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도 교수

검색결과 3,207건 처리시간 0.036초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Educational Theory in Mathematics)

  • 김리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지식의 다양한 범주들 중 하나인 수학과 교수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해 현재 교사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 가를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과 교수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수학과 교수 학습 이론과 관련한 27개의 문항을 자체 개발, 317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한 설문지 통계 분석 결과, 수학과 교수 학습 관련 이론에 대한 지식은 교사의 교직 경력 및 초등학교 교사 자격증의 등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별, 학위 여부와는 특별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교사 연수 및 학위 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교수 학습모형 및 탐구사고력 지도를 위한 자료 개발

  • 박종석;오원근;박종욱;정병훈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3-144
    • /
    • 2003
  • 6차 교육과정부터는 과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목표를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탐구 사고력 및 기능 향상도 중요한 목표로서 취급하고 있다(교육부, 1992). 그런데 학생의 탐구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학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Schwab(1961)가 탐구 학습의 단계를 분류하면서 지적한 바 있듯이 탐구는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고정적 탐구보다는 스스로 과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려 하는 유동적 탐구가 더 바람직한 방향이며, 이러한 유형의 탐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창의성의 신장과 함께 과학적탐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탐구의 상황을 학교 실험실만이 아닌 좀 더 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경험과 관련된 쪽으로 안내하는 것도 필요하다. 최근 활발한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 환경의 확대로 인하여 학생들이 이러한 환경에서 교사와 직접 동일한 시간, 동일한 장소에서 대면하지 않고도 의사소통하고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가 사회적으로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원격교육은 교사의 안내에 따른 탐구 교수 형태의 개념 확인 및 검증 실험이 대부분인 전통적 과학학습 방법과 달리 학생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 기능의 향상은 물론 과학적 개념의 획득, 과학, 사회, 기술에 대한 폭넓은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인터넷 환경을 이용하면 학교 실험실 상황을 벗어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 활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른 의사 소통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구 과정기술과 사고력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과학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인터넷 원격교수-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력과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개발, 현장에 적용하여 원격교수학습이 과학적 탐구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물리학습에서의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과 교수자의 기대 비교 (Comparison Engineering Students' Beliefs with Professors' Expectations about the Cognitive Beliefs and the Motivational Beliefs in Learning Physics)

  • 강유진;김지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50-57
    • /
    • 2013
  • 공학 교육에서 물리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물리학습의 수행과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은 물리학습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 비교를 통해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의 5가지 하위 차원 중에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차원은 기대 차원이었다. 교수자들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물리학습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기를 바라는데 비해서, 학생들의 자신감과 기대는 낮은 수준이다. 공과대학 학생에게 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신념적 측면의 정의적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에서의 과제 수행 능력에 대한 신념, 물리학에 대한 목적, 중요성, 흥미 등을 이끌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녹색성장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u-프로젝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U-project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Successful Green Growth)

  • 송연옥;변호승;오원근;류관희;조일수;김종연;이재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7-39
    • /
    • 2012
  • 본 연구는 인문사회과학을 통합하는 간 학문적 실천적 녹색성장 융합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u-프로젝트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 예비교사, 중학생을 대상으로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수준 조사, 녹색성장 10대 정책방향과 중등/사범대학 교육과정 간 연관성 분석, 녹색성장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녹색성장 u-프로젝트 교수 학습의 핵심활동 요소와 절차를 구안한 후 중등학교 상황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교수 학습의 세부 진행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통해 녹색성장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인문사회과학을 통합하는 간 학문적 실천적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준별 동적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학습자 모델링 기법 (A Student Modeling Technique for Developing Student′s Level Oriented Dynamic Tutoring System for Science Class)

