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식활성(增殖活性)

검색결과 1,309건 처리시간 0.034초

소목(Caesalpinia sappan L.)에서 분리한 Brazilin의 항산화 활성과 구강상피암 KB 세포주의 증식억제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n Oral Carcinoma KB Cell of the Brazilin from Caesalpinia sappan L.)

  • 전미애;권현정;김용현;한국일;정하나;정성균;방인석;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65-372
    • /
    • 2010
  • 본 연구는 brazilin의 항산화 효과 및 구강암세포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활성산소 소거능력을 측정하고, KB cell에 brazilin을 처리하여 세포 성장억제 등을 측정하였다. 시행된 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razilin은 소목의 다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최저 농도에서도 9%의 전자공여능 소거효과를 보이고 최고농도에서 90%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리놀레산 자동 산화 방지 효과를 측정한 결과 26%에서 66%까지 억제하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 측정 결과 1 mg/ml에서 86%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고, 0.001 mg/ml에서도 5%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2. Brazilin은 KB cell의 성장을 1시간 처리했을 경우 최저 5%에서 최대 23%까지 억제하였으며, 24시간 처리했을 경우 5%에서 최대 64%까지 억제하였고, 48시간 처리 후에는 최소 3%, 최대 79%까지 억제하였다. 3. KB cell에 LPS 처리 시 NO를 $250\;{\mu}M$ 이상 생성시켰으며, 세포증식률을 231% 증가시켰고, LPS를 처리한 KB cell에 brazilin을 처리한 결과 세포의 증식률을 -7%에서 78%까지 감소시켰다. 또한 KB cell에 $H_2O_2$를 처리한 결과 세포증식률이 감소되었으며, brazilin을 첨가하였을 때 $H_2O_2$에 대한 소거작용으로 인해 생존 억제율이 72%에서 58%로 감소하였다.

7종 갈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Seven Brown Algae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최형주;길정하;박순선;공창숙;박건영;서영완;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080-10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 생리활성물질을 검색하여 발암물질 생성 방지 및 생체 방어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Ames test를 이용하여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간접돌연변이원인 $AFB_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FB_1$에 대해서 괭생이모자반(S. horneri)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 중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첨가농도 1.25mg/plate일 때, 괭생이모자반의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각각 96%, 91%로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의 추출물들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양성 대조군인 다시마의 용매 추출물보다도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AFB_1$과 같은 농도인 0.6mg/plate의 농도의 MNNG를 사용하여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해조류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간접 돌연변이원인 $AFB_1$에 비해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다소 항돌연변이 효과가 떨어지지만, 여기서도 실험에 사용된 해조류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가 m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효과가 뛰어난 괭생이모자반과 짝잎모자반을 중심으로 인체 암세포(위암세포, AGS 및 결장암 세포, HT-29) 증식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용매 추출물을 0.5%, 1% 및 2%의 농도별로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둘 다 가장 낮은 농도인 0.5%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7종의 갈조류 추출물들은 Ames test에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괭생이모자반 및 짝잎모자반은 인체 암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Choriocarcinoma 세포주 BeWo 세포에서 nitric oxide에 의한 phospholipase Cγ 의 활성 (Activation of Phospholipase Cγ by Nitric Oxide in Choriocarcinoma Cell Line, BeWo Cells)

  • 차문석;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49-855
    • /
    • 2003
  • NO는 태반의 영양모세포의 증식에서 중요한 신호전달인자로서 작용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choriocarcinoma 세포주인 BeWo 세포에서 NO에 의한 세포의 증식에서PLC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세포 내 NO 생성을 자연적으로 유발하는 약물인 SNP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BeWo 세포에서 $[^3H]$thymidine의 축적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NO가 BeWo 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NO에 의한 BeWo 세포의 증식은 PLC의 억제제인 U73122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BeWo 세포에 SNP를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ERK1/2의 인산화가 증가되는 것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이들 인산화는 U73122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PLC\gamma_1$$PLC\gamma_2$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한 면역침전을 시행한 후 phosphotyrosine에 대한 항체인 PY로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였을 때 PLC${\gamma}$$_1$은 SNP에 의하여 tyrosine 잔기의 인산화가 이루어졌으나 $PLC\gamma_2$는 인산화가 되지 않았다. SNP에 의한 $PLC\gamma_1$의 인산화는 genistein이나 PD98059를 전 처리하였을 때 억제되었다. 따라서, NO에 의한$PLC\gamma_1$의 tyrosine 인산화는 ERK의 활성을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BeWo세포에서 NO는 세포증식을 촉진하며 ERK와 $PLC\gamma_1$의 활성화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인체 방광암 T24 세포에서 감초(Glycyrrhizae radix) 열수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Water Extract of Glycyrrhizae radix in Human Bladder T24 Cancer Cells)

