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당(中堂)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2초

흥해배씨 종가 금역당(琴易堂)의 건축과 조선후기의 구조 변화 -건축이념 및 실용성과 관련하여- (Construction of Geum'yeok-dang, the Heung'hae Bae Clan House, and its Structural Chang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On the Architectural Ideology and Issue of Practicality-)

  • 이종서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31-44
    • /
    • 2016
  • Geum'yeok-dang house in Andong was originally constructed in 1558. The original floor plan of the upper base featured a 90-degree tilted '日' shape, and had inner court(內庭) on each side of 'Jungdang(中堂, center hall)' building that was placed on the south-north axis. When designing the building, the Neo-Confucian client of Geum'yeok-dang applied his understanding of how Ga'rye("家禮") defined the structure of ritual space. Consequently, 'Daecheong(大廳)', the place where guests were greeted and ancestral rites and coming of age ceremonies for male were held, was built in a protruding fashion. 'Jungdang'[otherwise known as 'Jeongchim(正寢)'], where coming of age ceremonies for females were held, the master of the house faced death, and memorials for close ancestors were held,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esidence on the south-north axis. The Geum'yeok-dang today was greatly renovated in the early and mid 18th century, due to the spread of 'Ondol' heating system. As the Ondol heating system became popular, the pre-existing drawbacks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house stood out clearly. As a result, the house was renovated into today's structure consisting of '口' shape 'Anchae' and 'Daecheongchae' in separate building.

노동(盧仝)의 <칠완다가(七椀茶歌)> 연구

  • 서연주
    • 중국학논총
    • /
    • 제65호
    • /
    • pp.117-145
    • /
    • 2020
  •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a comprehensive research of Lu tong(盧仝)'s . First of all,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tea culture and literary trend of 'tea-poetry[茶詩]' writing that prospered at the time as a background for to be created.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Lu tong and Han-meng poet's school[韓孟詩派] was discussed to establish the background of the 'Lu tong style(盧仝體)'. And the format and content of we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u tong styl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examined why was able to gain the reputation of being " the best poetry in the world for tea ". In addition, was later being 'diangu(典故)', affecting not only China but also Korean poems. This paper also figured out that Su shi(蘇軾) in China, Li se(李穡) in Goryeo, and Xu Juzheng(徐居正) in Joseon used diangu of most frequently.

노화과정에 따른 흰쥐의 DNA손상과 항산화능의 변화 (Age-related Changes of DNA Damage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 노경아;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79-29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는 DNA 손상정도 및 항산화능의 변화를 알고자 생후 4, 8, 12, 16, 20, 24개월 된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의 신장조직의 80HdG 농도, 혈장과 간의 과산화지질 농도, 적혈구와 간내 항산화계 효소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흰쥐의 체중과 단위체중당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가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20개월과 24개월에서 약간 감소하였고, 단위체중당 간과 신장, 비장의 무게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신장 조직내 DNA 손상의 지표인 80HdG의 농도는 4∼16개월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0, 24개월에서 큰 폭으로 증가되어 가령에 따른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혈장과 간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량은 4개월에서 가장 낮았다가 가령에 따라 증가하여 24개월에서 최고치를 보이는데, 혈장의 지질 과산화물 농도는 12∼16개월 사이에, 간의 경우는 16∼20개월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적혈구 SOD 효소 활성은 4개월에서 가장 낮았고 24개월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가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적혈구 catalase 활성은 4개월부터 16개월까지는 증가하다가 20, 24개월에서 저하되었으며, 반면 GSH-Px는 가령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간의 SOD 활성은 적혈구 SOD 활성과 달리 가령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16∼20개월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간의 catalase, GSH-Px 활성은 가령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호흡대사장치를 이용한 산란계의 기초대사, 유특 및 생산시 에너지대사 측정시험 (Calorimetric Studies on Energy Metabolism by the Laying White Leghorn Hen)

