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업건강서비스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Analysis of workers's percep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 Park, Jeong-Hw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253-25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하는 것이다. D광역시의 정신건강서비스 기관인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재활시설의 종사자 132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가족지지, 종사자 역량, 종사자 욕구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된 t 검정,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종사자 욕구는 정신재활시설이 정신건강복지센터보다 높게 나타났고, 종사자의 역량이 정신장애인 직업능력이나 가족지지에 비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건강간호 활성화 방안에 관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on Plans to Revitalize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t Industrial Worksites)

  • 이영주;노경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0-100
    • /
    • 2021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plans to revitalize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t industrial worksites. Method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rive the questions. Next, we used the Delphi method with two rounds to obtain experts' opinions. The 15 expert participants were seven occupational health nurses and eight professors from nursing colleges. Results: The analysis of opinions indicated that occupational health nurses should be competent in clinical nursing care to perform health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work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quality occupational nursing services that can prevent and manage occupational diseases and work-related illnesses. Moreover, an improved system for stable employment of these nurses should be implemente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occupational health nursing is an independent and important area for improving workers'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It will provide basic data for initiating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nd expanding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health nurses.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과 직업특성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Practice and Jab Characteristics on Periodontal Disease of Employees)

  • 이병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5-1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 및 직업적 특성과 치주질환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근로자의 구강건강 증진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총 1,737명의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도는 흡연, 비만,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도에서는 직업의 종류, 근무상태, 정규직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근로자의 치주질환은 건강행위실천과 사회경제적 수준에 영향을 받기에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을 위한 사업주들의 적극적인 관리와 저소득층을 위한 구강보건의료정책 개발을 통한 의료서비스 양극화 해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애아동 보호자의 구강건강관리 인식 (A Study on the Oral Halth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es Recognition)

  • 배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87
    • /
    • 2007
  • 장애아동보호자의 구강건강 인식이 장애아동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장애아동의 구강건강향상을 증진시키고 정책적인 예방구강보건사업을 실시하여 질적인 치과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병원에 내원하는 장애아동의 보호자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아동과 보호자와의 관계, 응답자의 최종학력,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월수입, 거주형태에 따라 일일 간식섭취 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 < 0.05). 2. 장애아동과의 관계, 응답자의 최종학력,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월수입, 거주형태에 따라 간식의 유형(신선한 과일류, 과자류, 아이스크림 및 음료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 < 0.05). 3. 장애아동과의 관계, 응답자의 최종학력,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월수입, 거주형태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참여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 < 0.01).

  • PDF

대인서비스 종사자의 심리사회적 작업조건과 심리적 건강수준에 관한 성별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Interactive Service Workers)

  • 이복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2-14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gender among Korean interactive service workers.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extracted from the 2011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For the present analysis, 15,669 workers who interact with others at work were select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 set of variables was chosen from the KWC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using the WHO-5 well-being index. Results: The prevalence of poo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en (43.1%) than women (39.6%).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demands for hiding emotions, bullying, and discrimination, whereas men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psychological job demands, cognitive demands, demands for responsibility, role conflict and long working hours. Mos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poor well-being among women and men except demands for hiding emotions, skill discretion and development,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harassmen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are offered to help interactive service workers adjust to their dutie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리사회적 업무환경과 건강결과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Health Outcomes among Nurs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and General Wards)

  • 권재영;조성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3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nurses'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PWE)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IWs) with higher nurse staffing and general wards (GWs) with lower staffing,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PWE on their health outcom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1 nurses in IWs and 156 nurses in GW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in 2023.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hosocial Questionnaire III was used to measure PWE and health outcome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WE on health outcomes. Results: The most negative aspects of the nurses' work environment were found in the work demand domain. IW nurses (vs. GW nurses) reported lower work demand, better work organization and job contents, and a more positive work-individual interface. Nurse health outcomes were also better in the IWs. Lower work demand and better work-individual interfac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mproved health outcomes, while ward type (IW vs. GW)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outcomes. Conclusion: Reducing work demand by expanding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s nationwide and improving nurse staffing in GWs is crucial for improving health outcomes.

