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문화유형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Operation Plan of the Community-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 Kim, Young-Jun;Kim, Wha-Soo;Rhee, Kun-Y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2
    • /
    • pp.273-280
    • /
    • 2022
  • Based on the MOU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operation strategy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the them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community connection. In front-line university sites,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are often recognized as forms and procedures to assist in subject learning at the major or liberal arts level, but they have a very important status and identity considering that they are classified as "learning competency reinforcement support", "career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subject-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Accordingly,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has the nature and advantage of covering not only the level of the one-time trend program itself, but also various community -linked problem-solving learning, including students' major learning and employment linkage. As part of the abo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with the main theme and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y viewing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largely presented as "organizational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operation strategy of curriculum between two universities," and "comprehensive system for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s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First, the first research content, "Organized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was schematized in detail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and communicating with Chosun University's cent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Daegu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other committees and departments. The second research content, "The Curriculum Operation Strategy between Two Universities", is a detailed schematic diagram of the learning contents, methods, and procedures to be organized i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The third study, "Comprehensive System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peration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wo Universities," presents the results of synthesizing the basis elements essential for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at the level of a roadma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ject tasks that could be promoted in-depth through the operation of a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o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MOU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영국 공원녹지 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 Kim, Yun-Geum;Choi, J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86-96
    • /
    • 2012
  • Recently parks and green spaces contribute not only as a place of leisure but also for environmental welfare, social education, new jobs and $CO_2$ Emissions Reduction. Parks and green spaces are understood as urban infrastructures like roads and rivers. They are also included in social infrastructures like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These changes are applied to polici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many governments and local authorities make investments on them. The modification of polici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in England is a good example about this trend From this view point, this study now deals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policies, results, and evaluation. Some implications have been deducted. The first is the inducement in participation in policies and implementation of practices through policy papers. They are more practical than written laws which are composed of abstract sentences and generalizations. Secondly, the status of parks and green spaces is highly raised with the establishment of CABE Space and so on. This organization controls many different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parks and green spaces. Third is the funding for the improvement of parks and green spaces. Fourth, are the short-term measures, such as funding and management, and the long-term measures such as pursuing building of partnership and training. Fifth, the government strives to establish its partnership with the local authorities and communities through a spectrum of support in terms of information, monitoring, and developing good practices among networks. Finally, parks and green spaces are being addressed from multiple direction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numerous agents like voluntary groups, development companies, communities and so on. Recently, in Korea, the influences of the Sunset Law for Park Site, Landscape Architecture Law, Urban Forest Law, and other related ordinances have encouraged the review on the policies on parks and green spaces needed.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about them. Owing to these reasons, the cases of England will he helpful.

The Theoretical Factors of North Korean Refugees' Willingness to Report Crime: Based on the Legal Cynicism,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Behavior of Law Theory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신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법적 냉소주의 모형, 절차적 정당성 모형 및 법행동 모형을 중심으로 -)

  • Hong, Seongju;Kim, Juhee;Hwang, EuiGab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9
    • /
    • pp.161-188
    • /
    • 2019
  • Not much is known about the factors of North Korean refugees willingness to report crime. Based on the survey of 800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n refugees' willingness of reporting crime. Focusing on the legal cynicism, procedural justice, and the behavior of law theory, this research verified that procedural justice model is most important in explaining their willingness to report crime. Variables under procedural justice model(i.e., perceived fairness of the law, confidence in the law, and perceived necessity of the law) were significant in an expecte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hypotheses based on social conditions derived from the five types of stratification, morphology, culture, organization, and social control presented by Donald Black (1974)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 to report crime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olic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A Study on Strategies for Local Development Projects by Types of Regional Cities (지방 도시 규모별 지역개발사업 추진방안 연구)

  • Bae, Min-Cheul;Ahn, Jung-Geun;Ahn, W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2
    • /
    • pp.3-18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by examining their actual conditions and to propose measures to promote such projects based on the size of local cities. To achieve this go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were analyzed, and measures for their promotion were derived by dividing these projects into planning, strategy, policy, and institutional sectors according to the size of local cities. The problems identified with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e diversification leading to similar and overlapping projects, lack of participation by local experts, top-down government structure for designating and suppor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insufficient budget.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local experts have suggested differential measures based on the size of local cities. Specifically, in the planning sector, it was proposed that economic, cultural, social, and welfare functions be expanded and reorganized primarily arou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at long-term strategies be established for regional large cities through various partnerships and step-by-step procedures. In the policy sector,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bottom-up development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focused 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at the transition from a specific industry-oriented policy to a corporate growth policy needs to be established around large cities. Finally, in the institutional sector, it was recommended that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use of financial resources and a system for expanding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established primaril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Personal and Group Identities, and Discussion Quality in Online Discussion Communities (온라인 토론 커뮤니티에서의 익명성과 개인 및 집단 정체성, 토론의 질 간의 영향 연구)

  • Ae Ri Lee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3
    • /
    • pp.63-86
    • /
    • 2019
  • As the use of ICT became a part of daily social life, online community has emerged as a new type of social organization. Online community is a virtual space which enables many people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together to collective knowledge. Anonymity in online communities can encourag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by people with various social constraints, however, anonymity can also lead to serious social patholog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study on what is fundamentally influencing human behavior and how people's behavior is controlled in anonymous online community. This study focuses on human identity and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human behavior control in anonymous online environment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identity in online discussion community.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cluding social & technical anonymities, various identity dimensions, intrinsic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group norm conformity, and quality of discussion. It also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the level of anonymity, gender, age, community usage period, and discussion topic. Based on the findings,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nline community management strategies and a better culture on Internet discussion.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The Contents of Namsan Park Records at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서울기록원 소장 남산공원 기록물의 현황과 내용)

