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생활 만족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7초

생태체험마을 방문객의 방문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 충성도의 구조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cotourism Village Visitors' Motivation,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 김경희;이선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7-102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cotourism village visitors' motivation,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254 visitors to six ecotourism villages. According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re were four underlying dimensions of motivation (relaxation, adventure, nature experience, and learning) and on underlying dimension of value (tourism).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lax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value, and relaxation and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f functional value. Relax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value.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ecotourism village visitors' satisfaction, and economic value had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stination loyalty. The results imply that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value played important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2005 울진 세계 친환경 농업엑스포 관람객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at Uljin Eco-Agriculture/Organic Food Expo Korea, 2005)

  • 김정민;유기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9-15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itors' satisfaction at Eco-Agriculture/Organic Food Expo held in Uljin in 2005.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1,120 participants was conducted at the venue for three times from July 22nd to August 15th, 2005. The evaluation considered Expo facilities and services, and motives of visit along with demographics of 1,080 valid samples. Evaluation results indicat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Expo participation was positive and 63.6% of the respondents showed intention of revisit and/or future visit to agricultural events. Expo facilities and service represented higher satisfaction level, however cost factors such as food and beverage, souvenirs and entrance fee had lower performance levels. The study outcome can help local governments and/or organizers host hallmark tourist events in planning and managing.

  • PDF

부산광역시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가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sident Satisfaction Regarding Buffer Green Space at Meoyng-ji Multi-family Hous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양건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8-45
    • /
    • 2013
  • 주거지역의 완충녹지는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하나의 메커니즘인 동시에 거주생활 만족에도 중요하고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는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거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완충녹지가 설치되어 있는 명지주거단지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완충녹지가 가지고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거주생활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은 사회과학 통계 패기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명지주거단지 완충녹지의 역할은 주거쾌적성, 방재성, 녹지 이용성, 환경 생태성의 네 가지 요인으로 결정되었으며, 전체 누적 요인 기여율은 62.48% 중 주거쾌적성 기여율이 40.5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거주생활 만족도와는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이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방재성과 환경 생태성은 유의확률이 각각 0.725와 0.898로 다중회귀분석의 선호요인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거 쾌적성과 녹지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완충녹지 조성이 거주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ctivity Constraint due to Dis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김민수;고민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9-180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과 일상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5차년도에 참여한 3,809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 중 보청기를 사용해도 듣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상생활 만족도에는 모든 하위요인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 중 보청기를 사용해도 듣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일상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장애인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맞춤형 재활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장애인의 활동제약 수준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수준과 사회적 자립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나아가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해 자기주도적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과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연계한 지역사회기반의 통합적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매립지 주변 지하수오염 조사

  • 이창수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지 제13권(제2호)
    • /
    • pp.133-135
    • /
    • 2004
  • 1. 침출수 수질 조사결고, pH는 $3.7\~5.0,\;COD_{Mn}$$760\~1,800mg/\ell,\;NO_3-N\;26.124\~78.150mg/\ell,\;NH_3-N$$144.5\~350mg/\ell,\;Cl^-$$13272.0\~34137.0mg/\ell$,는 $450\~1620mg/\ell$, SS는 $81.2\~652.7mg/\ell$, T-N은 $228\~430mg/\ell$, T-P는 $0.921\~1.108mg/\ell$로 분석되었으며, 중금속류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2. 지하수 수질조사결과, 수질상태는 지하수를 생활용수, 농업용수, 어업용수 및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수질기준을 모두 만족시키고 있으며, 또한 분석을 실시한 항목에 대한 전조사지점이 대장균군을 제외한 수질조사 항목의 먹는 샘물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농경지 및 산업지역의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분석되어 대상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및 소각재 등의 주변지역 토양오염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

  • 전병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4호
    • /
    • pp.853-8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공동생활 하는 노인들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들의 공동생활 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남 북, 충남 북 지역에서 생활하는 여성 노인 20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그룹-홈, 공동거주제, 독거노인 등 3개의 거주형태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는 Time 1과 Time 2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나타나 2차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추가적인 맥락 정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우울은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지만,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는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 그룹-홈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해 정확한 해석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개인생활에 익숙한 노인들이 다른 노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독립적인 공간 부족과 사생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공동생활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실질적인 사회안전망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제시했으며, 노인들이 공동생활에서의 조기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Effects of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 조영미;류미혜;정다운;석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94-404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재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신체 건강 상태, 일상 생활 활동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및 양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 일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정상적인 인지 상태와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으로 총 79 명의 노인이 (실험군 : n=39, 대조군 : n=40)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는 편의표출통해 모집되었고 무작위 할당법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선정되었다.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은 경락체조와 기공요법의 하나인 팔단금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주 동안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측정 변수로는 신체 건강 상태, 일상 생활 활동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양생이었고, SPSS WIN21.0에 의해 기술 통계, x2-test 및 독립 t-tes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의 신체 건강 상태(t=10.295, p<.001), ADL(t=7.571, p<.001), 우울증 (t=-15.434, p<.001), 삶의 만족도(t=21.257, p<.001), 그리고 양생(t=9.52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중재의 결과 모든 변수에서 점수가 향상됨을 보였다. 결론 : 본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신체 건강 상태, ADL, 우울증, 삶의 만족도 및 양생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 중재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에서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Major Choice and Satisfaction in Major on the Adaption of university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안숙;김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11-519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한 242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10월 13일부터 10월 27일까지이었고, 배부된 250부 중 24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전공만족도 중 수업만족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가장 컸다. 설명력은 38%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만족도를 고려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이 필요하다.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With COVID-19 Era)

  • 이경아;손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45-459
    • /
    • 2022
  •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여가생활 현황과 노인의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노인복지관 노인 107명을 대상으로 삶이 만족도, 여가생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체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코로나 이전보다 이후에 상대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 상관관계에서는 코로나 이전의 경우 여가활동 정도와 삶의 만족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코로나 이후의 경우 여가활동 정도와 삶의 만족도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대안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지역사회에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노인을 위한 환경 개선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지털에 많은 변화로 노인들의 적응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인관련 기관에서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사용 방법 등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차원의 방안으로 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에 노인건강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갖춰 줘야 한다. 셋째, 코로나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을 위해 최소한의 생활보장이 보장되도록 노후소득보장제도 및 지원이 요구 되어진다. 넷째,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거리 및 관계위축으로 인한 관계 개선 및 위치 만족을 위한 노인들의 말벗과 상담 관련 프로그램 활성화가 필요하다.

지역축제에서의 서비스품질이 참가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Local Festival on Visitors' Satisfaction)

  • 이은지;문재영;권은실;김효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201-202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축제에 있어 축제참가자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지역축제의 경우 경제적, 환경적, 사회 문화적 영향을 받는다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요인들을 반영하여 지역축제에서 필요한 서비스품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의 도출을 우리나라의 지자체에서 시행하고자 하는 지역축제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의 방향을 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수도권에 비교하여 낙후된 지방의 문화생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