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련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면섬유에 대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인산에스테르의 정련효과 (Scouring Effect of PAPE(Polyoxyethylene Alkyl Phosphoric Ester) on Cotton Fibres)

  • 하윤식;곽경도;장윤호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974-978
    • /
    • 1999
  • 면섬유에 대한 정련제로서 NP-7(polyoxyethylene(7) nonylphenyl ether) 및 TDA-7((polyoxyethylene(7) tridecyl ether)을 인산에스테르화 반응시켜 PAPE(sodium polyoxyethylene alkyl phosphoric ester)형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odium polyoxyethylene(7) nonylphenyl phosphoric ester(CPB-1)와 sodium polyoxyethylene(7) tridecyl phosphoric ester(CPB-2)를 각각 합성하였다. 합성한 CPB-1과 CPB-2를 기존의 상용제품인 Ultravon GP(GP)와 각 기능별로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상온 및 $100^{\circ}C$에서의 억포 및 파포력이 CPB-2>CPB-1>GP의 순으로 CPB-2의 기포가 가장 적었고, 또한 가장 빨리 파포되어졌다. 증류수에서의 침윤효과는 CPB-1>GP>CPB-2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일반 정련에서 많이 사용하는 1.2 wt % NaOH 수용액에서의 침윤효과는 전반적으로 CPB-2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가공시의 정련조건인 알카리 상태에서의 안정성은 $CPB-2{\geq}CPB-1$>GP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흡수력 실험결과 CPB-2>CPB-1>GP의 순으로 CPB-2의 정련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견사 Lousiness에 관한 연구(II) (Study of Silk Lousiness (II))

  • 최병희;김낙정;박광의;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63-68
    • /
    • 1965
  • 본 연구는 견사 lousiness와 유전관련성을 구명하여 도태가능성 여부를 조사하는 반면, 그 외 도태가능성이 불완전하였으므로 정련방법의 개량으로 인하여 lousiness의 개선을 기도하였던 바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A) lousiness의 유전관계문제 1. 교잡에 의한 lousiness 감소는 11.0%이었다. 2. lousiness의 유전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한다. 3. lousiness를 발생하는 유전은 누적적으로 작용하고2종 이상의 유전자가 lousiness 발생에 작용하는 것으로 고찰된다. 4. 잠견의 실용형질과 lousiness와는 유전상관관계가 없다. 5. 다계량계통의 잠품종에서 반드시 lousiness의 발생이 많다고 할 수 없다. 6. 본 실험에서의 lousiness 검경은 생계의 exforiation 시험결과와 동일하였다. (B) 정련에 의한 lousiness 개선문제 1. 양 ion계 화학연화제 0.2% 용액을 95$^{\circ}C$ 하에서 30분간 처리할 때 lousiness 발생을 억제하면서 정련할 수 있었다. 2. 음 ion계 화학연화제는 생사정련에 불합격하였다. 3. 양 ion계 연화제를 상기조건하에 처리할 때 견사의 물리적성질에 변화가 없었다. 4. 석검정련은 lousiness 발생을 용이하게 시킨다.

  • PDF

인산염이 견사련용수의 경수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Sodium Phosphates as Auxiliary Agents for Softening Hard Water to Degum Silk)

  • 신봉섭;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7-43
    • /
    • 1994
  • 네 종의 서로 다른 인산염을 견정련 보조제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정련용수 중 금속이온의 봉쇄, 정련용액의 pH 변화, 그리고 연감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칼슘경도성분에 대한 봉쇄효과는 TSPP와 SPD가 높은 봉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PM과 SHP는 비교적 낮은 봉쇄효과를 보였다. 2. 철성분에 대한 봉쇄효과는 SHP와 TSPP가 우수한 봉쇄능력이 있었다. 3. 4종의 인산염 중 TSPP와 pH값이 가장 높지만 비누에 비해서는 낮다. 4. 정련속의 pH값은 인산염의 종류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으나 pH값이 클수록 정련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세리신잠견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the Silkworm Sericin Cocoon)

