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건축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3초

옥상녹화 유형별 거주자 이용행태와 건강효과 (A Research of the Residents' Availability and Health Effectiveness Based upon the Types of Green Roof)

  • 김수봉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0-68
    • /
    • 2012
  • 본 연구는 옥상녹화 장소별 이용행태와 옥상녹화 이용과 평소 전반적인 건강 수준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옥상녹화 장소 이용을 통한 건강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지역 옥상녹화가 조성된 건축물 유형별로 주택, 관공서, 교육기관, 의료기관, 쇼핑센터를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옥상녹화 건물 거주자 및 이용자로 하였다. 현재 옥상녹화 이용행태는 60% 이상 이용률, 30분 미만의 단시간 이용, 기분전환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휴식, 주변 경관감상, 흡연, 산책과 운동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하여 시설물과 녹화식물을 확충하고, 운영 및 관리 보조금 지원이 효과적이다. 이용자의 건강수준이 낮게 나타난 교육기관, 의료기관, 쇼핑센터에 우선적으로 옥상녹화를 조성할 경우, 도시민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휴식과 주변 경관감상을 통한 정서적 건강향상은 신체적 건강에도 영향을 주므로, 옥상녹화 조성을 통한 물리적 환경개선은 건강한 도시만들기에도 기여할 것이다.

작물 생장조건을 고려한 생태면적률 제도 개선 방향 (A Study on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Biotope Area Ratio System Considering the Plant Growth Conditions)

  • 이건원;정윤남;지성균;김세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490-1499
    • /
    • 2015
  •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생태면적률 제도 보완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공동주택단지에서 주민들이 텃밭을 일구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건축 및 도시계획적 대응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이미 널리 활용 중인 생태면적률 제도를 활용하여, 이러한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생태면적률 제도는 작물이 아닌 초목 만을 고려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해서는 한계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다 확장하여 작물생장 성능까지 담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생태면적률의 요소에 일조, 간격, 면적, 토심이라는 요소를 더 추가하여 생태면적률의 보완가능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완하여 최근의 도시농업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공동주택에서 취침 시 실내공기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the IAQ during Nightime)

  • 김동규;김삼열;김세환
    • KIEAE Journal
    • /
    • 제7권5호
    • /
    • pp.93-98
    • /
    • 2007
  • Effort has been performed for latest 20 years to improve resident's comfort and indoor environment in building. And interest and effort to improve indoor air environment among various indoor environment elements have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1990s, because it is examined scientifically that various contaminants generated indoor affect human body. Specially, indoor air contaminants generated from apartments are those exhausted from resident's indoor environment, closing materials and household. Indoor air environment in buildings is different according to pollution degree, existence availability of pollution source, ventilation amount, and meteorology. It is known that other contaminants more than about 900 kinds generate according to a kind of work or action in a room. Specially, nowadays buildings are well insulated and confidentiality-centered for environment protection and economical side. So indoor air contaminants are generated from indoor air pollution sauces of unprepared ventilation, human body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various building materials. when these are accumulated in long term human body, it is harmful to resident's health, but awareness for this is very insufficient. Because bedroom is space that people inhabit for a long time by unconscious state and indoor environment occupies important part for residen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at sleep, the actual condition of air quality is investigated, improvement countermeasure is considered, and ventilation amount is analyzed. In this study, putting case that the most longest stayed time is sleeping time when people inhabit in the apartment, the air quality according to volume of bedroom space at sleep was measured and analyzed, and the data acquired will be the basis for improvement on this.

공동주택 발코니 PV 연계 가정용 BESS의 에너지 절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Energy Saving Effect of the Residential BESS Connected to the Balcony-PV in Apartment Houses)

  • 김차년;엄지영;김용기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21-31
    • /
    • 2020
  • The government mandates gradually zero energy building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installed in buildings are emerging as the most realistic alternative to increase the independence rate of building energy.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households by increasing the PV capacity of balconies and applying the method used the charged electric power stored in batteries after sunset. In order to evaluate the electric power energy savings of the residential BESS, a balcony PV 1.2 kW and a battery pack 2 kWh were installed for 9 houses in 4 apartm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BESS is charged when the balcony PV is generated electric power, and when solar power generation is finished, i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 appliances connected to the load. As a result of installing the solar PV module 1.2 kW and 2 kWh class BESS for 3 household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average electric power consumption saving rate was 40%. The reduction in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case of zero generation surplus power 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rate of BESS has been improved to about 53%.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elf-sufficiency rate of electric energy in apartment houses,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solar photovoltaic capacity of the balcony and apply the residential BESS.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the balcony PV and home BESS will play a key role in achieving mandatory zero-energy housing.

건축 공간적 가변성에 대응하는 설비 시스템에 관한 연구 (Research and study on facility system good enough to address the changing aspects of building space)

  • 이재용;윤해동;김석완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54-559
    • /
    • 2006
  • The currently common housing is obviously going to be under the reconstruction in just $20{\sim}30$ years, with the failure to satisfy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ncome, diversification and advance of national demand. But, reckless and random reconstruction Induce the serious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volving the loss of national treasury and excess materials of constructions. In order to address such problem, the common housing of longevity, which can adequately cope with the changes of times and tastes of inhabiters, in the future, is arising as an alternative. Recently, the groundbreaking phase of common housing is also being considered as another alternative to resolve such problem. The common housing of longevity has an advantage to create a free and comfortabl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tastes of inhabiters, as well as expanding the durability of building. But, the current facility system has an inability to deal with the sort of housing. Thus, the research paper i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n problems of common housing in South Korea, which has made it difficult to handle a changing space, and based on the analysis, the paper is intended to make a review on the future-oriented facility service appropriate enough to deal with the changing aspects of space.

