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직몰입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전문직성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the Dual Commitments of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in ROK Army)

  • 박민열;김기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5-106
    • /
    • 2020
  • 공공기록물법 제정 20년이 넘었으나, 기록 외의 업무 등으로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기록물 관리에 몰입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기록관리 비(非) 전문인력이 주류인 조직, 특히 개별 행위보다 부서장 중심 행위에 대한 몰입을 강조하는 육군에선, 기록물관리에 대한 몰입 및 전문성 발휘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전문직성이 전문직과 조직에 대한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육군의 공식 승인을 받아 야전에서 기록물관리 임무 수행 중인 135명 중 104명(77.0%)으로부터 응답을 회수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평행모델을 접근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1)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은 상호 보완적 관계로 이중몰입이 가능하며, 2) 자율성의 전문직성 강화가 오히려 조직몰입 향상에 기여한다. 3) 전문직성 중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전문직몰입은 높아지지만 조직몰입은 낮아졌으며, 가치관에 의한 갈등은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 모두를 떨어뜨리는 이중몰입의 공통결정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非) 전문인력이 주류인 조직에서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갖는 전문직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몰입 향상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 안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554-56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직무환경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연구대상은 20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직무만족에 매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은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환경은 전문직 정체성과 직무만족, 전문직 정체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은 전문직 정체성을 높이는 것에 기반을 두며 직무환경에 의해 조직몰입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 (A Study on Nurse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Students)

  • 이종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84-295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J시의 간호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7일에서 9월 10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평균, 표준 편차, t-검정, ANOVA, Scheffe's test, Pearson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WIN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간호대학생들은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조직몰입에 대해 5점 만점에 각각 4.01점, 3.40점 및 3.77점으로 평균값이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는 전문직 자아개념,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전문직 자아개념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의 측정변인인 간호사이미지와 전문직 자아개념은 간호대학생의 조직몰입에 대해 56.3%의 설명력을 보였다.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간호사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간호사이미지가 대상자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예측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방사선사의 이동근무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 (Affecting Inter-department Ro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adiological Technicians)

  • 박석규;홍지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배석환;이보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11-914
    • /
    • 2010
  • 본 연구는 이동근무를 시행하는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이동근무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 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대전지역 이동근무를 시행하는 종합병원 4곳의 방사선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은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34세가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 대다수가 부서이동 경험이 있었다. 정기적 근무부서 이동 필요성에 관한 문항은 대다수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나 현 부서에서 이동 요구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의 영역별 점수에서는 전문직 발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의 차이검증에서는 성별, 결혼상태,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 19~29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미혼인 경우에 전문직 발전과 개인발전, 공통욕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공통욕구 부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의 차이검증에서는 월 급여 수준에서 199만원 이하의 전문직 발전과 개인발전, 현부서 근무기간 1년~5년의 개인발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나머지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월급여 수준에서 조직몰입은 250만원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근무유형에서는 정규직, 직위에서는 관리자가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11년 이상의 근무기간에서 병원에 대한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부서 이동 필요성에 대해서는 근무부서 이동이 필요하며 현 부서에서도 이동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으나 이동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서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태도와 조직몰입도간의 상관관계에서 두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근무부서 이동에 대한 4개의 영역 중에서 공통욕구만이 가장 큰 관련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령이 낮은 군에서는 이동근무를 원하고 조직 몰입이 낮으나 이와 반대로 연령이 높은 군에서는 이동근무를 원하지 않고 조직 몰입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낮은 급여, 비정규직, 현 부서에서 이동을 원할수록 이동근무에 대해 긍정적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동근무에 대한 태도는 대부분 전문직 발전이라는 이유에서 이동근무가 필요하다고 느꼈으나 현 부서에서 이동 유무는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조직몰입은 이동근무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직몰입은 정규직이고, 연령이 높고, 관리자이며 연봉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안정적인 위치에 있을수록 조직몰입이 좋다는 걸 보여준다.

