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사용성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25초

캐즘이론과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디지털 교과서 수용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textbook acceptance by application of Chasm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서순식;윤한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3-41
    • /
    • 2011
  • 본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를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 그 구조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사들의 혁신성에 근거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수용 전략을 수립하기위해서 캐즘 이론을 검토하고, 디지털 교과서 등 교수매체 수용의 의사결정을 설명하는 정보기술수용모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캐즘이론과 정보기술수용 모형을 토대로 조사도구를 제작하였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쳐 혁신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사용의도 간의 인과적 관계 검증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SEM)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용의도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디지털 교과서 수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준다. 즉, 디지털 교과서의 일반학교 도입은 보다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인터페이스의 개선과 같은 사용 용이성보다는 디지털교과서의 유용성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PDF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의도 연구: 가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ntion to Use Personal Cloud Services: Focusing on Value Comparison)

  • 민경회;곽찬희;최한별;이희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4
    • /
    • 2020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개인 소비자에게도 그 서비스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 기반 수용 모형에 기반하여 서비스 사용 요인을 편익과 희생관점에서 구분하고, 사용자 집단을 서비스를 사용 중이거나 경험한 적이 있는 사용자와 경험한 적 없는 사용자로 나누어 각 집단 별 지각된 가치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는 사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에서 희생 요인 중 지각된 비용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편익의 지각에서는 집단 별 차이를 보였다. 경험자의 지각된 가치에는 편익 요소 중 지각된 유용성, 편재성, 네트워크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비경험자는 편재성이 유효하지 않았다. 또한 경험자에게는 유용성이, 비경험자에게는 네트워크 효과가 가장 유의한 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자의 사용 의도를 편익과 희생 관점으로 검정하고 이전 사용 경험의 역할에 대해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SNS사용에 대한 중국 사용자 저항에 관한 연구: 런런왕(人人网)을 중심으로 (Study on Chinese User Resistance of SNS : Focus on Renren Wang)

  • ;이상준;이경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3-191
    • /
    • 2014
  • SNS는 웹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프로필을 창출하고 다른 사람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서비스이다. 지금까지의 대다수 연구들은 SNS의 이용자들이나 그 영향에 관련된 연구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SNS 비이용자도 많으며, SNS이용자라고 해도 모두 SNS를 즐기고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SNS사용에 대해 사용자들이 느끼는 혁신에 대한 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시간부족에 대한 지각, SNS에 대한 인지도, 자기효능감, 적합성, SNS에 대한 정보품질, 주관적 규범 및 프라이버시 우려를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유용성의 영향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요인이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유용성이 다시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국내 학생과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SNS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와 SNS 사용에 대한 저항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한국과 미국 고령자의 복지기술 사용의도 차이 연구: 기술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the Intention to Use of Welfare-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between Korea and the U.S.: Focus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김정근;강석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21-4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별 차이가 고령층의 복지기술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과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과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총 334명(한국 154명, 미국 180명)을 대상으로 복지기술에 대한 지각된 편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태도, 사용의도의 직접 및 간접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고령층은 '지각된 유용성'이 '사용태도'에 미치는 영향(0.74, p<0.001)이, 미국 고령층은 '지각된 편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0.75, p<0.001)이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두 국가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장기적 지향성(Long-term Orientation)에 대한 두 국가 간 문화적 차이가 고령자 기술사용의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간 고령자의 복지기술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활용방안의 차이와 정책적 함의들을 제시하였다.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사용자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Users Acceptance of Technology-Based Self-Service)

  • 민병권;박정용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04-230
    • /
    • 2010
  • 오늘날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빠른 성장은 서비스 전달방식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론 및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BSS 수용여부와 관련하여 기술수용모델(TAM) 및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품질평가 모델을 토대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의 용이성, 즐거움 및 개인특성 변수로 제시된 자기감시성은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사용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사용에 대한 태도 역시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혁신수용특성에 대한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 수용의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Characteristics for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 서현석;박소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51-67
    • /
    • 2011
  • 본 연구는 혁신 제품특성, 환경 특성, 그리고 개인 특성을 소비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두고,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상대적 이점과 더 좋은 제품에 대한 기대, 사회적 영향 및 매스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신기술에 대한 태도 등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각된 용이성보다 유용성이 긍정적인 제품태도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사용자 들은 제품의 사용편이성 보다는 사용하기에 복잡하더라도 복합적인 기능들의 사용가능성에 더 큰 가치를 두고 있었다.

