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기대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6초

민간경비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 and Job Continuance among Private Security Guards)

  • 이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44-4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1년 9월 수도권소재(서울) 민간경비회사에서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비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280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65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원의 조직문화는 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중요성과 피드백은 높다. 개발합의적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중요성, 자율성은 높다. 합리적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높다. 위계적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중요성, 피드백은 높아진 반면, 자율성은 감소한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조직문화는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남성 집단에서 직무기대는 높다. 연령이 높을수록 위기지각이 감소한다.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위축, 대안기대는 증가한다. 월수입이 많을수록 직무만족, 위축, 직무기대, 대안기대, 위기지각은 증가한다. 개발합의적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만족, 고의적불성실, 직무기대, 대안 기대, 위기지각은 높다. 합리적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기대는 증가한 반면, 고의적불성실은 감소한다. 위계적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만족, 고의적불성실, 직무기대, 위기지각은 높다. 셋째, 민간경비원의 직무특성은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직무기대, 대안기대는 증가한다.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만족, 직무기대, 대안기대, 위기지각이 감소한다. 월수입이 많을수록 직무만족, 직무기대, 대안기대, 위기지각이 증가한다. 직무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 직무기대는 증가한다. 자율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 위축, 고의적불성실, 직무기대, 대안기대는 증가한다.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질수록 고의적불성실은 감소한다.

개인 특성에 따른 직무기대 불일치에 관한 연구: 대학 행정직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ectation Disconfirmation of Job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University Staff)

  • 유형규;이민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403-404
    • /
    • 2019
  • 국내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등록금 동결로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를 받으면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효율적으로 대학을 운영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교육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대학 행정직원의 업무 몰입을 통해서 가능하며, 이는 직원 만족도의 향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학 행정직원의 실제 만족도는 사전에 갖고 있던 일정 수준의 기대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기대와 실제 성과의 차이인 직무기대 불일치가 전반적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지원정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효율적인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보수결정과정과 조직내 인간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여성은 정년보장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근무기간이 짧을수록 보수결정과정, 급여의 적절성, 복지제도에서 기대불일치가 높고, 승진의 공정성에 대한 기대불일치는 낮다. 전반적인 직무만족 결과가 개인 특성별로 차이가 존재하므로 직원 지원정책 수립과정에 개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제한된 재원으로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관리자의 기대불일치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과다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Impact of Unmet Expectations on Manager's Job Burnout: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Overcommitment)

  • 신응균;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11-633
    • /
    • 2017
  • 본 연구는 기대보상불일치이론에 기초하여 기업 내 관리자 그룹을 대상으로 직무활동에서 경험하는 기대불일치와 직무소진, 과다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과다몰입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상대적 LMX의 조절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민간은행에 재직 중인 172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 분석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요인분석을 통해 변수측정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기대불일치는 직무소진과 과다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과다몰입은 기대불일치와 직무소진 간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나 상대적 LMX의 조절효과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다. 조직연구에서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관리자 그룹의 기대불일치현상이 과다몰입과 직무소진과의 인과 관계에 관한 실천적 함의와 직무설계 및 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변수의 선행요인 정교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학제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직무기대도와 직무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학 교직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fference in Job Expectation and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Employees of University)

  • 유형규;이민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42-243
    • /
    • 2018
  • 기존 연구들은 과업, 보수, 상사, 부하, 승진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가 높아야 직무몰입을 가져온다고 제시하였다. 모든 분야에 대해서 만족도를 높인다면 업무 몰입도와 업무성과는 당연히 높아지겠지만 현실적으로 제약이 있으므로 우선 순위를 정하여 집중적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직원에 대한 지원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만족도' 연구에 '기대도' 개념을 추가하였다. 즉, 만족도가 낮더라고 기대도가 낮다면 해당 요소는 만족하지 않을 거라는 기대를 하고 입사 및 근무하고 있으므로 지원대상에서 후순위가 된다. 반면에 만족도가 높더라도 기대도가 더 높다면 해당 요소는 기대도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므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항목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만족도와 기대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제한적인 재원으로 직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만족도 개선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직무 기대와 직무 만족의 차이가 전반적인 직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학 행정직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Differences between Job Expectations and Job Satisfaction on Overall Employee Satisfaction -Focused on University Staff-)

  • 유형규;이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08-31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행정직원이 직무에 대한 사전 기대와 만족의 차이인 기대 불일치가 직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대 불일치가 행정직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12월17일부터 2018년 12월24일까지 8일 동안 서울지역 S 대학교에 재직 중인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행정직원의 입사전 직무기대와 입사후 직무만족 사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5개 모든 측정변수에 대해서 유의미한 부(-)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근무대가 요인과 인사제도 요인이 직원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대가와 인사제도의 기대 불일치가 1 늘어나면 직원만족은 각각 0.35, 0.24만큼 낮아진다. 셋째, 근무대가와 인사제도의 하위 항목 중에서도 부서배정과 업무분장, 적절한 보수지급, 보수결정과정의 합리성, 좋은 복지제도 등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 불일치와 직원 만족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재정적인 부담이 낮으면서 직원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에 집중하여 행정직원의 기대 불일치 폭을 좁혀나간다면 직원의 만족이 높아지고 결국 교육서비스 품질이 제고될 것이다.

