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안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설계 접안능력에 따른 선박규모별 상대적 접안속도 도출

  • 강은지;김대근;조익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03-405
    • /
    • 2022
  • 선박의 대형화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항만시설 확보에 주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늘어난 항만 물동량을 따라가지 못해 부두의 설계접안능력보다 더 큰 선박이 접안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안 과정이 위험하다고 평가되어야 하는 것인지는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부두는 정해진 설계접안에너지가 있으며 부두에 접안하는 선박의 규모가 각각 다르므로 허용되는 접안속도 또한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접안에너지를 고려한 선박규모별 허용접안속도를 구하고자 한다. 또한 실측접안속도에 적용하여 부두 접안능력과 선박 규모가 고려된 상대적인 값을 가지는 추정접안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부두에서 얼마나 많은 선박이 위험한 속도로 접안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 PDF

선박접안속도 실측값의 확률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ang-Won;Jo, Jang-Won;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20-322
    • /
    • 2018
  • 선박이 부두의 계류시설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접안에너지는 해당선박의 접안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접안속도가 과다할 경우 부두에 접촉하는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부두 특성에 맞는 적절한 접안속도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박접안속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검증이나 연구가 없어 해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설계접안 속도를 설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두의 선박접안속도를 설계하기 위한 통계학적인 접근으로 접안속도의 실측데이터를 토대로 그 빈도수를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여 각각의 확률분포도와 비교 분석하고, 확률분포에 대한 검정법으로 K-S (Kolmogorov-Smirnov Test) 검정, A-D(Anderson-Darling) 검정, Q-Q(Quantile-Quantile) Plot 등을 이용하여 접안속도 분포에 적합한 확률분포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선박접안속도의 빈도분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수정규분포 뿐만 아니라 Weibull 분포와 적합한 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과확률 개념에서의 접안속도의 예측치를 구하여 구해진 1/1000, 1/10000의 접안속도 예측치를 설계접안속도의 참고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Constrained Control Allocation for Ship Berthing by Using Autonomous Tugboats (터그보트를 이용한 선박접안제어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Bae, H.M.;Bui, V.P.;Lee, S.S.;Kim, Y.B.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4 no.6
    • /
    • pp.96-101
    • /
    • 2010
  • 접안을 위해 선박이 안벽으로 접근할 때나, 좁은 항내에서 선박을 조종할 때는 항해 중에서보다 많은 제약이 따른다. 그것은 대형 선박일수도 분 관성력으로 인해 효과적인 제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터그보트를 수동적으로 제어하여 선박을 접안시키는 것이 현재로선 가장 일반적이 접안기술이라 할 수 있다. 지능적인 제어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접안을 시도하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auto-pilot 기술에 지나지 않으며 어느 것 하나 안정적인 접안을 위한 접안기술로 볼 수 없다. 이와 같이 터그보트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면, 보다 효과적인 터그보트 제어기술을 기반으로 한 접안지원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터그보트의 원격제어를 통해 모선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접안하는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즉, 터그보트로 조종되는 선박조종시스템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터그보트로부터 발생되는 제어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모선을 제어하는 새로운 접안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Analysis of Berthing Velocity of Ship and Application to Safe Pilotage (선박접안속도 분석과 안전도선에의 활용)

  • Ik-Soon Cho;Eun-Ji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49-150
    • /
    • 2022
  • External forces acting on the mooring facilities include wave, wind, current, and ship's kinetic energy. In particular, the ship's kinetic energy is changing as the ship become larger, and larger carrying capacity.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berthing velocity measurement data at on tanker terminals equipped with a DAS (Docking Aid System) through statistical means and algorithms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safer and more efficient pier design and pilotage.

  • PDF

Design of simulation system using DGPS when the ship coming alongside the pier (DGPS를 이용한 선박 접안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 최재석;모수종;정성훈;윤희철;임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123-127
    • /
    • 2004
  • The present system of medium and large size ship when that's ship came alongside the pier, are not systemic. The steersman only depend on radio-communication, not visuality. This treatise bridge a gap of current system from development of simulation program The main-server get a distance from ship to peer and ship's direction using longitude and latitude, heading, rate. The steersman of main ship and tug will see all situation with PDA client program. The PDA client program directly display a location information from main-server. And ship's most suitable path be calculated simulation program using database system. This method will induce more detail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most suitable path when the ship coming alongside the pier.

