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지각능력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 또래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Empathy and Peer Support on Happiness)

  • 조혜경;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36-1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 또래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청소년 1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감능력의 인지적 공감 요인이 행복감에 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지지와 행복감과의 관계는 또래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 도구적지지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또래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요인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지지 요인이 도구적지지 요인보다 행복감에 더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공감능력과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 이연준;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9-37
    • /
    • 2015
  • 이 논문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정서노동의 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정서표현규칙의 교육, 몰입, 공정성, 명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표면행동, 내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몰입이 내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지원하고 교사의 정서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Mother Perceived by Adolescents - Focused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

  • 박옥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16-25
    • /
    • 1994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들이 의사소통 만족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의사소통 변인은 자녀성별, 어머니 연령, 교육수준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으나, 의사소통 만족도는 어머니 연령, 가족형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둘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변화 대처능력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과 관련이 깊은 것을 보여준다. 세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부정적인 대화로 나타나, 긍정적인 대화를 이끌수 있는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된다.

  • PDF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6
    • /
    • 2003
  •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재아의 개념정의와 판별도구 개발, 영재발굴, 선발 및 그들의 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영재아들의 적응, 자기지각, 또래관계등 사회정서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및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영재아의 사회적 성취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개인적응, 사회적응, 부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수준은 어떠한가\ulcorn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100명의 아동이며, 이들은 교사추천 및 전북대학교 과학영재연구소의 과학과 수학시험을 통해 선발된 과학 영재아동이다. 설문결과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39명(남아 59명, 여아 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아동의 적응능력검사도구는 한국교육평가센터(KETC)에서 1998년 개발하여 표준화과정을 마친 종합적응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응영역(자아개념 12문항, 성취동기 10문항, 자기기획 15문항), 사회적응영역(사교성 15문항, 애착 9문항, 사회적 긍정성 10문항), 부적응영역(스트레스 20문항, 욕구좌절 10문항, 편견 12문항) 총 1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자기지각검사도구는 Harter(1985)의 Self-Perception Profile이며, 학업역량, 사회적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기가치감 각각 6문항씩 총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검사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 친한 친구지지 각각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아동기 외상과 마음이론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Pathway Linking Childhood Trauma and Stress Perception: Mediating Role of Theory of Mind)

  • 장은영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7-28
    • /
    • 2018
  • 아동기 외상은 발달 과정에서 심리적 그리고 생물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이 문제들이 사회인지 발달과 공변하여 이후 스트레스 대처에 장애물로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아동기 외상, 구체적으로 방임, 신체학대 및 정서학대의 경험이 성인이 된 시점에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마음이론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및 지난 일주일 간 지각한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사회인지 능력의 하나인 마음이론을 측정하는 질문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면담자가 힌트를 제공하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최종 1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마음이론의 완전매개 효과를 가정한 모형(모형 1)과 부분매개 효과를 가정한 모형(모형 2)의 간명성과 부합도를 비교하였다. 완전 매개효과 모형을 보면, 마음이론이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아동기 방임이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아동기 정서학대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경향성만 나타내었고, 아동기 신체학대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분 매개 효과 모형을 보면, 아동기에 경험한 방임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학대는 성인기의 스트레스 지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상관분석 및 완전, 부분 매개효과 모형에서 모두 아동기의 세 가지 유형의 외상 경험은 유의한 상호상관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간명성과 부합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최종적으로 부분 매개효과 모형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노년기 운동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0권1호통권326호
    • /
    • pp.12-13
    • /
    • 2006
  • 노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인 특징은 일반적인'노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체력의 저하로 운동 기능이 둔화되고, 심폐 기능과 면역 능력이 저하되어 쉽게 병에 걸리고 주위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저하되는 현상이나타난다. 정신적인 노화도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감각, 지각, 지능 등과 같은 정신 및 신경기능의 저하와불안 또는 우울 등의 정서 및 성격의 변화를 나타내기도 한다.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노화 과정에서 초래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젊더라도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노화 현상이라기 보다는 근육의 불용성 위축으로 초래되는 것이기에 적절한 운동으로 예방 또한 가능하다.

  • PDF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Emotion Regulation of Children)

  • 조수현;이경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1-7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emotion reg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93 5th and 6th grad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aternal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directly affected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while maternal affectionate and permissive parenting directly affected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ly, children's selfesteem directly affected both their maladaptive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while also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maladaptive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Children's cognitive reappraiser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but emotion suppressive strategy negatively affecte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Thes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parenting or children's self-esteem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유능성지각과 문제행동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 정현희;정순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3-103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The subjects were 3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questionnaires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ores(venting and support pursuit), and according to birth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score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core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scores and behavior problem scores. (3) Children's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xplained children's anxiety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distracted behavior and regressive behavior.

관광서비스 종사원의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골프장 캐디를 대상으로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류웅걸;강문실;강애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46-2053
    • /
    • 2010
  • 본 연구는 캐디들의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선행연구 고찰과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서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노동의 하위요인인 정서표현 빈도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정서표현 주의정도, 정서부조화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노동이 클수록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가 높다는 결과는 캐디들은 직무 상황에 맞게 자신을 표현해 내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캐디들이 직무스트레스가 클수록 그들이 지각하는 이직의도가 높다는 결과는 직무스트레스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리더십 발휘와 자긍심 고취 및 적절한 동기부여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통해서 직무스트레스의 저감뿐만 아니라 이직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색채가 표현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Color Effect on Expressive Perception)

  • 주리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30-8036
    • /
    • 2015
  • 본 연구는 그림에 나타난 정서를 판단할 때에 형태 정보와 색채 정보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연구에서 흑백 그림자극의 정서적 반응을 평가하였고, 본 실험에서 색채가 첨가된 그림의 정서적 반응을 평가했다. 두 개의 실험에 각기 다른 50명, 56명의 피험자들이 참여하였고, 평가-능력-활동성 차원에서 구분이 되는 평정 단어로 기쁨, 우울, 분노 반응을 선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흑백 그림에서 형태의 표면과 리듬에 따라 특정 정서를 높은 비율로 경험했다. 그리고 형태가 제시하는 정서반응과 다른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색채가 가미되었을 때 특정 정서의 반응 비율이 현저하게 낮아지거나 혹은 색채 정보에 따른 정서를 경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색채와 형태를 결합하여 두 요소를 경합시키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는 점과 자극의 제시와 반응의 처리에 있어서 보다 더 통제된 조건 하에서 실험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