사서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역할과 역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Job Roles and Competency Levels Recognized by Teacher Librarians)

  • 박주현;강봉숙;임정훈;한상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93-22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직무별 중요도와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사서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수행 역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사서교사의 직무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고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서교사의 직무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임정훈 외(2021)가 선정한 25개의 직무를 수정한 뒤 사서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사서교사 자신의 직무별 중요도,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별 중요도 그리고 사서교사 자신의 수행 역량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독서교육과 리터러시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타 교원과 학생의 기대 직무로 '도서관 행사'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도서관 이용지도' 수행 역량이 가장 뛰어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중점적으로 사서교사의 역량 향상이 필요한 직무로는 '콘텐츠 큐레이션', '다른 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 지원', '디지털 기능과 기술 활용', '교수학습매체 제작', '정보의 접근과 공정이용', '교수설계 및 구현',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협력수업'을 포함한 9개의 직무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최하나;배현숙;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63-469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 수준과 수행업무 수준의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655명을 편의추출하여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12명이 회신하였다. 이 가운데 이직경험이 없는 치과위생사 295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진료보조업무, 예방업무, 상담업무, 접수업무 등 네 가지 업무영역별로 기대업무 수준과 수행업무 수준의 격차를 측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를 수행하였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과 근무경력에 따라 진료보조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p<0.01)와 접수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p<0.05)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 근무경력, 학력에 따라 상담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가 나타났다(p<0.01). 예방업무의 기대-수행업무 격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료보조업무(${\beta}$=0.163, t=3.102, p=0.002), 급여만족도(${\beta}$=0.538, t=10.788, p=0.000), 월차유무(${\beta}$=0.115, t=2.244, p=0.026)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R^2$)는 0.608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2.162, p=0.000). 3.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녀유무(${\beta}$=-0.254, t=-2.711, p=0.007), 진료보조업무 격차(${\beta}$=-0.186, t=-3.162, p=0.002), 급여만족도(${\beta}$=-0.313, t=-5.623, p=0.000)로 나타났다. 모형의 결정계수($R^2$)는 0.466으로써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749, p=0.000). 결론적으로, 급여만족도와 진료보조업무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월차유무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Estimating a Causal Model of Job Satisfaction in a Korean Hospital

  • 서영준;고종욱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1-191
    • /
    • 1995
  • 본 논문은 서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직무만족도에 관한 인과모형을 한국의 병원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직무만족도를 결정하는 인과적 요인들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모형의 종속변수는 직무만족도이고 독립변수로는 3개집단의 변수들로 크게 분류하여 선정되었는데 첫째, 사회적 변수들로써 직무의 자율성, 직무의 모호성, 직무 갈등, 직무의 양,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 발전가능성, 직무의 단순성, 분배정의, 승진기회, 물리적 근무환경, 임금 등이며, 둘째, 심리적 변수들로써 기대 충족도, 근무의욕, 적극적 심성, 부정적 심성 등이고, 셋째, 환경적 변수들로써 외부 취업기회와 가족에 대한 책임 등이 사용되었다. 또한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개인의 가치관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도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대구에 위치한 750병상 규모의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자기가 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879매가 회수되어 74.7%의 응답율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중 사용 가능한 83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선형구조관계분석(LISREL)과 다중회구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인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변수들은 직무의 모호성, 직무의 모호성, 동료관계, 직무의 단순성, 분배정의(이상 시회적 변수), 기대의 총족도, 근무의욕, 적극적 심성, 부정적 심성(이상 심리적 변수), 외부 취업기회(환경적 변수)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가치관과 인구학적인 변수들은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과모형은 직무만족도의 변이를 75.4% 설명함으로서 기존의 다른 모형들 보다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만족도의 인과모형은 한국의 조직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직무만족도의 일반적 모형은 구조적 변수, 심리적 변수, 그리고 환경적 변수들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모형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경찰의 직무만족이 자치경찰 도입 기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Police's Job Satisfaction on Expectation over Introduction of Municipal Police System)

  • 신재헌;김상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99-309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경찰의 업무환경에 대한 만족 수준이 자치경찰 도입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서 경찰 업무환경에 대한 만족 정도에 따라 현 체제에 대한 변화 혹은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따른 전보를 고려하는 경찰의 입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현직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의 직무만족에 따라 자치경찰 도입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찰의 직무만족 수준이 물리적 환경 변화에 대한 기대에 대하여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환경 변화에 대한 기대는 내재적 직무만족만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앞서 자치경찰에 대한 조직 및 인사 등에 대한 정리가 우선되어야 내부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ntinuance among Police Officers)

  • 김찬선;박영만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6_2호
    • /
    • pp.63-72
    • /
    • 2014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수도권소재(서울) 경찰공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판단표집법(judgm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187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합의적 문화, 위계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피드백은 증대되며, 위계적 문화, 합리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중요성은 높다. 또한, 개발합의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자율성은 높다. 둘째, 경찰공무원들의 조직문화는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합의적 문화가 형성되면 직무기대만족은 증대 되는 반면 고의적불성실은 감소한다. 또한 위계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위기지각 행동은 증가한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은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피드백과 직무중요성이 부각되면 직무기대만족은 증대되는 반면, 기능다양성은 감소한다. 또한 피드백 기능이 부각되면 위축요인을 감소한다. 직무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고의적불성실을 증대되는 반면, 기능다양성은 감소한다. 기능다양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안기대는 증가하며, 직무중요성, 자율성, 기능다양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위기지각은 증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