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역 선체 부가질량을 고려한 대형 선박의 접안에너지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rthing Energy considering the shallow effect of Added mass Acting on a Large Ship

  • 이윤석 (한국해양대학교 운상시스템공학부) ;
  • 김철승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공길영 (한국해양대학교 운항시스템공학부) ;
  • 이상민 (한국해양대학교 운항시스템공학부)
  • Lee Yun-Sok (Division of Ship Operation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Chol-Seong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University) ;
  • Kong Gil-Young (Division of Ship Operation System Engineering, Kore Maritime University) ;
  • Lee Sang-Min (Division of Ship Operation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04.05.01

초록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른 항만 운영의 효율성 및 대형 선박의 접안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선체에 작용하는 접안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산출하여야 한다. 선박의 접안에너지는 방충재와 같은 항만시설물의 설계에 대한 허용 기준을 결정하는 변수임과 동시에 도선사 및 선박의 조선자에게는 예인선의 필요 마력이나 접안속도 둥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판단 요소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운동역학적인 방법을 토대로 한 접안에너지 산출 방법에 대해 유체역학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부두 전면의 수심과 선박의 형상에 따라 변화하는 천수역 선체부가질량을 고려한 접안에너지의 산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천수역에서 선체에 작용하는 부가질량을 고려한 접안에너지 산출 방법을 사용하여 1600TEU급에서 12000TEU급까지의 컨테이너 선박을 대상으로 계통적으로 각각의 접안에너지를 계산하고, 현행의 접안에너지 산출방법과 비교 검토를 실시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r! ship berthing and the efficiency r! berth operation in the harbour, the berthing energy acting on a ship in berthing maneuver need to be estimated properly. The berthing energy is used as one q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maximum permissible load of fender as well as important factors to establish the berthing speed and the required power r! tug-beat for pilot and ship operator. In this study, some problems r! present the method of berthing energy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hydrodynamic aspects. Then, series calculations of berthing energy ar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effect of water depth on added mass and the ship shape for container series from 1,600TEU to 12,000TEU.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