,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정도가 높은 반면에 진로태도성숙도는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대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in the Work Values Types of Freshmen'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60
    • /
    • 2004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새로운 직업가치관 유형을 구명하는데 있으며, 3개 대학 치위생과 신입생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42매를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요인분석에 의해 직업가치관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은 (1) 지위 (2) 경제적 보상 (3) 사회 기여 (4) 성취 (5) 능력 (6) 직업흥미 등 6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사회기여, 성취, 능력, 직업흥미 유형은 내재적 가치관으로, 지위와 경제적 보상 유형은 외재적 직업가치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외재적 가치관(4.24점)은 내재적 가치관(3.86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4. 치위생과 신입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관 유형은 경제적 보상(4.39점), 지위(4.09점), 성취(4.07점), 능력(3.98점), 직업흥미(3.91점), 사회기여(3.46점)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생활양식에 관한 융합연구 -치위생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on Job Value and Lifestyle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선행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90-197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활양식과 직업가치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직업가치관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서울 지역의 치위생과 재학생 23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평균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양식 수준은 3.27, 직업가치관 3.77이었고, 출생순위가 빠를수록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높았다(p<0.05). 여자에서 도전·모험, 가족중심 생활양식이 높았으며(p<0.05). 생활양식과 직업가치관과는 상관성이 있었다(r=0.245, p<0.01). 대학생들의 생활양식이 직업가치관에 긍정적 의미를 지닐 수 있기 위해서는 직업가치관 관련 교육을 비롯하여 진로 적성 검사, 개별 상담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지재훈;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3-193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B 지역 내 치위생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SPSS 24.0 및 AMOS 24.0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외재적 직업 가치관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와 매개변수인 전공만족도에 부(-)의 효과가,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음이 검정되었다. 또한, 외재적 직업 가치관과 내재적 직업 가치관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는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한 직업 가치관 형성과 전공 만족 수준을 높여야 함을 시사하며,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진로 및 교육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amedic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박대성;김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63-270
    • /
    • 2020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의 결과를 토대로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D광역시, J도 소재 3·4년제 대학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부터 8일까지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미비한 9부을 제외한 341부를 SPSS ver. 12.0(Window)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취업준비행동에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직업가치관의 내재적 직업가치관, 외재적 직업가치관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성별 및 학년의 특성과 전공선택동기 및 직업가치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집단 상담과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과정에서 직업가치관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