  • 김수연;손해룡;배도규;김정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17
    • /
    • 2003
  • 최근에 기능성 양잠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Nd-s잠, N$d^{H}$잠의 이화학적 특성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처리온도 증가에 따른 용해성에서 Nd-s잠과 N$d^{H}$잠의 경우 용해도가 증가하였지만 백옥잠은 용해도 정도가 미미하였다. 특히, Nd-s잠의 경우 9$0^{\circ}C$에서의 용해성은 낮았으나 10$0^{\circ}C$경우는 높았다 13$0^{\circ}C$이상에서 연감률은 Hd-s잠과 NdH잠은 100%였고, 백옥잠은 24%였다. 효소처리에 의한 연감률이 Nd-s잠과 N$d^{H}$잠의 경우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감률이 증가하였고, 백옥잠은 3% 이하였다. 2. 아미노산조성에서 Nd-s잠은 글리신 29.l mol%로 가장 높았고, N$d^{H}$잠은 세린 32.6 mol%로 가장 높았다. 정련 전 백옥잠은 글리신 40.3mol%, 정련 후 백옥잠은 글리신 46.3 mol%였다. 3 시차 주사 열량 분석은 Nd-s잠, N$d^{H}$잠, 정련 전$.$후 백옥잠에서 10$0^{\circ}C$이하 peak는 수분증발에 의한 흡열 peak로 보여지고, Nd-s잠, N$d^{H}$잠 및 정련 전 백옥잠은 216$^{\circ}C$∼218$^{\circ}C$에서 열변성 peak로 보여지며, 314$^{\circ}C$∼32$0^{\circ}C$부근에서 peak는 열분해 peak로 보였다. 4. 적외선 분광 분석에서 Nd-s 잠은 결정화도가 44.3%, N$d^{H}$잠은 43.7%, 정련 전 백옥잠은 59.9%, 정련 후 백옥잠은 61.8%로서 Nd-s잠과 N$d^{H}$ 잠은 백옥잠보다 결정화도가 낮았다. 5. X-선 결정화도는 정련 전 Nd-s잠은 35.9, 정련 전 N$d^{H}$ 잠은 33.5%, 백옥잠정련 전이 47.2%, 정련 후 백옥잠은 49.8가 나타났다. 6. N$d^{H}$ 잠의 고치를 12$0^{\circ}C$에서 여과하여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수용성만 이용하여 분자량 측정은 1시간 처리의 수평균분자량은 9,417로 분자량이 제일 크고 골고루 넓은 범위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2시간처리시는 3,744, 4시간처리시는 4,944, 6시간처리시는 3,910으로 평균분자량이 처리시간에 따라 저분자화 되는 경향이었으며, N$d^{H}$ 잠의 수평균분자량은 3,744∼9,417범위로 나타났다.은 3,744∼9,417범위로 나타났다.

이론정련 지식기반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귀납적 학습 (Inductive Learning using Theory-Refinement Knowledge-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심동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80-285
    • /
    • 2001
  • 귀납적학습 알고리즘과 분석적학습 알고리즘을 결합한 지식기반인공신경망이 제안된 후, 이를 개선한 TopGen, TR-KBANN, THRE-KBANN과 같은 영역이론정련알고리즘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KBANN과 같이 영역이론이 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역이론이 없이 예제만 있는 경우 KBANN으로 표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KBANN으로 표현된 영역 이론은 THRE-KBANN으로 정련화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을 귀납적 학습에서 사용하는 몇 개의 문제영역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C4.5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 PDF

영역이론정련을 위한 지식기반신경망의 확장 (Extensions of Knowledge-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the Theory Refinements)

  • 심동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8권6호
    • /
    • pp.18-25
    • /
    • 2001
  • 분석적학습과 귀납적학습을 결합한 지식기반신경망은 다른 기계학습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지식기반신경망에서는 신경망이 형성된 후 그 구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없어서 영역이론정련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을 갖고 있는 지식기반신경망을 보완하기 위하여 TopGen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지만 부분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opGen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지식기반 신경망을 확장하여 영역이론정련기능을 부여하는 방안 2가지를 제시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 PDF

Calcium Hydroxide에 의한 Silk의 정련 (Degumming of Silk by Calcium hydroxide)

  • 정양숙;김정호;배도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4-4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Ca(OH)$_2$로 Silk를 정련하기 위해 처리온도, 농도 및 시간별로 처리하여 적정 정련 조건을 알아보았다. 정련 후 세리신을 수용성과 난용성으로 분리하여 수용성 세리신의 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고 기기분석을 통하여 세리신의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감율은 처리농도, 온도 및 시간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는데 Ca(OH)$_2$ 처리농도가 0.07%, 0.1%일 때에는 처리시간이 길어져도 연감율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정련액의 수용성$.$난용성 세리신의 비율은 Ca(OH)$_2$ 농도가 0.04%일 때에는 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난용성 세리신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고, 0.07%일 때에는 처리 온도 및 시간에 관계없이 수용성 세리신의 비율이 거의 100%를 나타냈다. 0.1%일 때에는 처리 초기의 난용성 세리신의 비율이 높으며 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세리신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3. 평균 중합도 측정 결과 처리 농도 0.04%, 처리 온도 10$0^{\circ}C$의 경우 10정도의 일정한 평균 중합도 값을 가지며 8$0^{\circ}C$, 9$0^{\circ}C$의 경우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중합도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0.07%의 경우 온도와 시간에 관계없이 10정도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처리농도 0.1%일 때 온도 10$0^{\circ}C$의 경우 평균중합도가 20∼3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4. 정련후 수용성 세리신의 LAL 정량 결과 정련액에는 LAL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아미노산 분석 결과 Hydroxy amino acid인 Thr.과 Ser. 및 Tyr.의 함량이 적었고 나머지는 상대적으로 많았다. 6. 수용성 세리신 분말의 DSC 분석 결과 열변성에 의한 흡열피크가 189$^{\circ}C$ 부근에서 나타났고, 열분해 피크는 299$^{\circ}C$ 부근에서 나타났다. 7. Ca(OH)$_2$ 정련된 견사의 강도는 생사의 강도보다 15∼30% 정도 감소하였고,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8. 정련견의 표면 관찰 결과 연감율이 증가함에 따라 실의 굵기가 가늘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섬유 표면이 거칠게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효율 우라늄 전해정련장치 모델링 및 전극 구성에 대한 검증 (Modeling of High-throughput Uranium Electrorefiner and Validation for Different Electrode Configuration)

