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점행렬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프로파일 감소를 위한 절점 번호 넘버링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Node Numbering Algorithm for Reducing Profile)

  • 이병채;김형민
    • 산업공학
    • /
    • 제8권3호
    • /
    • pp.171-185
    • /
    • 1995
  • 유한 요소 시스템 행렬의 프로파일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절점 번호 자동부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절점 연결 행렬 압축 기법과 웨이브 프론팅 개념에 의한 번호 부여 기법을 복합한 방법으로 알고리즘이 간단, 명료하다. 대표적인 유한 요소 모델을 선정하여 본 알고리즘과 기존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의 번호 부여 시간은 기존의 우수한 알고리즘과 비슷하였으나 프로파일 크기는 작았다.

  • PDF

전달행렬법에 의한 변위를 허용하는 문형라멘의 영향선해석 (Influence Lines of a Portal Frame with Joint Translations by Transfer Matrix Method)

  • 남문희;하대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2001
  • 구조물설계에 있어서 영향선은 최대반력, 최대전단력, 최대휨모멘트 등을 계산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모멘트분배법, 인도행렬법, 전달행렬법, 그리고 Muller-Breslau 원리에 의한 단순보와 연속보의 영향선은 잘 알려져 있고 또 교량공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변위를 허용하는 특별한 구조물의 영향선을 계산할 경우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절점변위를 허용하는 문형라멘의 영향선을 전달행렬법에 의하여 구하고 유한요소법에 의하여 얻은 영향선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는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다.

  • PDF

전달행렬법을 이용한 3차원 파이프 계의 진동해석 (Vibration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Piping System by Transfer Matrix Method)

  • 이동명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110-116
    • /
    • 1998
  • For the vibration analysis of 3-dimensional piping system containing fluid flow, a transfer matrix method is presented. The fluid velocity and pressure were considered, that coupled to longitudinal and flexural vibrations. Transfer matrices and point matrices were derived from direct solutions of the differential equations of motion of pipe conveying fluids, and the variations of natural frequency with flow velocity for 3-dimensional piping system were investigated.

  • PDF

탄성지반과 판의 접촉압력해석에 관한 연구 (A Method of Contact Pressure Analysis between Half-space and Plate)

  • 조현영;정진환;김성도;한층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92
  • 지반을 반무한 탄성체로 가정할 때 판과 지반간의 접촉압력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판과 지반을 모두 요소로 분할하는 방법이다. 즉 판은 평판요소로 지반은 유한한 범위에서 입체요소로 분할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지반의 강성도행렬이 과대해지고 만약 상부구조가 판이 아닌 큰 규모의 구조물일 경우에는 전체강성도행렬이 너무 커지고 강성도행렬의 대폭도 대단히 커지게 되어 실용적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 한 가지 방법은 반무한 탄성체의 표면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한 Boussinesq의 해를 이용하여 지반전체를 한개의 요소로 취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택할 경우에는 판과 지반의 총접촉절점수와 같은 차수인 유연도행렬의 역을 구해야 한다. 더구나 유연도행렬은 대폭이 행렬의 차수와 동일하고 비대칭이므로 그 역을 구하는 것이 결코 실용적이라 할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역행렬을 구하는 과정을 회피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접촉절점에서의 접촉압력을 먼저 구하여 반력분포를 결정한 다음 상부구조와 지반의 변위 및 응력을 개별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Cheung 등이 최초로 사절점 직사각형요소에 대하여 이론상으로만 제안한 것이나, 판의 절점위치에서의 등가접지압이 일정한 지배영역에 등분포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절점 등매개변수요소를 이용하여 곡선경계의 요소분할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판의 한 요소와 접하는 지반영역을 Gauss 적분의 가중값과 통일한 넓이의 소영역들로 분할하여 각 소영역에 Gauss 적분점에서의 접지압이 등분포한다고 보고 계산한 점이 다르다.

  • PDF

전단변형을 고려한 적층복합 I형 박벽보의 C유한요소 (A C Finite Element of Thin-Walled Laminated Composite I-Beams Including Shear Deformation)

  • 백성용;이승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49-35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직교좌표계에 근거한 적층복합 I형 박벽보의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새로운 블록 강도행렬을 제안한다. 변위장은1차 전단변형을 고려한 보 이론을 사용하여 정의되었다. 축방향 변위는 Timoshenko 보이론과 수정된 Vlasov 박벽보 이론을 결합하여 투영단면의 면 변형과 면외 변형의 합으로 나타낸다. 유도된 강성행렬은 휨 전단변형과 뒴 비틂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다. 본 유한요소 에서는 2절점, 3절점, 4절점의 세 가지 보요소를 제안하였다. 3절점과 4절점 보 요소는 적층복합 보의 휨 해석에 효과적이었다. 다른 연구자의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유한요소의 활용성과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다절점 케이블요소를 이용한 외부 긴장된 강구조 시스템의 기하학적 비선형해석 (Geometric nonlinear analysis of steel structures with external pretension using the multi-noded cable element)

