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 모형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Exploration)

  • 김영란;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사회인지진로모형(SCCT)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변수로 성취경험, 언어적 격려,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를 채택하였다. 실증분석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217부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경험,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언어적 격려와 긍정적 정서는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언어적 격려는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경험과 대리학습은 결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진로 탐색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결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기독교 대학에서의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 설계 및 제안 (Model Design and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at a Christian University)

  • 이성아;권경만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203-23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분야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그 영역별 요인들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계 원리를 수립하고,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는 연구이다. 우선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의 역량, 대학생활 및 학업 저성취자 연구, 학사경고자 연구 등을 토대로 어떤 요인들이 학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특히 학업을 실패하도록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으며, 그것들을 토대로 진단할 수 있게 하위요인들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설정된 영역은 심리적 차원, 학습적 차원, 진로적 차원으로 나누어 졌고, 기독교 대학 학생들을 위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기에, 신앙 영역도 요인으로 설정하여 완성하였다. 그 후에는 각 영역별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는데, 초안 모형에서는 신앙영역 하위에 신앙성숙도와 신앙훈련, 심리영역 하위에 긍정적 사고, 정서 조절, 자아 존중감, 학습역역 하위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마지막으로 진로영역 하위에 진로성찰, 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후 기독교인이면서 교육학 박사로 대학 및 교육 관련 기관에 재직 중인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델파이를 위해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모형의 적합성, 모형을 이루는 영역, 그 하위의 요인 등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초기 4개 영역 12개 하위영역이었던 모형은 하위 요인 기준으로 신앙훈련, 정서조절, 진로성찰의 하위요인이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러 삭제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4개 영역의 9개 요인, 즉 신앙-신앙성숙도, 심리-긍정적 사고, 자아 존중감,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진로-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인을 갖춘 모형으로 완성되었다. 본 연구 대학생, 특히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진단 도구 개발의 선행적 연구로, 설계 모형과 그 하위 영역, 요인 등을 제안하는 연구였다. 따라서 향후 본 모형을 토대로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개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의 학대 경험과 정서조절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Emotional Regulation: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 강하은;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18-627
    • /
    • 2017
  • 최근 아동학대 사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학대 경험과 거부민감성 및 정서조절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동의 학대 경험과 정서조절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강원, 충청, 경상지역 지역아동 보호기관에 아동학대로 신고 접수 되었거나 학대의심사례로 관리되고 있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217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거부민감성, 정서조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 검증과 부트스트랩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학대 경험은 정서조절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거부민감성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정서조절은 거부민감성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아동의 학대 경험과 정서조절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학대 경험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정서조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대경험으로 인해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상담할 때, 상담자는 이들의 거부민감성을 낮추는 상담개입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도시고속도로의 진입연결로 접속부내 선형의 밀도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The Linear Density Predictive Models on the On-Ramp Junction in the Urban Freeway)

  • 김태곤;신광식;김승길;김정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59-66
    • /
    • 2006
  • 이 연구는 도시고속도로의 진입연결로 접속부내 선형의 밀도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로서 실시간 교통특성분석과 선형의 밀도예측모형 구축 및 검증을 통해 밀도예측모형 구축에 있어서 결정계수($R^2$)값이 대체적으로 0.7이상으로 나타나 선형회귀모형구축에 상당히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형모형검증에 있어서 상관계수(r)값도 대체적으로 0.8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선형의 밀도예측모형을 이용하여 도시고속도로의 진입연결로 접속부내 차량의 밀도추정 및 지체분석에 상당히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부하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on Subordinates' Intention to Leave: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s Mediating Variables)

