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ctivity Constraint due to Disability on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Min-Soo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VISION College of Jeonju) ;
  • Ko, Min-Seo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VISION College of Jeonju)
  • 김민수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고민석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21.09.18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y constraints due to disability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disabled, and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constraints due to disabilit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ponse data of 3,809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5th year of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were used and analyzed. As a result, all sub-factors except for the degree of difficulties in hearing even when using hearing aids among activity constraints due to disab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ll sub-factor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aily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except for the degree of difficulties in hearing even when using hearing aids among activity constraints due to disability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level of activity constraint for the disabled should be reduced by providing systematic and differentiated customized rehabilitation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thereby improving the health level and social independence ability of the disabled.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by linked rehabilitation program and health promotion program.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과 일상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5차년도에 참여한 3,809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 중 보청기를 사용해도 듣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상생활 만족도에는 모든 하위요인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장애로 인한 활동제약 중 보청기를 사용해도 듣는데 어려움이 있는 정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과 일상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장애인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맞춤형 재활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장애인의 활동제약 수준을 감소시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수준과 사회적 자립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나아가 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해 자기주도적 활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과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연계한 지역사회기반의 통합적 장애인 지원체계 마련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애인현황.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outLink=Y&entrType= 2021.09.08.
  2. 장애인실태조사.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outLink=Y&entrType= 2021.09.08.
  3. 임인걸, 김욱(2012). 중도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18: 131-157.
  4. 남재성(2021). 장애 청소년의 학대피해 억제를 위한 정책적 방안 모색. 한국범죄심리연구, 17: 71-93.
  5. 통계용어 및 지표: 활동제약[Activity constraint]. https://kostat.go.kr/understand/info/info_lge/1/detail_lang.action?bmode=detail_lang&pageNo=1&keyWord=14&cd=SL4294&sTt= 2021.09.08.
  6. Lollar, D. J., & Crews, J. E.(2003). Redefining the role of public health in disability.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4(1): 195-208. https://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4.100901.140844
  7. 김범규, 남용현(2014). 장애인의 취업상태 변화에 따른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가구균등화 소득 3 분위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4(3): 67-98.
  8. 송진영(2021).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1(1): 146-159. https://doi.org/10.15709/HSWR.2021.41.1.146
  9. 박준성, 허성호, 정태연(2011).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업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21(1): 167-186.
  10. 고민석(2019). 산재근로자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보건과 복지, 21(1): 27-49.
  11. 염동문, 정정숙(2014).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4): 27-50.
  12. 김성희, 이연희, 오욱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오다은,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2017).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박석돈, 박순미, 이경희(2013). 노인복지론. 양서원.
  14. 이진향(2015).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의 매개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1): 23-32. https://doi.org/10.14367/kjhep.2015.32.1.23
  15. 허성호, 김종대(2011).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31(2): 407-418.
  16. 배숙경, 엄태영, 이은진(2012).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32(4): 5-30. https://doi.org/10.15709/HSWR.2012.32.4.5
  17. 김홍남, 차은진, 김경호(2017).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8(2): 457-480.
  18. 신경옥(2016). 방문요양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308.
  19. 송지영(2019). 만성질환 여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5): 273-280.
  20. 김현옥, 정경화(2007). 농촌 지역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지각된 건강 상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2): 252-265.
  21. 이나래(2020).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341-347.
  22. 김성희(2016).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재활복지, 20(3): 17-43. https://doi.org/10.16884/JRR.2016.20.3.17
  23. 오윤정, 권윤희(2012). 일부 농촌 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농촌의학지역보건, 37(3): 145-155.
  24. 김은하, 이지원(2009). 노인의 거주유형별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장애,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의 비교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1(1): 183-197.
  25. 이현지(2015).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19: 55-73.
  26. 임예직, 김호진, 장수빈, 전영환, 김언아, 최종철, 박승환(2021). 2020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5차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7. 박영실, 이영미, 김인겸(2019). 글로벌 렌즈로 본 한국의 SDGs 데이터와 이행현황. 통계청 통계개발원.
  28. 조윤화, 김태용, 문혜미(2019). 한국 장애출현율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ICF장애개념을 기반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
  29. 2020인구주택총조사 조사항목. https://www.census.go.kr/cds/cdsSurvItmView.do?q_menu=1&q_sub=2 2021.09.08
  30. 고민석(2015). 장애노인의 장애수용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령화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의 비교. 보건과 복지, 17: 21-40.
  31. 남연희, 남지란(2011). 노인의 주관적인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45-162.
  32. 서은철(2014). 장애인근로자의 지각된 사회경제적 지위와 일상생활만족의 종단적 인과모형. 장애와 고용, 24(2): 37-66.
  33. Horowitz, L. G.(1985). The self-care motivation model: Theory and practice in healthy human development. Journal of School Health, 55(2): 57-61. https://doi.org/10.1111/j.1746-1561.1985.tb04079.x
  34. Hulka, B. S., & Wheat, J. R.(1985). Patterns of utilization: The patient perspective. Medical Care, 23(5): 438-460. https://doi.org/10.1097/00005650-198505000-00009
  35. 신경림, 변영순, 강윤희, 옥지원(2008). 재가 노인의 주관적 신체 증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간호과학회, 38(3): 437-444. https://doi.org/10.4040/jkan.2008.38.3.437
  36. 고민석, 서인균(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대한보건연구, 37(1): 1-14. https://doi.org/10.22900/KPHR.2011.37.1.001
  37. 보건복지부(2011).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 보건복지부.
  38. 김권일, 이용식, 성문정, 최승권, 조재훈, 노형규(2010). 장애인 생활체육서비스 전달체계 강화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39. 서은철, 김지태, 김영준(2013). 지체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예측변수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2(4): 577-588.
  40.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1. 여유진, 신재동, 이병재, 우선희, 한겨레, 정다운, 송지은, 홍성운, 오미애, 정은희, 김선(2020). 2020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2. 최형아, 김경희, 박진아, 이선호(2019). 2018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43. 홍정아, 이성대, 염동문(2013). 보청기 사용이 청각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7(1): 67-72.
  44. 장애인활동지원사업 https://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370406&PAGE=6&topTitle= 2021.09.08.
  45. 이슬기. 활동지원 소외된 시각장애인 '불만족'. http://www.ablenews.co.kr/News/Include/NewsContentInc.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210823170832240434 2021.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