해외직구의 기술수용이 사용의도 및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y Acceptance of Overseas Direct Purchase on Behavioral Intention and Perceived Availability)

  • 유준수;장은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01-114
    • /
    • 2021
  • 본 논문은 해외직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하여 해외직구의 기술수용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소비자가 들이는 노력기대 정도 및 해외직구를 이용함으로써 얻게 될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가격효용성 정도가 향후 해외직구 사용의도 및 해외직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각된 유용성 정도에 미치는 유의성 유무에 대해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향후 해외직구 사용의도와 관련하여서는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가격효용성이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외직구를 이용함에 있어서 지각된 유용성 정도와 관련하여서는 노력기대, 가격효용성이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 정도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해외직구 시장의 확대를 위한 방법으로 간이통관, 무관세 범위의 조정 및 배송정보 분석을 통한 분산반입 그리고 탈세행위의 차단, 첨단장비를 활용한 신속한 검사 등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터랙션으로 인한 세렌디피티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rendipity caused by Interaction towards User Experience in Mobile Application)

  • 조인성;서지희;이민주;허소임;이윤지;이효선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59-74
    • /
    • 2015
  •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의외성을 제공할 때 사용자는 만족을 넘어 감동할 수 있으며, 최근 몇몇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서비스는 이러한 의외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의외성 자체는 오히려 사용 용이성을 떨어뜨리는 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음에도,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관련 연구들은 주로 사용성 중심의 만족을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외성으로 인한 사용자 경험의 변화를 세렌디피티(뜻밖의 발견으로부터 유발되는 예상치 못한 즐거움) 개념을 이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UX 분야에서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로부터 유발되는 요인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했다. 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랙션을 통해 유발시킨 의외성과 동시에 게임 요소를 제공한 세렌디피티, 지각된 신규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그리고 만족 등의 요인들 간 관계를 살펴봤다. 그 결과 세렌디피티가 지각된 신규성에 정(+)의, 사용 용이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신규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세 가지 요인 모두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관찰됐다.

공손한 에이전트는 언제나 좋은가? : 사용자와 에이전트의 관계에서 친밀성과 공손전략의 효과 (Are polite agents always good? : Effects of closeness and politeness strategies in user-agent relationship)

  • 박주연;박주학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12-619
    • /
    • 2007
  • 컴퓨터의 공손성은 사용자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와 에이전트의 상호작용에서 에이전트의 언어적 메시지에 사용된 공손전략과 에이전트에 대한 지각된 친밀성이 이 에이전트 평가, 사용자 경험, 메시지의 지각된 공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은 2(지각된 친밀성)${\times}2$ (적극적 공손 전략)${\times}2$ (소극적 공손 전략) 완전요인 설계로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사용자들은 에이전트가 적극적, 소극적 체면을 존중해 주는 공손 전략을 사용하였을 경우 에이전트를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경험하였으며, 메시지가 공손하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에이전트에 대한 지각된 친밀성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친밀한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하였을 경우 적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메시지의 부정적 효과가 완화되었으며 소극적 체면을 존중하는 간접적인 화법의 메시지보다 직접적으로 요구를 전달하는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메시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는 에이전트 메시지에 공손전략을 부여하는 것이 에이전트에 대한 호의적 평가와 긍정적 사용자 경험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와 에이전트의 관계 발달 정도에 따라 에이전트 메시지에 사용된 공손 전략의 설계가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스마트폰 이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Smartphone)

  • 황운초;장석주;조완섭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4호
    • /
    • pp.59-74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열풍과 더불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이용동기에 대한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모바일 및 스마트폰에 관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Davis의 기술수용모형을 변형하여 유희성,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편리성 등 변수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사용의도와 관련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적 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유희성과 사회적 영향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편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각된 편리성은 지각된 유용성 및 사용의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PLS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관하여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사용과 관련한 탐색적 연구로써 이후 상관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