  • 김성희;김수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9-67
    • /
    • 2002
  •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학습자의 능력을 고려한 심화·보충형 학습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준별 교육께서 문제점은 개인차가 심한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수업내용과 방법을 일률적으로 제시하기가 곤란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스웨어를 교수·학습에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코스웨어는 모든 학습자에게 똑같은 내용이 제시되어 학습자의 수준에 적응한 교수·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코스웨어가 갖는 단점을 보완한 과학과 수준별 동적 교수·학습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학습자 모델링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교수모듈은 컴포넌트 단위로 제작하여 동적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학습모듈은 ITS의 Overlay와 Bug모델을 혼합한 혼합형 모델을 적용하여 학습자 모델링을 구성하였다. 평가모듈은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석 오류유형을 판단하였다. 이 시스템은 학습자 모델링을 통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교수계획이 재구성되는 다양한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 PDF

효과적인 교수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 강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20-528
    • /
    • 2015
  • 본 연구는 교수과정에서 교사의 어떤 교수행동이 중요하며 또 그 행동에 대한 자신들의 실행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89명의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모의수업을 진행하고 동료들의 모의수업을 서로 관찰하게 한 후, 교수행동특성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진행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자신들의 실행수준도 수업진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수업구성, 언어적 표현의 순으로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몸동작 및 복장과 얼굴표정 및 시선 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개별 특성에서는 교수내용의 숙지, 교사의 열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미소, 얼굴표정, 목소리의 변화 구사 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5개 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특성으로는 자연스러운 언어표현, 시선 처리, 학생들과의 눈맞춤, 수업시간 조절, 주요내용의 부각이 도출되었다.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강신천;김경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57-169
    • /
    • 2003
  • 최근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자료는 많은데 쓸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ICT 활용 교육 활성화 이후 많은 디지털 자료가 개발 보급되어 교수 학습 자료의 양적인 팽창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료가 없어 수업하기가 어려웠던 시절에 비하면 교사들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정점에도 불고하고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문제점을 토로한다. 첫째, 자료는 많은데 쓸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교수 학습 자료의 적합도와 충실도와 관련된 질 관리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다. 둘째, 자료가 너무 많아서 어떤 것이 내가 쓸려고 하는 자료인가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양질의 자료와 그렇지 못한 자료가 혼재한 교수 학습 자료의 보급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교수 학습 자료 질 관리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글은 교수 학습 자료를 잘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쓰여 졌다.

  • PDF

EPL 교육에서 연역적 및 귀납적 교수·학습방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eductive and indu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PL education)

  • 박재연;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75-583
    • /
    • 2018
  • 본 연구는 EPL학습을 문법 교수 학습방법인 연역적 교수 학습방법과 귀납적 교수 학습방법으로 접근했다. 엔트리 사이트에서 초등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강의를 연역적 학습과정으로 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귀납적 학습 과정을 개발하고 각 학습과정을 12차시로 구성했다. 연구를 진행한 후 두 그룹 간 EPL 활용능력평가, 학습 만족도 및 몰입도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세 가지 검사에서 귀납적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한 그룹의 평균값이 모두 높았다. 학습과정을 장기적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실행한다면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태 낼 것으로 생각한다.

상호동료 교수학습 기반의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 83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수술전간호, 개인위생, 수술후간호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수술전간호, 수술후간호의 숙련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의 실습만족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은 난이도 '중' 정도의 핵심간호술의 수행자신감과 숙련도에 효과가 있으며 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다양한 실습교과에 확대 적용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의 난이도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교수 학습 효과 (Databas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applying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 신수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7-55
    • /
    • 2006
  •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 수업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상황학습 이론을 교수 학습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핵심 내용을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기준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교육 내용을 기본 지식 단계와 기능 및 확장지식 단계로 분류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실험, 통제 집단을 선정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교수학습 효과의 기준을 지식 및 기술과 태도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실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교수학습을 전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적용결과는 상황학습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교육을 받은 학습 집단이 DB개념, DB 조작, DB테이블 작성에 대해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었으며 기능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교육을 받은 학습 집단보다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또한, 향후에는 데이터베이스 및 컴퓨터과학 영역에 대하여 상황학습 이외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 분석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