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 공유 의도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상에서 정보공유 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World: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Importance)

  • 김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1호
    • /
    • pp.22-41
    • /
    • 2013
  •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신뢰와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를 선행요인으로, 정보 중요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는 온라인상의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정도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 중에서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일시기반 신뢰는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에 유의적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성 규범은 정보공유 의도가 매개된 경우에 정보공유 행동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조절변수의 개입이 배제된 상태보다 개입된 경우에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 정도에 따라 상호성 규범과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생명공학 분야 연구자의 연구데이터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술적 평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Biotechnology Scientists' Research Data Sharing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Reputation)

  • 김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68
    • /
    • 2022
  • 본 연구는 연구자들의 데이터 공유 행위에 대한 이해에 목적을 두고 국내 생명공학분야 연구자와 연구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메일로 수집된 411개의 유효 응답은 PLS-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데이터 공유 규범과 학술적 상호주의는 데이터 공유 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신뢰는 학술적 상호주의가 공동체 신뢰와 데이터 공유 의도의 매개변인일 때, 데이터 공유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술적 평판은 데이터 공유 규범과 학술적 상호주의, 그리고 데이터 공유 규범과 데이터 공유 의도 간의 관계에서, 학술적 상호주의와 데이터공유 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생명공학 연구자들의 데이터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Ostrom의 집단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과 변인들의 영향 관계 안에서 학술적 평판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들의 데이터 공유 행위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학술적인 보상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Digital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onnectedness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haring Economy

  • Bok, Mi-J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99-20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문화자본과 사회적 연결감이 공유경제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공유경제활동 참여의도 중 재분배 참여의도와 협력적 생활양식 참여의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유경제활동 참여의도는 성별, 연령, 월평균 용돈,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분배 참여의도는 객체화된 디지털 문화자본, 체화된 디지털 문화자본, 사회적 연결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협력적 생활양식 참여의도와 정보공유 참여의도는 디지털 문화자본이 모두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넷째, 공유경제활동 참여의도와 관련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디지털 문화자본이었다.

SNS에서의 관계형성 정도와 개인의 정보공유 태도가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lationship Building through SNS on an Individual's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 김종기;김진성
    • 정보화정책
    • /
    • 제19권2호
    • /
    • pp.57-84
    • /
    • 2012
  • 최근 사람들의 커뮤니티 형성과 참여 방식을 보면 스마트폰의 보급과 SNS의 확산으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람들 간의 정보공유 활동에도 영향을 주어 과거에 비해 보다 활발한 정보공유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SNS에서의 정보공유 활동은 단순히 SNS에서 구성원들과 소통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SNS의 구성원들 간의 관계정도와 정보 소유자의 정보공유 태도에 의해 정보공유 활동은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지속적 SNS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지된 사회적 지원, 인지된 사회적 영향력, 인지된 네트워크 구조를 설정하고 이들 요인들에 대해서 고차원 분석(Higher Order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지속적 SNS 사용의도와 정보공유 의도 간에 관계정도와 정보공유 태도를 설정하여 요인들 간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PSS 18.0과 SmartPLS 2.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 SNS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지속적 SNS 사용의도와 정보공유 의도 간에 관계정도와 정보공유 태도의 역할과 경로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 PDF

중국에서의 자동차 공유의도 요인과 공유 행동에 관한 연구 (Factors that Influence the Sharing Intention of Vehicle and Sharing Behavior in China)

