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감의 행위가 기업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cts of Compassion Within Organizations on Corporate Reputation : Contributions to Employee Volunteering)

  • 문태원;고성훈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133-156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 사이에서 타인의 고통에 의해 유발되는 공감이 긍정적 조직정체성을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 특별한 조직의 구성원이 되는 것과 관련 있는 긍정적 정체성을 유발시키게 되며, 긍정적 정체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향상시켜 결국에는 기업의 명성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강화된 기업의 이미지는 구축된 외부 이미지를 통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 정체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높은 긍정적 조직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은 조직 내 구성원들과 함께 나눔과 공감적 행위를 더 잘 실천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공감 사이의 긍정적 순환 관계는 그림 2 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조직구성원들 간의 공감적 행위가 긍정적 정체성을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불러일으키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 뿐만 아니라 기업의 명성을 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어떻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가 조직 내 공감적 행위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인지 그림 2 가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for Employe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탁진규;노태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19-336
    • /
    • 2016
  • 본 연구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총 44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통계분석방법은 SPSS/WIN 24.0과 Stata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은 진성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직무성과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함의한 바는 구성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사의 진성리더십을 통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 행동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배근수;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7-142
    • /
    • 2021
  •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산업계에 전반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과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적인 경기 불황의 여파로 대응 역량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경영혁신과 함께 조직구성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중소기업의 성장과 조직구성원의 역량 향상은 국가 경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동기부여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성과를 창출하려는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잡 크래프팅의 매개 역할 여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중소기업의 잡 크래프팅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불확실한 경영환경 아래서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해 자기주도적으로 새로운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잡 크래프팅을 매개변수로,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핵심 역량으로 요구되고 있는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실행공동체 멤버 재구성을 통한 조직차원에서의 지식공유 활동 개선 방안 연구 (A New Approach to Improv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y Rearranging Members of Current CoPs)

  • 이수철;서의호;홍대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6
    • /
    • 2011
  • 실행공동체는 특정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학습을 수행하는 접근법으로, 성공적인 지식경영을 위한 혁신 인프라 요소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최초의 실행공동체는 자발적이고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전제로 하였으나, 실행공동체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공식적인 관리와 지원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업들은 실행공동체 구성원의 활발한 참여를 장려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공동체 구성원 재구성을 통해 조직차원에서의 새로운 지식공유 활동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적으로 지식공유활동을 활발히 하는 실행공동체 구성원들이 그들이 속한 실행공동체 전체의 지식 공유활동을 이끌고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활발한 구성원을 재배치함으로써 기업 조직차원에서 실행공동체 전체의 지식공유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항을 반영하여, 조직차원에서의 새로운 지식공유 활동 개선을 목적으로 실행공동체 구성원의 최적 재구성 방안을 찾기 위한 수리모텔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수학모델은 비선형 해를 찾는 문제이므로 해당 문제를 차량경로문제로 전환하여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풀고자 시도하였다. 실행공동체를 경로, 구성원을 노드, 구성원 유형의 중요도를 거리에 대응함으로써 문제 변환을 하였으며, 휴리스틱 알고리즘 중 다수이동 방법을 적용하여 가능해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솔루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솔루선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로 실행 공동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 A의 자료를 이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참여자 품질인식에 근거한 종합적품질경영시스템 평가 (Total Quality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based on the Quality Consciousness of the Participants)

  • Jeong, Sang Ho;Kim-Nung Jin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9권39호
    • /
    • pp.235-242
    • /
    • 1996
  • 최근 국제무역질서에 있어 국제화, 세계화는 가속화되어가고 있으나 국내 산업계의 생산성과 효율성 등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영층의 강력한 리더십 및 종업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종업원과 고객의 만족을 동시에 추구하여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장기적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TQM개념〔Richard, 1993〕의 도입이 급박한 상황이며, 실제로 많은 기업이 이의 도입을 추진 또는 완료하였다. 이미 도입이 완료된 기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평가 및 개선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대덕연구단지내의 K 엔지니어링사를 대상으로 조직구성원들의 품질시스템에 대한 인식 및 자체적인 평가에 근거하여, K 엔지니어링사 품질경영시스템상의 문제점도출 및 이의 개선책을 제시하고 하였다. 본 논문에 적용된 평가 모델은 TQM을 적용하는 유사기업들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교섭창구단일화가 참여.협력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Single Party Bargaining System on Cooperative and Participative Labour Relatios)