  • PDF

건축자재 라돈 방출률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 내 라돈 기여율 평가 (Evaluation of the Radon Contribution Rate in Apartments through Evaluation of the Radon Exhalation Rate from Building Materials)

  • 홍형진;최지원;윤성원;김희천;이철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25-431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radon contribution rate through an evaluation of the exhalation rate of radon from building materials.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the computation of the radon contribution rate based on each different exhalation rate in a building. Methods: The six demonstration houses that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wall structures or Rahmen structures, and include demonstration houses similar to general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non-finishing houses with some walls exposed. Results: The highest exhalation rate was found at 62.98 Bq/m2 per day from the non-finishing floor, and the second highest exhalation rate was from stone materials at 58.76 Bq/m2 per day. Based on this result,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rate of building materials derived from building materials amo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house three was the highest at 81.7%, and house one was confirmed to be 33.96%. Conclusions: It can be judged that the effect of exposed concrete and stone is high, an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radon emitted from indoor building structures by controlling the indoor materials.

한옥표준설계도의 평면도 공간배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Arrangement in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9-586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한옥표준설계도 4개 타입 32개 종류의 평면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표는 한옥표준설계도의 타입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옥을 설계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옥표준설계도에 현대주택에서 사용하는 현관과 같은 건축구성요소를 포함시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2. 농촌의 다양한 대지조건에도 불구하고 한옥표준설계도에서도 거실과 현관을 남쪽으로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추후 확장을 위한 여분의 공간도 있었다. 3.침실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가장 많았고 이에 침실의 개수 추가 및 농촌의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공간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공간구문론과 감마맵을 이용한 공간깊이 분석에서 안방의 공간 깊이는 툇마루에서 진입하는 동선보다 현관에서 진입하는 동선이 공간의 깊이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안방의 공간 깊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되는 만큼 충분한 공간깊이로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시공업무 및 영향 분석 - 아파트 설비공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onstruction Execution Tasks for Successful Residential Mechanical Projects)

  • 강상훈;김대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60-67
    • /
    • 2019
  • 본 연구의 주목적은 공동주택 설비 시공 단계에서 수행되는 업무들을 파악하고 성과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시공업무를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국내 외 연구동향을 비롯한 선행연구와 예비 데이터 수집(pilot data), 시공업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시공업무를 크게 5개의 주요업무로 구분하고 각각을 공정관리(P'1~P'6), 시공관리(C'1~C'5), 환경관리(E'1~E'4), 품질관리(Q'1~Q'5), 안전관리(S'1~S'5)으로 명명하였다. 그 후, 각각의 주요 업무를 세분화 시켜 총 24개의 세부 시공업무로 분류하였다. 원가 및 공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따른 중요도를 비교하여 유의도 0.05 이하에 대해 원가뿐만 아니라 공기의 성과지표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중요 공사의 시공업무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소음 민감도에 따른 층간소음에 의한 성가심과 생활방해 연구 (A study on the annoyance and disturbance of floor impact noise according to noise sensitivity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 정정호;이성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8-436
    • /
    • 2018
  • 소음에 대한 반응은 응답자의 소음 민감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음 민감도와 함께 층간소음에 대한 거슬림, 생활방해, 이웃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를 소음 민감도 그룹별로 구분하고 소음 민감도 그룹별 층간소음의 거슬림, 생활방해 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소음 민감도 설문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 지역 공동주택 거주경험자 233명을 대상으로 층간소음에 의한 거슬림, 생활방해와 소음 민감도, 이웃에 대한 의견과 층간소음 발생 시 항의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민감도 그룹을 3개로 나눈 경우 소음 민감도가 높은 그룹의 층간소음 거슬림과 생활방해 반응이 나머지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에 대한 느낌 조사 결과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이웃에 대한 긍정적 반응이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웃에 대해 긍정적 느낌을 갖는 그룹의 층간소음 거슬림, 생활방해 인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 베이크 아웃 시스템을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 저감효과 (Reduction Effect of VOCs and Formaldehyde Using Auto Bake-Out System)

  • 김형진;이갑수;조진규;이준범;노형래;윤홍수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291-295
    • /
    • 2011
  • 초등학교의 신축된 실내체육관을 대상으로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 농도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5일간 베이크 아웃을 진행하였다. 베이크 아웃을 실시한 결과 베이크 아웃 실시 전의 농도에 비해 벤젠의 경우 38.2%, 톨루엔은 64.2%, 에틸벤젠은 86.3%, 자일렌은 80.2%, 스티렌은 71.5%의 저감률을 보였으며, 환경부의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저감률은 67.0%이었으며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24.7%의 저감률을 보여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한 베이크 아웃이 실내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유용함을 확인하였으며, 자동 베이크 아웃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베이크 아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