  • Kim, Jung-Hwa;Gil, Jihye;Seo, Young-Ai;Park, Hee-Soung;Choi, Hyeyoung;Lee, M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6
    • /
    • pp.110-123
    • /
    • 2022
  • Namsan Park in Seoul was designated as a "grand park" in 1954 and is currently operated as an 'Urban Nature Park Area' and four 'neighborhood parks.' However, despite the park'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an urban park, it has been discussed mainly from a perspective revolving around notions of a mountain or a city wall. To ensure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Namsan Park's history, this study examined public records at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SMA), which houses the city's permanent records for preservation and organization. To this end, documents in the SMA Database (DB) were analyzed, yielding 1,359 records concerning Namsan Park. Based on the cont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park were identified through production periods, record types, and disclosure types. Then, essential keywords concerning organizations, people, geographical areas, subjects, and business functions were examined. Finall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msan Park in public records were scrutinized, focusing on specific spaces. This research also uncovered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park drawings, photos, planting lists, plant parcel lists, and significant discussions and decisions regarding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rk. Although the public records do not contain a comprehensive history of Namsan Park,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primary historical changes and deliberation processes pertaining to the park's history.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intended to interpret and describe public records is expected to identify many implications. In addition, because the public records showed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that center on specific periods and events, an essential task is to advance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with various related institutions, designers, researchers, and citizens.

Value and Prosect of individual diary as research materials : Based on the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 Choi, Hyo Jin;Yim, Jin 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6
    • /
    • pp.95-152
    • /
    • 2015
  • "Archives of Everyday Life" refers to an organization or facility which collects, appraises, selects and preserves the document from the memory of individuals, groups, or a society through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lives and cultures of ordinary people. The document includes materials such as diaries, autobiography, letters, and notes. It also covers any digital files or hypertext like posts from blogs and online communities, or photos upload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Many research fields including the Records Management Studies has continuously claime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ordinary people's records on daily life produced every moment. Especially diary is a written record reflecting the fact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nd his self-examination. Its originality,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are considered truly valuable as a document regardless of the era. Lately many diaries have been discovered and presen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communities, and diverse researche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 have embarked more in-depth research on diaries, their author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 Furthermore, researchers from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and psychology analyze linguistic behaviors, status of cultural assimilation, and emotional or psychological changes of an author. In this study, we are conducting a metastudy from various research on diaries in order to reaffirm the value of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as everyday life archives.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consists of diaries produced and donated directly by citizens on the 12th May every year. It was only 2013 when Digital Archiving Institute in Univ. of Myungji organized the first "Annual call for the 12th May". Now more than 2,000 items were collected including hand writing diaries, digital documents, photos, audio and video files, etc. The age of participants also varies from children to senior citizens.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alysis will be made on the diaries collected as well as more profound discoveries on the detailed contents of each item. It is not difficult to see stories about family and friends, school life, concerns over career path, daily life and feelings of citizens ranging all different generations, regions, and professions. Based on keyword and descriptors of each item, more comprehensive examination will be further made.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suggestions to examine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of these diaries for different fields such as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or humanities considering diverse formats and contents of diaries. Finally this study will also discuss necessary tasks and challenges for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to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preserved as Everyday Life Archives.

Implementing RPA for Digital to Intelligent(D2I) (디지털에서 인텔리전트(D2I)달성을 위한 RPA의 구현)

  • Dong-Jin Choi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4
    • /
    • pp.143-156
    • /
    • 2019
  • Types of innov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simplification, information, automation, and intelligence. Intelligence is the highest level of innovation, and RPA can be seen as one of intelligence. Robotic Process Automation(RPA), a software robo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 example of intelligence that is suited for simple, repetitive, large-scale transaction processing tasks. The RPA, which is already in operation in many companies in Korea, shows what needs to be done to naturally focus on the core tasks in a situation where the need for a strong organizational culture is increasing and the emphasis is on voluntary leadership, strong teamwork and execution, and a professional working culture. The introduction was considered naturally according to the need to find. Robotic Process Automation, or RPA, is a technology that replaces human tasks with the goal of quickly and efficiently handling structural tasks. RPA is implemented through software robots that mimic humans using software such as ERP systems or productivity tools. RPA robots are software installed on a computer and are called robots by the principle of operation. RPA is integrated throughout the IT system through the front end, unlike traditional software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IT systems through the back end. In practice, this means that software robots use IT systems in the same way as humans, repeat the correct steps, and respond to events on the computer screen instead of communicating with the system'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Designing software that mimics humans to communicate with other software can be less intuitive, but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this approach. First, you can integrate RPA with virtually any software you use, regardless of your openness to third-party applications. Many enterprise IT systems are proprietary because they do not have many common APIs, and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systems is severely limited, but RPA solves this problem. Second, RPA can be implemented in a very short time. Traditional software development methods, such as enterprise software integration, are relatively time consuming, but RPAs can be implement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wo to four weeks. Third, automated processes through software robots can be easily modified by system users. While traditional approaches require advanced coding techniques to drastically modify how they work, RPA can be instructed by modifying relatively simple logical statements, or by modifying screen captures or graphical process charts of human-run processes. This makes RPA very versatile and flexible. This RPA is a good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digital to intelligence(D2I).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