  • 김정원;권종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1호
    • /
    • pp.129-158
    • /
    • 2011
  • 조직경쟁력의 강화가 한국경제와 사회의 경쟁력 제고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때, 이는 무엇보다도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다 본질적으로 노동의 인간화를 촉진하기 위한 핵심적 과제로서 참여적 협력적 노사관계가 인식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잠재적 방안은 교섭창구단일화와 같은 단체교섭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원화되고 복수의 교원노조 체제로 구성된 교직단체에서 보다 합리적인 교섭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교섭창구단일화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교섭창구단일화에서의 자주성의 보장과 교섭창구단일화에서의 대표성의 인정 및 교섭창구단일화에서의 필요성의 인지는 모두 참여 협력적 노사관계 형성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비록 교직단체별 유형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참여 협력적 노사관계 형성에 관련해서 공통적 수준과 의미가 더 많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교직단체별 유형의 조절효과의 유의성은 없지만 노사관계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직단체들에게 대표성의 인정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노인의 사회적관계망 유형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비자발적과거기반형 사회적관계망과 자발적현재기반형 사회적관계망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Types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Non Voluntary and Past Oriented Social Network vs. Voluntary and Present Oriented Social Network)

  • 임창균;양동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19-1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관계망의 구성원 관계형성 시기가 과거에 기반을 두면서 모임에의 참석이 반 의무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대표적인 모임인 동창회와, 이와는 반대로 주로 현재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모임에의 참석이 자발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대표적인 모임인 동호회/취미클럽 활동이 각각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대다수 선행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회적관계망이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관계망을 성격과 참여 형태에 따라 보다 깊이 있게 세분하여 살펴본 결과 주로 과거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조직원들의 반의무적인 참여를 특성으로 하는 동창회 모임의 경우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와는 유의적인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현재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모임 참석자들이 대부분 자발적으로 참석하는 모임을 대표하는 동호회/취미클럽의 경우에는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이 우리에게 주는 정책적 함의는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를 효율적으로 제고하기 위하여 노인복지정책 입안자들과 실천자들은 예산과 노력을 과거의 관계에 기반을 둔 비자발적과거기반형 사회적관계망 보다는 현재의 관계에 기반을 둔 자발적현재기반형 사회적관계망의 활성화에 집중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 PDF

심리적 자본이 혁신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및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 김상규;안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245-254
    • /
    • 2018
  • 최근 조직환경의 변화가 극심하며, 조직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도 매우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하여 조직은 능동적이고도 자발적으로 참여하려는 구성원들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상사나 조직에 의해 주어지는 업무에 국한하여 수동적으로 업무처리를 하기 보다는 구성원이 스스로 소속감을 갖고 자발적이며, 긍정적인 자세로 업무에 몰입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우, 공공교육기관으로서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계층, 특히 청년들의 실업해소를 위해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도 적극적인 업무태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자본과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조직지원의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배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행동은 조직의 변화와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혁신행동은 자기효능감, 회복력, 낙관주의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들 요소에 대한 관리가 요망된다. 심리적 자본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조직지원은 그 자체로도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심리적자본인 자기효능감, 낙관주의와 상호작용하여 조직몰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조직구성원의 이직 의도와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Turnover Intention and the Leadership Type of Middle Managers in Agricultural Cooperatives)

  • 전영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3호
    • /
    • pp.85-93
    • /
    • 2015
  • 효과적으로 조직을 경영하고자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조직개혁을 위한 조직개편 및 서로 다른 조직들 간의 통합관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적극적이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발시키는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역할이 중요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연관성을 실제 농협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2014년 7월 28일부터 8월 14일까지 실시, 전체 220명을 조사하였으며 이중 192명의 응답을 통하여, 농협 조직구성원들의 이직 의도를 제한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농협 조직의 중간관리자 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에 미치는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즉,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가 결국은 이직 의도와 조직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간에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은 농협 조직 경영의 효율성 증대 및 목표 달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의 중간관리자들인 과장, 차장이 조직을 관리하는 데 있어 조직구성원들이 고려하는 바람직한 리더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인재육성, 경영효율성, 조직관리 등에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조직적 융복합 환경 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조직의 능동적 보안문화 형성을 위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Activating Factor for Cultivating a Proactive Organizational Security Culture)

  • 안병구;유하랑;장항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13
    • /
    • 2020
  • 급속하게 변화하는 ICT 기반의 산업 환경이 조성되면서 조직은 새롭게 발생하는 보안위협에 당면하고 있다. 조직은 보안위협에 대한 대응방안의 일환으로 조직구성원 대상의 보안문화 내재화를 수립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보안활동 이행으로 인해 업무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불편사항이 존재하고 기존의 보안문화 정립 방안은 제어, 통제 등의 규범적 성격이 강조됨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의 보안 수용성이 낮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적인 조직 보안문화의 활성화를 하나의 대응방안으로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수동적인 보안문화 정립 방안에서 벗어나 전사적 보안업무 효율을 높고 조직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보안문화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관련 선행연구 간의 비교·분석을 진행하고 도출된 실행요소에 대해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보안문화 활성화 요인을 통해 향후 보안문화 수준측정을 위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