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With COVID-19 Era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이경아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과) ;
  • 손희원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22.07.14
  • Accepted : 2022.08.24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is study presented a plan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With COVID-19 era,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life for 107 senior citizens at the Gyeonggi Senior Welfare Center,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can be seen that overall lif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er after Corona than before. Second, in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Corona,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fter Corona. seemed If alternative measure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and manage the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the with Corona era in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in order to reduce the adaptation gap among the elderly due to the many changes in digital technology, institutions related to the elderly are providing education on how to use smartphones and kiosks, but it needs to be expanded as a community-wide measure. Second, a systematic system for health care for the elderly in the era of With Corona must be provided. Third,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and support are required so that the minimum living security is guaranteed for the elderly who are experiencing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corona viru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programs related to talking to the elderly and counseling for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and location satisfaction due to social distance and relationship atrophy due to Corona.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여가생활 현황과 노인의 삶의 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노인복지관 노인 107명을 대상으로 삶이 만족도, 여가생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체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코로나 이전보다 이후에 상대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 상관관계에서는 코로나 이전의 경우 여가활동 정도와 삶의 만족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코로나 이후의 경우 여가활동 정도와 삶의 만족도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대안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지역사회에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노인을 위한 환경 개선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지털에 많은 변화로 노인들의 적응 격차를 줄이기 위해 노인관련 기관에서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사용 방법 등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지역사회 차원의 방안으로 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에 노인건강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갖춰 줘야 한다. 셋째, 코로나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을 위해 최소한의 생활보장이 보장되도록 노후소득보장제도 및 지원이 요구 되어진다. 넷째,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거리 및 관계위축으로 인한 관계 개선 및 위치 만족을 위한 노인들의 말벗과 상담 관련 프로그램 활성화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진, 코로나19 상황에서 취약계층 노인의 심리.정서지원을 위한 노래활용 조사 : 노인맞춤돌봄서비스대상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2. W. Gwozdz and A Sousa-Poza, "Ageing,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st old: An analysis for Germany,"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97, No.3, pp.397-417, 2010. https://doi.org/10.1007/s11205-009-9508-8
  3. 통계청, 2021 고령자 통계, 2022.
  4. 고영채, 유배우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다층분석 : 개인 요인과 지역 요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5. OECD. "Society at a Glance," OECD Publis, 2016.
  6. 김미령,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57권, pp.159-182, 2017.
  7. 탁기주,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8. 김미희, 2022 의미치료 기반으로 한 노인미술치료 사례연구-삶의 만족도와 자아통합감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9. 여소담, 은퇴한 노인의 여가제약과 여가동기가 여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10. J. Dumazedier, "Current Problems of the Sociology of Leisure,"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Vol.12(winter), p.526, 1960.
  11. 김옥태, 정용숭, "청주시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西原大學校湖西文化硏究所, Vol.16, pp.79-92, 2002.
  12. 김재원, 김정석, "기초연금 수급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4년 기초연급 개편의 효과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대회, Vol.2016, No.1, pp.243-244, 2016.
  13. R. J. Havighurst, "The learning proces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and the Nations Health, Vol.51, No.11, pp.1694-1698, 1961. https://doi.org/10.2105/AJPH.51.11.1694
  14. 최인근, 노인의 여가 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5. S. E. so-Ahola,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Iowa, ; william. C. Brown Company publishers, p.164, 1980.
  16. 정종현, 노인의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7. S. E. Iso-Ahola, Jackson ,E. Dunn, "Starting, ceasing, and replacing leisure activities over the life-spa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6, No.3, pp.227-249, 1994. https://doi.org/10.1080/00222216.1994.11969958
  18. 김상욱, 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9. 박미석, "노년기 여가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Vol.40, No.5, pp.133-146, 2002.
  20.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24, pp.127-151, 2004.
  21. 김준, 노인 여가력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근로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깅릉원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2. 김성숙, 농촌지역 노인 미술치료를 통한 자아존중감 형성에 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3. 민경선, "노인의 여가생활 특과 여가자원이 여가생활 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4, No.3, pp.45-57, 2020.
  24. 이순복, 곽종형, "노인복지회관 프로그램 참여가 여가생활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경영연구, 제9권, 제1호, pp.166-188, 2022.
  25. 허준수,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Vol.64, pp.235-263, 2014.
  26.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Vol.53, pp.305-322, 2011.
  27. R. J. Havighurst, B. L. Neugarten, and S. S. Tobin,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The, 1968.
  28. A.Kalish, "Late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Brooks Cole Publishing, Monterey, Calif, 1975.
  29. A. P. Campbell and E. Converse, Rodgers.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81.
  30.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개발에 관한연구," 한국문화연구원 논집, 제49집,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986.
  31.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32. 이정희, 노인의 삶의 만족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3. 김성원, 이은진, 정순둘, "다층모형을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한국노년학, 제36권, 제3호, pp.581-594, 2016.
  34. 한형수,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No.39, 2008.
  35. 박선숙, "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39-57, 2018.
  36.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pp.433-440,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37.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305-332, 2011.
  38. 차용은, "韓國老人福祉를 위한 社會的 서비스에 관한 연구," 全州大學校 pp.51-87, 1989.
  39. 홍순혜, 활동이론에 따른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40. 허준수, 조승호,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 모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pp.673-69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673
  41. 정순둘, 이선희,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3개년도(1994, 2000, 2008)결과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29-1246, 2011.
  42. 임정기,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8권, pp.217-240, 2013.
  43. 허원구,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44. 김문숙, 노인 여가생활과 삶의 만족도 : 제천시 노인을 중심으로, 슥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5. 양성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노년의 삶의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46. 박성현, 한글SPSS, spss아카데미, 2001.
  47. 김대업,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48.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1.
  49. Y. Stephan, J. Caudroit, and A. Chalabaev, "Subjective health and memory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ag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Vol.15, pp.428-437, 2011. https://doi.org/10.1080/13607863.2010.536138
  50. 최해경, 김정은,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pp.467-48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467
  51. 최성재, 장인협, 고령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2. 조주연,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제20권, 제3호, pp.61-76, 2000.
  53. 김태연, 김동배, 김애순, 김미혜, 이영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18권, 제1호, pp.150-169, 1998.
  54. 김진훈, "노인가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pp.339-349,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339
  55. 구철회, "서울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현대사회와 행정, 제25권, 제2호, pp.281-300, 2015.
  56. 임정훈, 이혁준, 이지훈, "장, 노년층의 디지털 정보 격차 영향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9, pp.475-485, 2022. https://doi.org/10.5392/JKCA.2020.20.09.475
  57. 백윤주,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디지털 노인교육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