  • 문지영;이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10-8221
    • /
    • 2015
  • 본 연구는 리더의 특성 중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행동적 성실성(behavioral integrity)의 효과를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부하들이 느끼는 리더에 대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때, 신뢰를 단일차원이 아닌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두 개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를 통해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들에 종사하는 357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준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후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개인연금 가입의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individual's pension purchas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이찬희;전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437-449
    • /
    • 2016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 (SEM)을 활용하여 개인연금의 가입에 영향을 주는 심리요인들 간의 인과관계와 장수정서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전국 7대 도시에 거주하는 928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연금의 가입에는 장수가능성, 대처효용성, 장수지식 (인지요인), 보험사 신뢰 (사회요인), 금융이해력 (금융요인)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장수감정, 장수가능성, 국가신뢰, 대처효용성이 장수정서 (두려움과 걱정)에 영향을 주었으나, 장수정서를 매개로 하여 개인연금 가입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험사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와 잠재고객의 금융지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개인연금의 판매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장수할 가능성을 높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개인연금을 가입한다는 사실은 연금보험시장에서도 역선택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공감독서교육이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송지애;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67-292
    • /
    • 2018
  • 본 연구는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감독서교육의 현실적인 공감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을 선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공감독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 10명과 교재도서의 중요도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집단 12명의 델파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경기도 U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104명을 대상으로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사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소비자의 감성적 반응 (Consumer's Affective Response Formation from Experience of Travel Agency)

  • 정문영;김계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33-40
    • /
    • 2012
  • 본 연구는 관광상품의 주요 구성요소인 여행사에 대한 경험이 PAD모형에 따른 소비자의 감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감성민감도가 여행사 경험에서 유도되는 감성에 대한 조절적 역할을 분석하였고 여행사 경험에서 유도된 감성이 여행사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재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자료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요한 여행사 경험요소로 반응성, 정중성, 업무수행능력, 차별성 등 네 요소가 식별되었고 이들이 소비자의 경험이 즐거움-각성-지배(Pleasure-Arousal-Dominance: PAD) 정서를 차별적으로 유도한다는 가정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에 관련된 주요 개인차 변수의 하나인 감성민감도(Affect Intensity)가 여행사경험에서 유도되는 정서 형성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행사 경험에서 유도된 정서는 각각 여행사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형성과 재구매의도 형성에서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역시 검증되었다.

  • PDF

사회적 공정성에 대한 지각 및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정서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Fairness and the Possibility of Upward Social Mobility on Emotional Depression)

  • 노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73-18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한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개인의 정서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영향력이 어떠한 조건 하에서 보다 증폭되거나 완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보다 향상될수록 개인은 스스로의 계층상승에 대한 보다 낙관적 기대를 품게 되지만, 그러한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해서도 보다 비관적으로 기대를 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기대의 저하는 계층 상승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함으로써 개인의 정서적 우울을 보다 심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계층상승 가능성의 저하로 인한 정서적 우울의 심화는 개인의 (1)사회적 자본 및 (2)경제적 자원이 결핍되어 있을 때 보다 두드러지게 심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위해 한국갤럽이 한국행정연구원의 의뢰로 수집한 총 8000명에 관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모형은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공정성 제고 및 우울증 예방에 관한 정책의 수립과 연구 모형의 정립에 있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omponent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김희경;곽영순;강훈식;신영준;이성희;이수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07-521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관련 정의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경로모형을 규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과학 긍정경험이란 과학학습에 관련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험의 총체를 의미하며, 과학 긍정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구성하는 5개 하위 변인은 '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관련 진로 포부'이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4학년, 6학년, 8학년, 10학년에서 각각 1개 학급 학생들을 임의로 표집하여, 총 1841명을 대상으로 '과학 긍정경험 지표검사(TIPES)'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선정하고,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과학학습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는 모두 과학관련 자아개념을 경유하여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과학관련 진로 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 간 과학 긍정경험의 5개 하위 영역의 평균 차이를 t-test 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과학 긍정경험의 5개 하위 영역은 성별, 학교급, 지역규모, 과학관련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구조방정식 경로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다집단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집단 간에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지역규모와 과학관련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서는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정의적 성취를 돕기 위한 과학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