의료기관 종사자의 고객접점 (MOT)서비스교육만족도, 고객지향성 및 서비스몰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rvice Education Satisfaction, Service Involv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Hospital Employees)

  • 이승희;최연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7-34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rvice education satisfaction, service involv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hospital employees after yearly-planned MOT service education.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D city from March 15 to 31, 2010.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enrolled employees were two hundred and seventy six.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dequate work load, good payment, reasonable promotion system, suitability of work aptitude and good relationships with staff improved the service education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involvement of hospital employees. For the customer orientation, old age an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were positive factors. The correlations among the service education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involvement of hospital employees were significant. The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involvement were found to be age, suitability of work aptitude and service education satisfac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involvement were 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for working condition and service education. In terms of good medical service quality, plans for maintaining adequate working environment and systematic servic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직업분류 및 고용분류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증상, 의료기관 이용률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Utilization of Professional Consultation according by Occupation Classification and Employment Status)

  • 안지연;이성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09-420
    • /
    • 2014
  • 본 연구는 직업분류 및 고용분류별 스트레스, 스트레스 상담, 우울증상, 우울증상 상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직업분류별 및 고용분류별 확실한 비교를 위해 기준 직업군으로 '무직(직업분류 기준항목)'과 '무급가족종사자(고용분류 기준항목)'를 포함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6차 개정)에 의한 총 13개의 직업군을 이용하였다. 직업분류 및 고용분류별 스트레스, 스트레스 상담, 우울증상, 우울증상 상담 여부의 교차비에서는 '무직'과 '무급가족종사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대체적으로 더 낮게 나타난 반면, 스트레스 상담, 우울증상, 우울증상 상담에서는 '무직'과 '무급가족종사자'가 오히려 더 높은 교차비를 보였다. '관리직'을 포함한 7개의 직업군은 '무직'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만(OR > 1), 의료기관 이용률은 낮게 나타났다(OR < 1). '고용주 및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가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높은 교차비를, 스트레스 상담 및 우울상담에서는 낮은 교차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문제 선별 및 관리를 위해 특정 인구집단에 대한 접근을 통해 직장 내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 조사 (A Survey on the voice symptoms and vocal-health service related experience of occupational voice users)

  • 이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97-405
    • /
    • 2015
  •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사, 텔레마케터,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음성증상의 유무 및 유형,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91.8%), 텔레마케터(97.9%), 치료사(86%)들은 한 가지 이상의 음성증상을 보고하였다. 증상 유형은 '열감, 마름, 마른기침, 통증, 가래생김, 따끔거림, 쉼, 목소리 갈라짐, 부어오름'의 9가지로 분류되었고, 세 집단 모두에서 '마름' 증상이 가장 많았다. 교사의 85.7%, 텔레마케터의 87.8%, 치료사의 66%는 음성사용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음성언어치료사'와 '언어치료사' 모두를 아는 경우는 각각 19.6%, 19.9%, 72%였다. 음성의 효율적 사용법에 대해 교사의 36.8%, 텔레마케터의 43.6%가 잘 알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교사의 45.3%, 텔레마케터의 43.6%, 치료사의 28%는 음성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상당수가 음성증상을 경험하지만 음성건강 관련 전문적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의료행위 분석

  • 윤순녕;현혜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호
    • /
    • pp.41-53
    • /
    • 1993
  • 본 연구는 산업 간호사의 통상증상에 대한 투약 및 처치, 타의료기관에 의뢰내용, 응급조치 내용을 업종별로 비교 분석코저 한다. 연구방법은 산업간호사회에 등록된 산업장 중 서울, 인천, 마산, 창원, 부산, 울산지역에 있는 130개 산업장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기관별 통상증상에 대한 처치 및 투약은 서비스업과 제조업, 기타제조업 모두에서 소화기계, 호흡기계증상에 대한 처치 및 투약 업무가 가장 많았으며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의 경우 소화불량, 감기, 근육통, 설사, 기침, 두통, 복통, 구토, 변비 등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제조업의 경우 소화불량, 감기, 설사, 두통, 근육통 등이 많았으며 기타제조업의 경우 감기, 두통, 소화불량, 근육통, 설사, 기침, 눈다락지 순으로 나타났다. 2) 근로자를 타의료기관에 의뢰 하는 내용은 즉각적인 수술을 요할때나 골절, 내부장기의 손상, 두뇌손상, 출혈 등으로 나타났다. 3) 업종별 응급조치내용은 서비스업에서는 화상과 쇼크, 출혈이 가장 많았으며 유해물질의 급성중독의 경우가 가장 적었다. 제조업에서는 화상, 골절, 쇼크, 출혈, 유해물질의 급성중독이, 기타제조업에서는 화상, 골절, 쇼크, 출혈의 순으로 많았다. 4) 업종별 구비관리하고 있는 의약품은 서비스업종이 제조업, 기타제조업보다 많은 의약품을 구비하고 있었으나 경미한 통상증상에 대한 의약품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볼때 제조업, 기타제조업, 서비스업종의 보건관리자가 일차보건의료수준에서의 투약 및 처치를 시행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투약의 범위를 설정하여 보건관리자의 직무를 표준화할 필요가 있으며 서비스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문제와 관련요인을 구체적으로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