  • 이기원;김정일;이승영;최경민;오영택;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5-2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감초 열수추출물(GRW)의 항암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방광암 T24 세포에서 생존율 및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 여부 및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GRW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GRW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 및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 핵의 형태 변화, DNA 단편화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역시 GRW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GRW의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적 변형이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여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GRW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apoptosis와 연관성을 가지는 Bcl-2 family에 속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GRW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Bax 단백질의 발현증가와 더불어 Bcl-2 및 Bcl-xL 단백질의 발현감소가 관찰되었다(Fig. 3A). 이는 GRW에 의한 T24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Bcl-2 family에 속하는 유전자의 발현 조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GRW의 처리에 따른 MMP의 소실은 미트콘드리아 막의 교란이 유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MMP 값의 변동은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 변화에 의한 것이라 추정된다. 한편 Apoptosis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3/-8/-9)의 발현과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IAP family (XIAP, cIAP-1, cIAP-2)의 발현에 GRW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caspase-3, -8 및 -9의 활성형 단백질 발현 및 정량적 활성증가를 확인하였으며, IAP family 속한 3가지 단백질 모두 발현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RW은 외인적 및 내인적 경로의 개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aspase-8 및 -9의 활성을 모두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른 caspase-3의 활성증가에 의하여 apoptosis가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두 경로의 동시 활성화에는 미트콘드리아의 기능 소실과 Bcl-2 및 IAP family의 발현 변화가 관여하고 있었으며, 특히 Bid의 발현 감소는 GRW에 의한 내인적 경로를 증폭시키는 효과로 작용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방광암의 치료에 보다 효과적인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을 발굴하고 그와 관련된 분자 및 세포수준에서의 기전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기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GRW로 수행될 추가 실험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질형성세포 유래 엑소좀이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eratinocyte Derived Exosome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n Human Skin Keratinocyte)

  • 김도윤;유호진;황대일;장상희;이환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9-366
    • /
    • 2016
  • 엑소좀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작은 소낭체로서, 기원세포와 조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세포생존 및 세포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엑소좀을 활용하여 종양연구, 면역질환 개선, 질병진단 bio-marker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피부세포에서 분비기전 및 피부 생리적 기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체피부 유래 각질형성세포(HaCaT)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이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aCaT으로부터 ExoQuick-TC를 활용하여 엑소좀을 분리하고, 열처리 엑소좀(boiled exosome)과 무처리 엑소좀(unboiled exosome)으로 구분하였다. HaCaT 유래 엑소좀은 농도 의존적으로($0.1{\sim}20{\mu}g/mL$) HaCaT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20{\mu}g/mL$에서 대조군(control)에 비해 각각 $186.96{\pm}3.87%$(열처리) 또는 $193.48{\pm}10.48%$(무처리)의 증식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HaCaT 유래 무처리 엑소좀은 농도 의존적인($0.1{\sim}20{\mu}g/mL$) HaCaT의 이주활성을 나타내었고, $20{\mu}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179.39{\pm}4.89%$의 이주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열처리 엑소좀은 이주 유도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무처리 HaCaT 유래 엑소좀은 collagen sprout outgrowth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HaCaT 유래 엑소좀은 지질 및 열에 안정한 물질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단백질 또는 열에 불안정한 물질이 세포의 이동 및 sprout out growth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부각질형성세포 유래 엑소좀은 피부의 재상피화 및 상처치유 등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향후 화장품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오미자 물추출물의 세균증식 억제효과 (Growth Inhibition of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ullion on the Bacteria)

  • 지원대;정민선;정현채;최웅규;정원환;권대준;김성영;정영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9-95
    • /
    • 2001
  • 한약재 중에서 항균성 물질을 찾고자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실험균의 생육에 대한 항생제와 보존료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각종 한약재 물추출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오미자 물추출물은 모든 실험균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생장 저해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별 항세균능을 살펴본 결과, 0.2%이상 첨가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Escherichia coli W3110과 Enterobactey cloacae MG82 및 Salmonella typhimurium의 증식을 크게 억제할 수 있었다.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있어서 Escherichia coli W3110의 평균 비증식 생장속도는 0.514 (hr ̄)이었고, Enterobacter cloacae MG82는 0.381(hr ̄)이었고, Salmonella typhimurium은 0.489(hr ̄)이었다. 오미자 추출물을 0.2% 첨가할 경우 Escherichia coli W3110과 Enterobacter cloacae MG82 및 Salmonella typhimurium의 평균 비증식 생장속도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1.26배, 2.23배, 1.50배 감소하였으며, 최소 저해 농도는 0.25%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Enterobacter cloacae MG82에 대해 가장 큰 증식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휘발성 Allyl Isothiocyanate계 화합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Effects of Allyl Isothiocyanates on Several Microorganisms)

