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독

검색결과 2,427건 처리시간 0.026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Level by Demographic Features)

  • 이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8
    • /
    • 2014
  •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각 요인별 중독군의 분포 차이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기능의 분포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과 성적에 따라 가장 큰 중독 사용자군의 분포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사용기능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독 사용자군별 사용기능의 분포 차이도 유의하다고 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로짓회귀분석과 결정트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는데, 학년, 성적, 부모의 맞벌이 여부, 거주지역 순으로 영향이 컸다.

  • PDF

KIAS :한국형 인터넷 중독 척도와 이를 이용한 국내 실태 조사 (KIAS: the Korean Internet Addictions Scale and a Survey on the Internet Addictions in Korea)

  • 박경호;강만철;오익수;김건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C호
    • /
    • pp.292-304
    • /
    • 2001
  •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구축은 원활한 정보 교환과 이를 통한 정보화 사회 구축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올 수 있지만, 컴퓨터,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새로운 정신 질환인 \`사이버 중독, \`인터넷 중독\`의 등장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도 야기시켰다. 이러한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고, 예방책을 강구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인터넷 중독을 판정하기 위한 정확한 척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한국형 인터넷 중독 판정도구인 KIAS(Korean Internet Addictions Scale)를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전국적인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조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중독 비율은 4.8%로 나타났고, 일반 성인은 1.6%, 초등학생의 중독 비율은 4.1%, 중고등학생의 비율은 6.6%, 대학생의 중독 비율은 6.6%로 나타났다.

  • PDF

중독적 구매행동과 정서와의 관계연구 (Addictive Buying Behavior: Exploring Its Relations to Affect)

  • 박광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중독적 구매행동과 정서(Affect)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 중독적 구매자의 경우 기분전환(mood elevator)을 위하여 구매행동을 하는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자료는 설무지조사에 의하여 149명의 피험자(대학생, 시카고 거주자, Debtors Anonymous회원) 로부터 얻어졌다. 중독적 구매행동의 우울증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야기시킬가능성이 역방향으로 우울증과 낮은 자아존중감이 중독적 구매행동을 야기시킬가능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적 구매자는 비중독적 구매자보다 자신에 대하여 부정적 감정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불행한 우울한 불만족한 지루한) 쇼핑하는 동안에는 더 흥분되며 우울하고 쇼핑후에는 더 우울하고 자신감이 더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독적 구매자가 기분전환을 위하여 구매행동을 할것이라는 가정을 지지하지 않았다.

  • PDF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mart Phone Addiction Model for Adolescent)

  • 이종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33-44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심화시키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4년 자료를 가지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의 요인으로 스마트폰 중독 모형을 구성하고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임상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初等學生)의 인터넷 게임중독(中毒)과 자아통제(自我統制), 충동성(衝動性)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elf Control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우정례;홍지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황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51-754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올바른 인터넷 사용 문화를 장려하고, 과도한 인터넷 사용 방지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11월 9일에서 11월 30일까지 익산시내 3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5, 6학년 학생 9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대상자의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정상' 483명(54.3%), '중독초기' 363명(40.8%), '중독중증' 43명(4.8%)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이용장소(p<0.05),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점수가 낮으며, 자아통제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충동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는 충동성 점수가 낮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음을 의미한다(p<0.01). 자아통제와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으며, 자아통제가 높을수록 충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서로 반대 개념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성별(p<0.01), 학교성적(p<0.01),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 자아통제(p<0.01), 충동성(p<0.01)이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주요활동이 비학습관련인 경우, 평일 이용시간이 1시간이상 이용할수록, 주말 이용시간이 2시간이상 많이 이용할수록,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낮게, 충동성 정도는 높게 나타나고,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높게, 충동성 정도는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상반된 개념으로 자아통제 정도가 높을수록 충동성은 낮아지고 자아통제 정도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 PDF

성인 인터넷 중독위험군의 MMPI-2 프로파일 연구 (Study on MMPI-2 Profile of Adults with Internet Addiction)