  • 이영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1986
  • 닭의 산란기를 I기(25-40 주령), II기(41-55주령), III기(56-69주령)의 3기로 구분하고 각 산란기에서의 에너지대사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란계의 절식시 열생산량(FHP)은 대사체중당 산란 I기 81.5Kcal, IIrl 76.1Kcal, IIIrl 97.5Kcal였다. 즉 FHP는 산란기에 의하여 변화하고 특히 III기의 FHP가 높게 나타났다. 이 현상은 III기에 공시계의 우모가 손상 또는 탈락하여 열손실을 크게 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2. 호흡시험에 있어서 사료 ME섭취량과 에너지 축적량(ER)과의 회귀식에서 구한 유지를 위한 ME 요구량(MEm)은 산란I, II, III기에 있어서 각각 대사체중당 123Kcal, 111Kcal, 131Kcal 였으며, 전기간 평균 119Kcal였다. 또 생산을 위한 ME의 정미이용효율(NAME)을 산란I기 76%, II기 79%, III기 74%, 전 기간 평균에선 79%였다. 즉 산란 III기는 I기 또는 II기에 비하하여 MEm가 높고 NAME가 낮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 PDF

한우 수소의 건물섭취량 추정 (Prediction of Dry Matter Intake of Hanwoo Bulls)

  • 이상철;문여황;이현정;오영균;김경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41-350
    • /
    • 2002
  • 본 시험은 한우수소 24두를 이용하여 성장단계별 증체량 및 건물 섭취량을 측정하고, 그에 대한 추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조사료 3종류(볏짚, 건초, 옥수수사일리지)와 조사료 급여비율 4수준(100, 60, 40 및 20%)의 3${\times}$4요인시험으로서 공시축은 incomplete turnover design에 의해 처리당 4두씩 배치되었다. 조사료의 종류 및 급여비율에 따른 한우수소의 일일 증체량은 옥수수사일리지 급여구 및 조사료 20% 급여구에서 각각 가장 많았다. 한우수소에게 건초 혹은 옥수수사일리지만 전량 급여하였을 경우에도 전 기간동안 증체가 지속되었지만, 볏짚구에서는 체중 350kg대 이후부터 체중이 감소하였다.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은 체중이 증가할 수록 줄어들었으며, 조사료 공급원과 조사료 급여비율에 따른 건물 섭취량은 옥수수사일리지 및 조사료 20%구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 대사체중당($BWkg^{0.75}$) 건물 섭취량(DMI, kg/ day)에 따른 한우수소의 일일 증체량(DG, kg) 추정공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되었다. DG = -0.842 + 17.5DMI/$BWkg^{0.75}$체중(BW, kg)과 일일 증체량(DG, kg)을 고려한 사료의 NDF 함량(NDF, %)과 건물 섭취량(DMI, kg/day)과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되었다 DMI = 4.125 + 0.013BW + 1.075DG - 0.045NDF

염류축적 토양에서 몇 가지 채소의 토양 염류 제염 효과 (Desalinized Effect of Some Vegetable Crops in Salinized Soil)

  • 김일섭;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6-399
    • /
    • 2006
  • 본 연구는 몇 가지 채소(비트, 쑥갓, 상추, 케일, 무, 시금치, 단옥수수, 토마토)의 제염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위적으로 처리한 염류 집적 토양에서 재배후 작물 생육과 토양내 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채소작물별 초장으로 본 생육은 EC $5dS{\cdot}m^{-1}$의 염류토양에서 상추와 쑥갓의 생육이 가장 크게 억제되었다. EC $5dS{\cdot}m^{-1}$수준의 염류토양에서 EC 잔존율은 토마토, 옥수수, 케일 순으로 낮았으며 비료 성분별 제염효과는 $NO_3의 경우는 옥수수, 토마토, 케일, K는 옥수수, 토마토, 비트, $P_2O_5$는 옥수수와 토마토가 가장 우수하였다. 제염효과는 재배기간이 60일이었던 토마토, 옥수수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염류토양 재배시 수확물의 상품성 저하와 재배시기 주작물 재배시기와 겹치는 문제가 있고, 생체중당 제염효과는 낮았다. 이에 반해 케일은 재배기간 30일로 짧고, 생육억제효과가 적으며, 생체중당 제염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제염효과가 있는 전작 작물로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겨우살이 엽의 계절별 수분특성 (Seasonal Changes of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he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Leaves)