  • 안은숙;김지혜;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06-211
    • /
    • 1999
  • 천연에서 발견되는 휘발성 물질인 isothiocyanate계(ITCs) 물질을 대상으로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 fluorescens, Escherichia coli, Erwinia carotovora, Sacch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oryzae and Penicillium roqueforti 등 9종의 균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초산과 혼합하여 사용할 때 상승효과를 비교하였다. Allyl isothiocyanate (AIT), benzyl isothiocyanate (BIT) 및 ethyl isothiocyanate (EIT)가 대상 균주 모두에 $100{\sim}200\;{\mu}g/dish$ 수준의 최소증식저해농도(MIC)를 보였고 증식 저해 정도는 곰팡이>효모>Gram 음성 세균>Gram 양성 세균 순 이었다. 초산은 $50{\sim}500\;{\mu}g/dish$로 ITCs 보다 MIC가 낮았다. ITCs와 초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실험 대상 균주에 대하여 증식 저해 상승효과가 인정되었고 AIT의 경우 AIT 단독 또는 초산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2{\sim}10$배 이상 효과가 상승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증식 억제 경향은 ITCs 단독 사용할 때와 같은 경향이었다.

  • PDF

구기자 부위별 추출물이 흰쥐 비장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Lycium chinense Mill. on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 박종상;박종대;이봉춘;최강주;라상욱;장기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91-296
    • /
    • 2000
  • 구기자나무의 부위별 물추출물이 LPS (lipopolysaccharide) 및 Con A (concanavalin A)에 의한 마우스의 비장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부위별 면역 활성중 과실에서 의 No mil 처리구에서는 $0.1mg/ml{\sim}0.5mg/ml$ 농도에서, LPS 처리구에서는 $0.01mg/ml{\sim}0.1mg/ml$의 농도에서 B-cell (체액성 면역)의 분열증식을 촉진시켰다. 잎과 뿌리는 LPS 처리구에서 0.1mg/ml 까지 비장세포의 분열증식을 촉진시켰으며 Con A 처리구에서는 T-cell (세포성 면역)의 증식효과가 없었다.

  • PDF

담체에 고정화된 균사체 증식을 이용한 페니실린의 발효 (Penicillin Fermentation using a Carrier-supported Mycelial Growth)

  • Park, Sang K.;Kim, Jung H.;Park, Young 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3-278
    • /
    • 1985
  • 새로운 페니실린 발효방법으로서, Penicillin chrysogenum의 포자를 담체의 미세구멍 조직에 흡착시킨 후 배양하여 얻은 균사증식담체를 이용하여 페니실린 발효를 시도하였다. 고정화 담체로써는 Celite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이때 균사는 담체의 내부에서부터 포자가 발아하여 담체의 표면에서 증식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biofilm growth를 얻을 수 있었다. 프라스크 배양에서 담체의 양을 5-10% 첨가하였을 때 세포의 증식과 페니실린의 생산이 전통적인 dispersed filamentous growth 에 의한 발효방법보다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세포의 활성은 1900 unit/mg-cellㆍhr로 일정하였다. 균사증식 담체를 이용하여 유동층 발효조에서 반연속식으로 발효를 진행시킨 결과 페니실린의 연속생산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발효조내에서 biofilm growth시 film두께의 조절과 페니실린 생산성을 일정수준으로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오미자 열수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Effects on Hot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Colon Cancer)

  • 유민주;정하숙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1호
    • /
    • pp.64-69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대장암 세포 HT-29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대장암 세포 HT-29의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MTT assay를 통해 인체 대장암세포 HT-29는 오미자 시료농도 0, 1.0, 2.0, 4.0 mg/mL에서 암세포 사멸농도가 각각 0%, 10%, 70%, 88%를 나타내었다. 대장암세포에 오미자 추출물을 처리하고 cell cycle 분석 결과, 시료농도 의존적으로 sub-G1기가 증가하였고, G0/G1기는 감소되는 것을 통해, apoptosis가 일어나 세포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장암세포 핵의 형태학적 변화를 보면, 오미자 추출물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수가 감소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고 cell shrinking, chromatin condensation등 apototic body 등과 같은 형태학적 변화들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RT- 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은, 오미자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p53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통해 대장암세포의 증식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tro 실험에서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본체 규명 및 apoptosis를 유도하는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가 수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