  • PDF

평행모델을 이용한 조직구조화 변인의 사회복지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 효과 (Effec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Variable on Social Welfare's dual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Career by Parallel Model)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01-309
    • /
    • 2012
  • 전문직인 사회복지사가 현재 근무하는 기관에 대한 조직몰입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에 대해 동시에 이중몰입할 경우 업무수행 성과가 우수하며 조직 전체의 효과성에 대한 기여도 역시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복잡성, 공식화, 분권화로 대표되는 사회복지 조직구조화 변인이 사회복지사의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평행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조직구조 설계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조직구조화 변인 중 복잡성과 분권화는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몰입 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과 경력에 대한 몰입수준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분업화의 원리에 따른 과업 세분화와 일선 사회복지사에게 전문적 재량권이 존중되는 조직구조의 설계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 결정요인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Determinants of Social Workers' Career Commitment and the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on Job Attitude)

  • 강종수;류기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201-227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조직별 경력몰입 수준과 차이를 비교하며 경력몰입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는 부산 경남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관 및 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직무특성모형과 경력특성모형, 역할특성모형, 조직공정성모형 그리고 종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다만 상대적으로 전담공무원이 낮았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1급보다는 2급이, 대졸보다는 고졸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몰입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가 중요하고 완결된 과업정체성을 갖고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수록, 그리고 사회복지직 경력을 만족하고 역할갈등이 적고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높을수록 경력몰입하고, 오히려 다양한 실천기술을 활용하는 직무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결정요인은 사회복지조직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은 경력변경의도에 높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그리고 내재적 직무만족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몰입 증진을 위한 조직별 차별화된 접근과 체계적 대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몰입 관련요인 (Work Engagemen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진화;이은경;김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62-470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몰입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와 K지역에 위치한 3개의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114명의 간호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업무몰입의 평균평점은 3.08점이었으며, 감정노동 하부요인 중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은 3.82점, 대상자 중심 감정 억제는 3.28점, 규범에 의한 감정 가장은 3.22점이었으며 간호근무환경은 2.59점이었다. 업무몰입은 감정노동 하부요인 중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r=.30, p=.001), 대상자 중심 감정 억제(r=.20, p=.03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근무환경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1, p=.024)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몰입은 연령, 직위,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과 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세 변수는 업무몰입을 20%(F=10.37, p<.001)설명하였다. 따라서 업무몰입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 시 연령과 직위를 고려해야 하며, 감정노동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전문직 감정조절 노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찾는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IT 전문직 근로자의 교육훈련 적정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조직신뢰와 인재우대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priateness of Education/Training for IT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Effects of Top Talent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 한수진;김유정;강소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57-1565
    • /
    • 2012
  • 고도의 전문적 지식, 기술, 능력을 갖춘 전문직 근로자들은 기업의 지속적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이들에 대한 조직 내 육성은 기업들의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직 근로자들에게 주어지는 교육훈련의 조직몰입 효과를 일차적으로 검증하며, 이들 관계를 보다 정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조직신뢰와 핵심인재우대를 조절변수로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 기업패널자료 3차년도 데이터(2009년) 중 IT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전문직이 응답한 설문자료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그 결과 교육훈련의 적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두 가지 조절변수 검증에 있어서는 인재우대에 대한 변수에서는 긍정의 강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조직신뢰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or Librarian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오해연;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7-260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성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 간의 인식 차이 및 실태를 브랜딩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특성, 전문직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사서 각각의 브랜드에 대해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 간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선을 위해 도서관 이용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 및 사서의 직업윤리, 사회적 사명감, 개인적 신념 특성 보유와 관련된 외부 브랜딩과 사서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으로 서의 사서 및 업무 몰입도, 전문성 특성 보유와 관련된 내부 브랜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치과조직문화와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정체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Dental Office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Dental Hygienis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구자영;임순연;이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16-522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문화유형,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정체성, 조직몰입 세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31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위생사가 인지하는 치과조직문화는 위계지향문화(3.39점)가 가장 높았으며, 업무지향문화(2.71점)가 가장 낮았다. 조직문화 중 혁신지향문화는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경우와 3인 이상의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에 치과의원에서 근무하는 경우나 1인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보다 높았고, 전문학사인 경우보다 학사 이상인 경우에,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일반 치과위생사보다 실장급 치과위생사가 혁신지향문화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관계지향문화는 1인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3.35점)와 실장급 치과위생사(3.43점)가 3인 이상의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나 일반 치과위생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p<0.05). 업무지향문화는 3인 이상의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가 1인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치과의원에서 근무하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관계지향문화(p<0.001)와 혁신지향문화(p=0.006)로 나타났다. 치과 내에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의 형성을 유도하는 반면 위계지향문화를 감소시키는 것이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과 전문직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