  • 장지윤;이상준;최은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95-203
    • /
    • 2017
  •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 활동의 일종으로, 물건이나 공간, 서비스를 빌리고 나눠 쓰는 공유경제는 융합 분야의 새로운 연구 주제이다. 가장 대표적인 공유경제 영역으로 공간 공유와 자동차 공유가 있다. 본 논문은 자동차 공유의도의 선행요인과 공유행동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에 바탕으로 공유의도와 관련된 경제적 혜택, 사회적 혜택, 사회적 영향, 심리적 혜택, 지각된 위험을 연구 변수로 도출하고, 이들이 공유의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하였다. 한국과 달리 중국은 자동차 공유가 법적으로 허용되고 많은 활성화 되어 있다. 가설을 검증을 위해서 중국 시민한테 설문지를 수거하였고,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심리적 혜택, 사회적 영향, 지각된 위험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혜택은 가설과 다르게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공유의도가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관광정보의 신뢰 및 만족수준에 따른 정보공유 및 사용의도 차이 (The Differences of Sharing and Use Intention of SNS Touris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rust and Satisfaction)

  • 곽대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5-162
    • /
    • 2017
  • 본 연구는 SNS 관광정보의 신뢰와 만족수준에 따른 사용자의 정보공유 및 이용의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SNS를 통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회사들과 관련 서비스 운영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SNS 관광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와 만족, 관광정보의 공유의도 및 사용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고, 표본조사법을 통해 SNS 관광정보 이용경험자들의 의견을 수집,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NS 관광정보의 신뢰와 만족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공유 및 사용의도에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SNS를 통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기업들 및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이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전자의무기록 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Share Electronic Medical Records)

  • 김영은;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83-311
    • /
    • 2024
  • 전자의무기록 공유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인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합리적 행동 이론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에 기반하여 전자의무기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업과 개인 병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유 의도가 달라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타적 즐거움과 개인정보 보호 인식, 법·제도적 역할 인식 및 건강에 관한 관심 정도가 전자의무기록 공유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가 법·제도적 역할 인식과 공유 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공유 과정에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무기록 공유에 대한 사람들의 참여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유로 인한 공익적 혜택을 강조해야 할 것이며 법적으로 개인정보의 보안과 올바른 활용을 보장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정보공유 의도: 중국 위챗 이용자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in a Social Media Platform: A Study of Participants in the Chinese WeChat Moments)

  • 노석;조려;강봉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89-104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회원들의 중국 위챗 정보 공유 의도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이 데이터는 중국 위챗 사용자들로부터 나왔으며, 150명의 위챗 사용자들이 이 조사에 참여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보 공유 의도가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제어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반면, 평판과 호혜적관계는 태도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으며, 인상은 정보 공유에 대한 인지된 행동 제어에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학부모 소셜네트워크와 정보공유 의도 및 만족도 간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Social Networks, Information-Sharing Intention, and Satisfaction)

  • 이고은;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69-97
    • /
    • 2022
  • 자녀에게 부모의 관심과 돌봄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건이지만 부모도 양육이 매우 생소하고 어려운 일이다. 양육과정에서 부모는 양육과 관련된 끊임없는 정보요구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 수준에서 학부모 간 모임이나 관계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자 노력하는데 이 과정에서 갈등 및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 간 소셜네트워크의 특성을 탐색하고 이러한 소셜네트워크 특성이 정보공유의도 및 정보공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어린이집 한 곳을 선정하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설문데이터는 소셜네트워크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네트워크 특성과 정보공유의도, 정보공유만족도간 관계는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학부모 소셜네트워크의 특성과 정보공유의도, 정보공유만족도의 영향관계는 성립되지 않았으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보다 받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부모들의 정보요구 충족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과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 재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SNS 관광정보 서비스품질과 정보공유의도 간 영향관계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NS Tourism Information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 곽대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29-236
    • /
    • 2016
  • 본 연구는 SNS 관광정보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SNS 관광정보 서비스품질과 정보공유의도 간 영향관계 및 그 영향정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SNS 관광정보 서비스 운영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SNS 관광정보 서비스품질, 정보공유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고, 표본조사법을 통해 SNS 관광정보 이용경험자들의 의견을 수집,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NS 관광정보 서비스의 품질요인 중 획득용이성과 상호작용성이 사용자의 정보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운영자들에게 이용자들의 정보수집의 편의성 및 다른 이용자들과의 상호소통에 편리한 기능들의 서비스 수준제고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