  • 김영민;김대영;유병욱;장준혁;이성재;박성빈;이한수;이종현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1-332
    • /
    • 2017
  • 전극 구성에 따른 고효율 전해정련공정의 일반적인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상미분방정식 인터페이스를 갖는 COMSOL Multiphysics V5.3 전착 모듈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구축된 모델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작한 실험실 규모 (1kg 우라늄/day 규모) 다중배열전극 전해정련장치를 사용해 전극 간 거리, 전극 배열을 변수로 하여 실시한 실험의 전류밀도-전위 곡선과 비교하였다. 공정온도는 $500^{\circ}C$이다. 용융염은 3wt% $UCl_3$가 포함된 LiCl-KCl 공융염을 사용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전류밀도-셀전위 곡선을 계산한 결과 전극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극 배열은 양극/음극 면적비가 증가할수록 셀 전위가 낮아져 전해정련장치의 우라늄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고출력 사용후핵연료 전해정련기의 안전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유용할 것이다.

이미지 검색 실패에 나타난 이미지 요구와 맥락에 관한 분석 (An Investigation on Image Needs and Contexts in Image Search Failure)

  • 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9-215
    • /
    • 2015
  • 이용자의 이미지요구 규명은 이미지 정보 서비스와 시스템 효율성 증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에는 이미지요구 분석에 있어서 다양한 맥락 요소를 접목하여 다층적인 관점에서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 연구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며, 이용자의 이미지요구를 규명하기 위해서 총 70건의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미지 검색 실패 사례에 나타난 이미지요구는 구체적, 일반적/지칭 가능한 요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것으로써 검색 실패한 이미지요구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미지요구에 배태된 맥락요소에 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업무/과제의 목표와 이용목적에 관련된 맥락요소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의 맥락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러스트레이션 이용목적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검색 질의 특성은 고유어와 정련어의 쌍으로 분석할 때 고유어/정련어, 비고유어/정련어, 고유어/비정련어, 고유어/정련어 쌍 순서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 실패 이미지요구의 특성으로써 구체적이거나 일반적/지칭 가능한 요구이며 이는 비고유어/비정련어 쌍을 특징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맥락의 관점에서는 목표 중심이며 일러스트레이션 이용목적이 주된 맥락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나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사점이 될 수 있다.

진동 탈리에 의한 전해정련 고체음극에서의 우라늄 생성물 회수 연구 (Study on the Vibrational Scraping of Uranium Product from a Solid Cathode of Electrorefiner)

  • 박성빈;강영호;황성찬;이한수;백승우;안도희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5-319
    • /
    • 2015
  • 전해환원공정의 금속전환체로부터 우라늄을 회수하는 전해정련공정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고수율 전해정련장치가 개발되었다. 전해정련장치의 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고체음극에 전착되는 우라늄 덴드라이트를 음극 표면으로부터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야 한다. 철강 재료의 음극을 고체음극으로 사용하면, 우라늄 덴드라이트가 전착되어 쉽게 떨어지고 않고 고착 되어 점착계수(sticking coefficient)가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으로 고체음극의 점착계수를 낮출 수 있는 진동 탈리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적용하였다. 고체음극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고체 표면에서 우라늄 전착물이 흑연음극의 자발특성과 유사하게 효율적으로 탈리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진동모드에 의한 고체음극에서의 전착물의 탈리 특성을, 고수율 전해정련장치 개념으로 개발한 흑연음극의 자발탈리 특성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우라늄 덴드라이트의 진동 탈리에 대한 인가전류밀도와 진동 스트로크에 의한 영향 등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