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ntinuance among Police Officers

  • 김찬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안전관리전공) ;
  • 박영만 (중원대학교 태권도경호학과)
  • 투고 : 2014.10.03
  • 심사 : 2014.10.29
  • 발행 : 2014.10.30

초록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2년 수도권소재(서울) 경찰공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후 판단표집법(judgm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187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는 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합의적 문화, 위계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피드백은 증대되며, 위계적 문화, 합리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직무중요성은 높다. 또한, 개발합의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자율성은 높다. 둘째, 경찰공무원들의 조직문화는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합의적 문화가 형성되면 직무기대만족은 증대 되는 반면 고의적불성실은 감소한다. 또한 위계적 문화가 형성될수록 위기지각 행동은 증가한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은 직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피드백과 직무중요성이 부각되면 직무기대만족은 증대되는 반면, 기능다양성은 감소한다. 또한 피드백 기능이 부각되면 위축요인을 감소한다. 직무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고의적불성실을 증대되는 반면, 기능다양성은 감소한다. 기능다양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안기대는 증가하며, 직무중요성, 자율성, 기능다양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위기지각은 증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ntinuance will among police officers. This study targets the police officers dispatch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12, and it uses judgment sampling method to analyze 187 samples. This study condu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WIN 18.0.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police officers has effects on job characteristics. That is, the feedback increases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becomes more mutual development- or agreement-oriented, or as it becomes more hierarchical; on the other hand, the job importance increases as more hierarchical and rational a culture becomes. Also, self-determination increases as an organization becomes more mutual development- or agreement-oriented. Seco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police officers has effects on the job continuance will. That is, the expected satisfaction increases but intentional insincerity decreases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becomes more mutual development- or agreement-oriented. Also, risk-perceiving behavior increases as an organizational culture becomes more hierarchical. Third, police officers' job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the job continuance will. That is, the feedback and job importance increases the expected satisfaction while reducing functional diversity. The feedback also reduces the contraction factor. The job importance increases intentional insincerity while reducing functional diversity. The functional diversity not only increase alternative expectation but also increases risk-perceiving fac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찰대학, 경찰학개론, 용인: 경찰대학, 2000.
  2. 김구,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 제14권, 4호, pp.39-70, 2005.
  3. 김연수, 수사경찰의 조직문화와 유형이 조직 내외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31권, pp.29-58, 2011.
  4. 김찬선, 강호정, 경찰조직의 치안서비스품질이 경찰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제1권, 제2호, pp.37-53, 2012.
  5. 김찬선, 조병해, 이지은, 특수경비원의 조직문화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사이버정보테러전학회, 제11권, 제5호, pp.65-76, 2011.
  6. 김효준, 민간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7. 박주상, 경찰의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 22권, pp.193-219, 2009.
  8. 안동현, 김찬선, 경찰의 치안서비스품질과 서비스 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융합보안학회지, 제14권, 제5호, pp.71-81, 2014.
  9. 이정훈,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2권, 제1호, pp.181-216, 2010.
  10. 이종환, 민간경비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의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1호, pp.444-454, 2014.
  11. 이홍재, 이영안, 성과지향적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81-108, 2009.
  12. 임영규,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13. 정영욱,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소외감이 근로연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14. 주재진, 경찰 조직문화인식이 윤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제15권, 제3호, pp.161-192, 2013.
  15. Schein, E.,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92.
  16. Sullivan, J. L., Introduction to Police Science, 3rd.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77.
  17. Schein, Edgar H.,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 Bass.
  18. 이환범, 김태영, 행정책무성에 대한 조직문화 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제43권, 제3호, pp.139, 2005.
  19. 박미숙, 교육행정직의 직무특성, 목표지향성, 학습조직준비도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20. 김학기, 직무특성과 공정성의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21. 양명주, 취업지원기구 종사자의 자기조절압력이 근로연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