  • 이준석;김문영;한만엽;김성보;김낙경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27-73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선행논문(김 등, 2005)을 확장하여 다절점 케이블요소를 포함하는 보-기둥 요소의 기하학적 비선형성에 대해서 논의하기로 한다. 먼저 이를 위해서Hermitial 다항식을 형상함수로 채택하고 보-기둥요소의 2차 효과를 포함하는 접선강도행렬에 다절점 케이블-트러스 요소에 대한 접선강도 행렬을 추가하여 전체좌표계에 대한 접선강도행렬을 구성하고 하중증분법에 의한 유한요소 해석과정을 제시한다. 이렇게 새로이 개발된 다절점 케이블-트러스 요소를 포함하는 뼈대 구조물의 기하학적 비선형성과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PS(Innovative Prestressed Support) 시스템의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을 실시하고 이의 결과를 선형탄성해석의 결과와 비교한다.

트리구조에 기초한 선형다치논리시스템의 설계와 코드할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Linear MVL Systems based on the Tree Structure and code assignment)

  • 나기수;김흥수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53-5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입출력간의 연관관계가 트리구조로 표현되는 DTG(Directed tree graph)에 의한 고속병렬다치논리회로를 설계하는 알고리즘과 DTG의 각 절점에 코드를 할당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임의의 절점을 갖는 DTG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절점들이 매개변수에 의하여 표현될 때 양의 정수로 표현되도록 논리레벨 P를 할당하고 각 레벨에 각기 다른 잉여절점을 추가하여 회로를 설계한다. 또한, 절점들의 입출력 관계를 단지 하나의 매개변수 m$_{i}$를 이용하여 전달행렬 A를 구하기 때문에 더 빠르고 간단하게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Nakajima 등에 의해 제안된 알고리즘으로는 설계가 가능하지 않았던 임의의 절점을 가지는 DTG에 대해서도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연수 내에서 선형성, 정규성, 및 가시적인 장점을 가지며 절점수의 감소를 통한 처리속도의 향상, 회로 구성의 간략화 및 비용절감등의 장점등이 있다.

  • PDF

유한요소법에서 희소행렬의 효율적인 저장을 위한 2차원 가변길이 벡터 저장구조 (Two dimensional variable-length vector storage format for efficient storage of sparse matrix in the finite element method)

  • 부희형;김승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9-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에서 희소행렬의 효율적인 저장을 위한 2차원 가변길이 벡터 저장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저장구조는 유한요소 전체 방정식의 거대희소행렬 $N{\times}N$ 대신, 전체 행의 개수 N의 상삼각행렬에서 0이 아닌 실제 필요한 값들만 2차원 가변길이 벡터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해석대상의 2차원 격자구조에서는 각 절점당 최소 1개에서 최대 5개까지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3차원 격자구조에서는 각 절점당 최소 1개에서 최대 14개까지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인덱스를 포함해도 2배 이상을 넘지 않는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의해, 제안한 저장구조는 총 절점 개수가 많아질수록 기존의 최대칼럼 높이를 저장하는 스카이 라인 저장구조보다 메모리 공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Network topology에 대하여 1

  • 고명삼
    • 전기의세계
    • /
    • 제14권4호
    • /
    • pp.28-35
    • /
    • 1965
  • Kirchhoff는 유향성 선형 graph에 포함되어 있는 입상기하학적인 특성, 즉 주어진graph의 모든 정점과 변들의 연결상태를 0, +1, -1의 세가지 수자로 된 소위 incidence행렬란 개념으로 집약시켰다. 본 고에서는 Incidence Matrix, Tie-set Matrix과 연결지 전류(link current), Cut-set Matrix과 절점대 전압(Node pair voltage), Tie-set및 cut-set행렬의 선형변환, Duality(쌍대성)

  • PDF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다절점 케이블요소 (A Multi-noded Cable Element Considering Sliding Effects)

  • 김문영;이준석;한만엽;김성보;김낙경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통권77호
    • /
    • pp.449-457
    • /
    • 2005
  • 다양한 케이블지지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다절점 케이블-트러스 요소를 개발한다. 먼저 일반적인 2절점 케이블-트러스 요소에 대한 유한요소 정식화 과정을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여러 절점에 연결되어 장력은 동일하지만 절점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다절점 케이블-트러스 요소의 탄성강도행렬을 유도한다. 개발된 케이블-트러스 요소를 검증하기 위하여, 케이블 장력을 부정정력으로 선택하고 적합조건을 이용하여 장력을 산정하는 방법(유연도법)을 제시하고 두 방법에 의한 장력 값을 비교한다. 또한 상용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의 2절점 트러스요소를 사용한 해석결과와도 비교,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