  • PDF

Estimation of Berthing Velocity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anker Terminal (확률분포 특성을 이용한 탱커부두에서의 선박접안속도 예측값 추정)

  • Lee, Sang-Won;Cho, Jang-Won;Cho, Ik-So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3
    • /
    • pp.186-196
    • /
    • 2019
  • Berthing energy is majorly influenced by the berthing velocit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appropriate berthing velocity for each pier, since excessive berthing velocity can cause berthing accident causing damage to the ship and pier. In this study, as a statistical approach for berthing velocity,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suitable for the berthing velocities were confirmed using the K-S test, the A-D test and the Q-Q plot. As a result,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berthing velocity was found to be suitable using the Weibull distribution as well as the lognormal distribution. Additionally, the predicted values obtained through estimation of the berthing velocity using the concept of probability of exceedance in this study is proposed as a reference of design berthing velocit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design berthing velocity is set to be somewhat low so that it does not practically match with the reality. This study and its results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proper design velocity calculation method.

A Study on the Berthing Energy considering the shallow effect of Added mass Acting on a Large Ship (천수역 선체 부가질량을 고려한 대형 선박의 접안에너지 산출에 관한 연구)

  • Lee Yun-Sok;Kim Chol-Seong;Kong Gil-Young;Lee Sang-Mi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4.05b
    • /
    • pp.107-112
    • /
    • 2004
  •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r! ship berthing and the efficiency r! berth operation in the harbour, the berthing energy acting on a ship in berthing maneuver need to be estimated properly. The berthing energy is used as one q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maximum permissible load of fender as well as important factors to establish the berthing speed and the required power r! tug-beat for pilot and ship operator. In this study, some problems r! present the method of berthing energy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hydrodynamic aspects. Then, series calculations of berthing energy ar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effect of water depth on added mass and the ship shape for container series from 1,600TEU to 12,000TEU.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erthing Energy of Large-Sized Container Ships with the effect of Shallow Waters (대형 컨테이너선의 천수역 영향을 고려한 접안에너지 산출에 관한 연구)

  • Kim Chol-Seong;Lee Yun-Sok;Lee Chung-Ro;Cho Ik-So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8 s.104
    • /
    • pp.673-678
    • /
    • 2005
  •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ship berthing and the efficiency of berth operation in the harbour, the berthing energy acting on a ship in berthing maneuver need to be estimated properly. The berthing energy is used as one of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maximum permissible load q{ fender as well as important factors to establish the berthing speed and the required power of tug-boat for pilot and ship operator. Some problems of berthing energy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hydrodynamic aspects. Then, series calculations of berthing energy ar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effect of water depth on added mass and the ship shape for container series from 1,600TEU to 12,000TEU.

광양항 제품부두 접이안 안전성에 대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검토

  • Chae, Yang-Beom;Jeong, Jae-Hun;Jeong, Tae-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91-93
    • /
    • 2010
  • 부두의 접안능력 조정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조정예상 가능한 선형을 대상으로 항만시스템의 전반적인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중 선형 증가에 따른 통항 및 접안조종 안전성의 평가는 부두의 접안능력 조정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광양항 제품부두의 접안조종 안전성의 평가를 위해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검토하였다.

  • PDF

인공지능 센서 기반 선박 접/이안 정보 추출 기술 개발

  • Kim, Dong-Hun;Kim, Han-Geun;Lee, Sang-Min;Kim, Jeong-Min;Park, Byeol-T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28-130
    • /
    • 2020
  • 선박이 지정된 선석에 안전하게 접안하기 위해서는 도선사와 예인선의 도움이 필요하다. 접안 과정에서 선박이 선석까지 남은 거리와 접안 속도는 선박에 탑승한 도선사와 선원들의 육안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안전에 대한 위험 요소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안 과정에서의 위험요소를 줄이고, 접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공지능 센서 기반 선박 접·이안 정보 추출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 기술은 임베디드 시스템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구동되며, 인공 지능 영상처리 기술과 센서 융합 기술을 기반으로 측정한 접안 중인 선박의 운동 정보를 접안 이해 관계자들에게 서비스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