  • 이경철;김철우;이재선;한상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61-468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산 겨우살이 엽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P-V 곡선법에 의한 계절별 수분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장시기에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Psi}_o^{sat}$)과 초기원형질분리시의 삼투포텐셜(${\Psi}_o^{tlp}$)은 감소한 반면 최대 탄성계수($E_{max}$)와 상대함수율($RWC^{tlp}$)은 증가하였다. 11월의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의 겨우살이는 가장 높은 최대팽압 (${\Psi}_{P,\;max}$)을 보였고, 신갈나무의 압포텐셜(${\Psi}_P$)과 수분포텐셜(${\Psi}_L$)은 상대함수율의 감소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11월의 상대함수율($RWC^{tlp}$)은 모두 84% 이상을 보여 삼투조절기능이 다소 좋았으며, 건중당 삼투수(Vo/DW)와 건중당 총수분함량(Vt/DW)은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신갈나무의 굴참나무 겨우살이의 ${\Psi}_o^{sat},\;{\Psi}_o^{tlp},\;E_{max},\;{\Psi}_{P,\;max},\;RWC^{tlp}$와 같은 수분특성인자는 엽령의 증가에 따라 내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ensulfuron-methyl 처리(處理)에 따른 내성선발(耐性選拔)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흡수(吸收) 및 이행차이(移行差異) (Differential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Bensulfuron-methyl Between Selected Rice Cultivars)

  • 구자옥;변종영;석총호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52
    • /
    • 1988
  • Bensulfuron-methyl에의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군(群))에 대한 생리적(生理的) 배경(背景)을 이해(理解)하기 위하여 $^{14}C$-제초제(除草劑)를 이용(利用)한 일련의 흡수(吸收) 이행시험(移行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試驗) 1. 선발품종군간(選拔品種群間)의 흡수(吸收) 및 이행(移行) 차이(差異) 24시간(時間)에 걸친 근부(根部) 및 경엽하부(莖葉下部) 1.5cm 침지처리(沈漬處理) 결과(結果) 내성(耐性) 선발군(選拔群) 수도품종(水稻品種)들의 개체당(個體當) 및 단위건물중당(單位乾物重當)의 근부흡수량(根部吸收量)은 감수성(感受性)보다 각각 1.6%와 12.6% 높았고, 경엽부(莖葉部)에서는 각각 14.8%와 27.3% 높았으며 지상부(地上部)로의 이행율(移行率)에서도 13% 높은 정도(程度)의 차이(差異)를 보였다. 시험(試驗) 2. 선발품종간(選拔品種間)의 약제침지시간(藥劑沈漬時間)에 따른 흡수(吸收) 및 이행(移行) 차이(差異) 48시간(時間)까지의 근부침지(根部沈漬) 처리(處理) 결과(結果), 1. 공시식물(供試植物)의 엽령(葉齡)에 관계(關係)없이, 식물개체당(植物個體當) 및 단위건물중당(單位乾物重當)의 흡수량(吸收量)은 내성(耐性)보다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높았으나, 뿌리의 경우는 내성품종(耐性品種)에서 높았고, 엽(葉)의 경우에는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다소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개체당(個體當)의 흡수방사능(吸收放射能)에 대한 엽이전방사능(燁移轉放射能)의 비율(比率), 즉 엽(燁)으로의 이행성(移行性)은 내성품종(耐性品種)보다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컸다. 3. 감수성(感受性)인 IR 1846은 유묘생장속도(幼苗生長速度)가 빠른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대등(對等)한 흡수(吸收) 이행(移行) 수준(水準)에서라도 더욱 감수반응(感受反應)을 나타낸 것으로도 해석(解析)된다.

  • PDF

야파(night interruption)처리에 의한 배초향의 항산화 물질 증가 (Increased Antioxidants of Agastache rugosa by the Night Interruption Time)

  • 김성진;노승원;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9-324
    • /
    • 2022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배초향(Agastache rugosa Kuntze) 재배 시, 야파시간에 따른 생육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본엽 4매인 배초향 묘를 백색 LEDs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야파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06시부터 광도 200μmol·m-2·s-1 조건으로 시간을 24시간 주기에서 18:1:2:3, 18:2:2:2, 18:3:2:1(명기:암기:명기:암기) 비율로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는 20:4(명기:암기)로 설정하여 4주간 재배하였다. 엽장과 엽폭, 화아수를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배초향 지상부의 항산화물질 함량은 tilianin과 acacetin이 높았고, 지하부에서는 rosmarinic acid(RA)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배초향의 건물중당 RA함량은 18:1:2:3과 18:2:2:2에서 대조구보다 47.92, 51.46% 높았고, 건물중당 tilianin과 acactin은 18:3:2:1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야파처리를 하였을때 동일한 누적 광량으로 인해 생육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8:2:2:2의 야파처리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광을 이용한 배초향 재배 시스템에서 야파처리를 통하여 생육 저하 없이 배초향의 항산화 물질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