  • 서보경;이승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88-9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MMPI-2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위험군의 임상적 성격특성을 조사하고, MMPI-2 검사가 인터넷 중독위험군에 대한 진단, 평가 및 개입에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MMPI-2 척도에서 중독위험군과 일반사용자군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보충척도 중에 물질관련 척도인 MAC-R, AAP, AAS 척도가 인터넷 중독위험군과 일반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터넷중독 전문상담기관을 방문한 인터넷중독위험군 39명과 일반사용자군 21명의 MMPI-2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임상척도에서 D, Pa, Pt, Sc, Si 척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인터넷중독위험군에서 D, Pt, Si 척도가 높은 상승을 보여, 우울, 강박, 내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보충척도 MAC-R, AAS, APS 척도에서는 인터넷중독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보충척도로는 인터넷 중독위험군을 선별해 낼 수 없으며, 인터넷중독 진단을 위한 새로운 척도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 박영주;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3-51
    • /
    • 2015
  • 목적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성인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scale),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관계,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특성 중 등록저하와 감각예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찾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찾기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융복합 시대에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중독이 사용자들의 건강과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MS Addiction on User's Health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n Era of Convergence)

  • 김병수;강민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31-139
    • /
    • 2016
  • 최근 서비스 경영이나 경영 정보 연구에서 서비스 중독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서비스 중독은 사용자들의 건강과 업무 성과 저하 등 여러 부정적 결과들을 발생시킨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MMS) 중독이 사용자들의 건강 문제와 학업 성과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MMS 중독의 선행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과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였다. 카카오톡을 자주 사용하는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PLS을 활용하였다. MMS 중독은 건강 문제와 학업 성과 문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 존중감과 자기 통제력은 MMS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집중은 MMS 중독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사회적 관계 형성과 인지된 즐거움은 MMS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MMS 제공업체들이나 정부는 사용자들의 MMS 중독 메커니즘 이해를 통해 중독 예방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과학 중독연구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 2019년도 KCI 등재 논문을 기반으로 (Network Analysis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ddiction Research in Social Sciences: Based on the KCI Articles Published in 2019)

  • 이세림;전종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1-37
    • /
    • 2021
  •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중독 분야의 국내 최신 연구 경향을 반영하는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했다. KCI 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시작일 기준 최신 1년인 2019년에 발간된 중독 주제의 논문 총 172건을 수집하여 총 432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후 Bibexcel, COOC, WNET, NodeXL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중독 유형,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변수 관련 키워드가 나타났으며 20개 군집을 파악했다. 또한 세부적으로 전역중심, 지역, 매개 중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각 키워드 간 관계를 살펴보고 논의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을 중심으로 하는 최신 이슈를 분석하고, 향후 보완되어야 할 관계 중독, 음식 중독, 일 중독 주제영역의 연구와 실천에 대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했다. 그리고 마약 중독의 범죄와의 관련성, 알코올 중독에서의 가족의 관련성, 도박 중독에서의 동기의 관련성 및 질적연구의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생 아동들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경빈;이무식;나백주;홍지영;황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205-1208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터넷 사용에 대한 교육적 지도방안과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7월 1일에서 7월 24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동지역 4개교, 읍지역 2개교)를 무작위 추출하여 5, 6학년 학생 총 11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인터넷 중독 정도는 고위험군 55명(5.5%), 잠재적위험군 49명 (4.9%), 정상군 900명(89.6%)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형제자매 유무, 학교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는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 하루 인터넷 사용 시간, 부모컴퓨터 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넷째,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부적응인 경우는 '고위험군' 32명(58.2%), '잠재적위험군' 24명(50.0%), '정상군' 257명 (28.7%)으로 고위험군과 잠재적위험군이 정상군보다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다섯째,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학교생활 적응 정도, 성별,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이용용도, 인터넷 이용 상황, 어머니 직장 유무, 거주 지역, 부모 컴퓨터 사용여부, 최초 인터넷 이용시기이었다.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을 때, 남학생,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이 3시간 이상, 인터넷 이용 용도가 '게임',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어머니 직장이 있는 경우, 거주 지역이 동지역, 부모님이 컴퓨터를 사용할 줄 모르는 경우,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가 취학 전인 경우가 인터넷 중독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인터넷 중독 점수, 학교성적, 가정경제수준, 거주지역, 인터넷 이용용도, 학년이었다. 인터넷 중독 점수가 낮을수록,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가정경제수준이 잘 살수록, 거주지역이 동지역, 인터넷 이용용도가 '정보검색, 홈페이지관리/메신저', 5학년인 경우에 학교생활 적응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인터넷 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들은 하루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생활 적응은 아동들이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인터넷사용률 증가와 최초 인터넷 이용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에 따라 인터넷 중독률이 자연스럽게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가 연계하여 아동들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며, 인터넷 중독경향이 높은 아동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인터넷 중독 치료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